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거국이 성장해야 균형발전 이루어진다는건 무슨 논리임?

2020.08.06

18

9130

요약

1. 현재의 지방할당제는 수도권 대학 출신을 역차별하는 매우 불공정한 제도이다


2. 뿐만아니라 수도권 과밀화 해소에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본인은 지방출인이고 학부는 서성한임


근데 ㅈ같은 지방할당제때문에 너무 억울함


지방출신이고 초중고 평생을 지방에서 나왔어도 학부가 서울이면 지방할당제 인정 안되고

반대로 평생을 서울에 살았어도 학부는 지잡이면 지방인제 인정됨


그러면 지거국을 키워야 사람들이 지방으로 지방이 발전한다고 주장하는데 사실 나같이 지방사람의 경우 대학만 잠깐 서울에서 다니더라도 취업은 연고지에서 하고싶은 생각을 가진 사람이 많을 것임


즉 대학만 잠깐 타지에서 다니다가 본격적인 경제활동은 연고지에서 하기 때문에 수도권 인구집중문제와는 관계없거나 적음


실제로 공무원시험 커트라인이 지방 주요도시들이 서울및 경기와 비교해서 크게 차이가 없다는것이 이에 대한 근거

반대로 평생을 서울 경기만 살다가 지잡할당으로 지방 공공기관 취업한다?


이런 사람들은 대부분 주말에 서울 경기로 가서 경제활동 하다가 그마저도 몇년 지나 서울경기쪽 인사발령 받아서 가버림


즉 현재의 불합리한 지방할당제로는 전혀 수도권 집중현상을 막을수 없다


실제로 내 고향이 지거국 소재지인데 지방할당제 시행전과 후를 비교해 보면 오히려 인구가 감소했음


그리고... 지방 대학이 살아나야 그 지역의 경제가 활성화된다?


마찬가지로 전혀 근거없는 헛소리임

기업이나 공공기관 등 일자리가 풍부해야 경제가 활성화 되지 지방 대학의 선호도가 높다고 활성화되는게 아님


여기서 지거국 더 강화시켜야 된다고 주장하는놈들 많이 보이던데 너네 지방할당제 시행 전 후의

수도권대 지방 인구비율 변화 단 한번이라도 처 본적있냐? 있으면 그딴소리 못한다


차라리 초중고를 그지역에서 나온 사람으로 할당되어야지 현재의 학부기준으로 할당하는건 지방출신 서울권 대학생에대한 차별이며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하지못하는 매우 불합리한 제도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Edward O. Wilson*

2020.08.06

공대생 아니지? 크~~말 잘한다!!
지거국 비롯 지방대 애들아 들었지??
나대지마~~@@

2020.08.06

공대생이고 지방출신으로서 내 고향에서 정착해서 살고싶은데 국가가 강제로 그러한 기회를 막아버렸다

너무 억울해서 여기서라도 한탄해본다

2020.08.06

개소리기네
Edward O. Wilson*

2020.08.06

지방대 놈들이 서울로 대학간게 선택이란다 ~@@
자기 성적을 미화하지 말자~~응???
Edward O. Wilson*

2020.08.06

Ostwald Schmiedeberg/ 지방대생 검거

2020.08.06

나도 동감함. 솔직히 대학생들은 고작4년정도 학교에서 생활하는데 대학주위 상권이면 모를까 지역 자체의 발전에 큰 도움은 주지 않을거라 생각함. 또 지역이 발전하려면 그 지역사람들이 경제활동을 해서 소비를 해야하는데 대학생이 해봤자 알바나 과외일텐데 이걸로 지역이 발전한다고 보긴어렵지.
Charles Scott Sherrington*

2020.08.06

애휴 복잡한 문제네요

2020.08.06

글이너무길음 요약만 짧게쓰는법 연습좀
Edward O. Wilson*

2020.08.06

ㄴ직업병인거 같은데..
Charles Scott Sherrington*

2020.08.06

수도권 학생의 역차별은 확실히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기업이 있어야 도시가 있겠죠 왠만해서는 기업은 지역출신 인재를 선호합니다. 근속년수가 높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보면 이득이라는 관점입니다.
이때문에 수도권에 훌륭한 인재들이 많으니 기업이 수도권으로 이전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현대는 노조때문에 실패했고 삼성은 이미 많은 사례가 있습니다. 공기업을 지방으로 뿌린이유와 지방할당제도 아마 이를 막고싶었을겁니다.

2020.08.06

윗댓글님아
기업이 지역출신 인재를 선호한다고 주장하시는데 그러면 지방대학 출신이 아니라 지방 출신을 뽑으면 되겠네요? 제가 지적한 현재의 지방 할당제의 문제점과 같은 맥락입니다
Edward O. Wilson*

2020.08.06

윗윗댓글아~ 핵심을 짚고 댓글달자~~
Charles Scott Sherrington*

2020.08.06

애휴 님도 억울하시겠네요 지방대에서 님말대로 실력도 없는데 지방할당으로 뽑힌 분들은 상경을 막도록 하는 제도적 보완이 있으면 좋겠는데 안타깝습니다.
지방출신이면 지역할당을 받는다 그것도 일리가 있을 수 있겠습니다. 그러면 제생각인데 같은 대학인데 단지 서울 거주자라서 합불이 갈렸으면 파장이 있을 수 있지않을까요 항상 trade off 는 있으니까요..
Edward O. Wilson*

2020.08.07

서울에서 지방대 오는게 많을까
지방에서 서울권 대학 오는게 많을까

자 THINKING

2020.08.07

단지 서울 거주라서 지방소재 기업 혹은 공공기관 취업에 탈락한다?

기회의 균등 측면에서는 차별이겠지만 ( 현재의 지방할당제도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오히려 지방할당제의 원래 목적인 수도권 과밀화 해소에는 더 도움이 되겠군요
Edward O. Wilson*

2020.08.07

그건 제가 지적한게 아니구요~ 그러면 지방대학이 아니라 지방출신을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는게 제 의견입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간 것 같지만...
Charles Scott Sherrington*

2020.08.07

님말대로 그렇게 하면 애초부터 취직까지 바라보고 초중고를 수도권에서 내려오는 사람도 있을테니 효과가 더 있을수는 있겠죠 역차별도 잡을수 있고 말이죠
저도 정확히는 무슨생각인지 잘 모르겠네요. 나라는 지방과 지거국을 같이 살리고 싶었나보죠 저도 수준이 높아져야만 하는 이유는 정확하게는 모르겠네요
님이 높은 자리에 올라가셔서 한번 바꿔보는것도 소원합니다
좋은밤 되시길 😃😃
Edward O. Wilson*

2020.08.07

내가 독재자되고 총 맞으면 바뀌는 부분이냐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