능력과 인성이 좋은 사람이 되야지 순혈주의 따지다가 패가망신하는건 이미 역사적으로도 과학적으로도 검증이 되었는데 해야되 이걸??
2025.01.09
근거가 많이 부족하네요. 동학부 출신이면 학교를 사랑하는 마음이 클수도 있다 이거 하나 정도아닐까요? 근거없이 "난 좋다고봄!" 이러면 누가 공감할까요. 그외로 개인적으로 학부가 아니라 저는 해당학교 출신 박사를 뽑는건 상당히 좋다고 봅니다. 그만큼 본인학교에서 학위를받아도 충분히 검증된 인재라는걸 학교스스로 인증하고 알려주는거니까요.
IF : 1
2025.01.09
충암파 같은거 말하는 거임?
대댓글 1개
2025.01.09
캬
2025.01.09
요즘 yk에서 왜 순혈주의가 생겼냐면 다른 학교 출신들이 자꾸 카이스트 서울대로 도망감ㅋㅋㅋㅋㅋㅋㅋ 실제로 총장이 자대출신 뽑자라고 말도 함
대댓글 1개
2025.01.09
이런 경우가 요즘 눈에 많이 보이는 것 같아요. 그래서 yk는 앞으로 능력있는 자대 출신 교수들을 더 선호할 거 같긴 해요
S는 학부 출신도 선호하지만 타학부 출신이라면 대학원을 S에서 나온 지원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큼. 어떻게든 S에서 공부를 조금이라도 했던 지원자를 매우 선호하는 경향이 있음. KY는 윗 댓글에서도 언급해주셨는데 최근에 SK로 이직하는 교수님들이 많아져서 최근 조교수 스펙을 보면 학부출신이 매우 높아짐. 근데 솔직히 내가 권한이 있다면 나라도 그렇게 할 듯.. 미국은 다양한 학부라고 표현하기보단 일단 교수를 뽑을 때 기본적인 연구실적과 더불어 포텐셜, 네트워크 등 한국보다 다양한 부분을 반영해서 학부가 다양하다고 느껴질 듯함. 솔직히 미국 대학교가 한국보다 많은 것을 고려하면 다양하다고 느껴지는 것은 어쩌면 착각일수도. 그리고 미국은 최종 학력을 참고하지 학부를 우리나라처럼 깊게 생각하진 않음. 우리나라는 그런 점에서 진짜 반성해야함.. 그만큼 교육자이자 과학자인 교수를 뽑는데, 지원자가 적어도 15년 이상 지나간 수능성 적을 미친 듯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이고...
2025.01.09
사실 본인이 속하지 않으면 안좋은거지 본인이 속하기만 하면 편한건 있지요. 윤리적인 문제이나 발전과는 별개로 심리적으로 편한건 있다고 생각합니다.
2025.01.08
2025.01.09
2025.01.09
대댓글 1개
2025.01.09
2025.01.09
대댓글 1개
2025.01.09
2025.01.09
2025.01.09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