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생 인건비에 대해서,

2025.02.04

6

1037

저는 통합 4년차 학생입니다.

월급 이야기 나오면 꼭 @만원 너무 적은거 아니냐,
돈 벌려면 취업을 하지 왜 대학원 왔냐 이 두 의견이 많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는데 보고있자니 너무 답답해서 글 적습니다.

우선 대학원생은 학생입니다. 그렇기에 4대보험 등 직장을 다녔을 때 당연한 것들이 그렇지 않은 부분이 많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연구“용역“ 을 제공합니다.
공부하러 와서 왜 용역 이라는 말을 쓰냐 하시면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하는 대학원생은 “없습니다.“ 본인이 원하는 주제와 유사한 연구를 하는 연구실에서 교수가 진행하는 연구를 하는 것이죠.

만약에 교수님이 너가 하고 싶은거 찾아서 해봐 라고 하시는 경우에도 본인이 사용하는 장비, 시약, 소모품, 소프트웨어는 어디에서 오는가 도 생각을 해야 합니다.. 학생이 스스로 감당하기 힘든 가격대가 많죠.

이러한 금잔적인 부분을 충당하는 것이 과제이고 교수님이 아무리 뛰어나셔도 혼자서 a부터 z까지 하시기엔 시간적으로 무리가 많죠. 이 부분에서 노동력이 필요한 교수와 해당 연구가 관심이 있는 학생 사이의 이해관계가 맞는 것이죠.

단지 이것을 공부하러 왔다 라고 하기엔 교수가 일일히 알려주는게 연구가 아니니 단순히 공부로 취급해서는 안됩니다.


그렇다면 얼마의 월급이 작합하다 생각하나면,
최소한 의식주와 등록금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교수님 입장에서 장기적으로 인건비 대비 학생들의 프로그래스 효율의 마지노선이니까요.

제가 70년대를 겪어보지는 못했습니다만,
노동자들에게 매우 적은 돈을 지급하며 유독한 환경, 과도한 업무량에 몰아넣었을 때 노동자들은 소모품이 되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교수님들께서 대학원생을 소모품이라고 여기신다면
저희 학생들은 그 랩에 연구를 하러 왔다는 동기 유지에 어려움을 느끼며 중도포기를 하거나 알바나 과외 등으로 인해 성실히 연구를 수행하지 못하는 경우를 분명 보셨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말씀드렸던 의식주와 등록금이 해결되어야 합니다.

대신 물론 학생들도 연구에 대해 책임감 있는 태도를 보여야 하고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6개

2025.02.04

그러니깐 돈 없으면 처음부터 오지 말라고 하는데 왜 오냐구요

2025.02.04

본인이 하고 싶은 연구를 하는 대학원생은 “없습니다.“ -> 틀릴수도 있는 말. 그래서 연구실에서 하는 과제와 본인이 하고 싶은거랑 배열이 되는지를 알아보고 입학해야함. "입학 하기 전에 학부생 따리가 이걸 어떻게 알아요?"라고 반문할 수 있는데, 그걸 충분히 알고 가야함. 대학원 진학자들 중에 "좋은 학교 가면 어떻게든 되겠지"하는 사람들 혹은 뭘 하는지도 모른채 들어오는 학생들이 있음.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2025.02.04

한국 대학의 연구실이 연구과제로 돌아가니까, 학생이 하고 싶은 연구를 못한다라고 하면, 외국처럼 개인 펠로우쉽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하는 사람들도 있음. 근데 이 주장도 아주 맞지 않은게, 원글자가 말한것처럼, 인건비 말고 연구에 들어가는 여러가지 비용 (재료, 공간 등)은 이런 펠로우쉽으로 커버가 안됨. 그래서 아주 근원적인건, 본인의 관심사랑 진짜 매칭되는 연구실을 가야 함.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