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8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23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30 - 난 주말에 연구하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강제하는건 문제가 있을듯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5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23 - 미국에서 학부 했는데 어떤 학부생이 네이처 본지 1저자로 내기도 함. 비교하면 끝도 없음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7 - 아니 누가 쉬지 말랬나요? 주말에 공부도 안 하고 꼬박꼬박 쉬는 애들은 애초에 학문하고 어울리지 않는다는거지요. 도피성 진학해서 주말마다 노는 애들 괜히 찔려서 튀어나오네.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8 - 중딩급 능력의 박사생은 봤습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25 - 석사가 논문 1편써도 대단 or 믿을까 말까인데 5~6편인데다가 대학도 그리 높지않다면 120% 교수가썼다고 생각할거같네요
석사는 논문보다 학벌이 중요한가요?
9 - 그냥 학계가 회사에비해 힘을 못쓰고있으니까 accept을 줄여서 퀄리티를 높이는것을 포기하고 아예 늘려버려서 돈이나 벌자는 식으로 귀결된거임 걍 수업한번들은 학부생이 대충 베이스라인논문 베끼면 통과하는수준
ACL EMNLP 를 포함한 전반적인 자연어 논문들 퀄리티가 많이 내려간 것 같네요?
11 - 원래 교수라는 것이 다 그런거니까, 이해해줄 수 없나요?
교수도 사람이고 감정이 있습니다.ㅎㅎㅎ
어.떻.게. 해서든 나를 죽이려는 교수
9 - 어이 김씨 헛소리 그만하고 잠이나 자
MBTI 와 연구의 상관관계
17 - 요약하면 노력도 준비도 안해놓고 바라는 건 많다네요... 보통 눈 앞에 있는 거 치우기도 힘들어서 딴 거 신경 쓸 시간이 없을텐데
대학원 오면 원래 이런건가요?
10
노벨 과학상과 한국의 연구 환경 (feat. 생성형 AI)
2024.12.16

1. 연구 환경과 시스템의 문제
집단 나눠먹기식: 특정 연구 그룹이나 팀이 연구비를 독점적으로 운영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참여할 기회를 잃게 됨. 이는 연구의 다양성과 혁신을 저해함.
성과 되풀이: 연구자들이 이미 검증된 결과나 주제를 반복적으로 연구하게 되어 새로운 발견이 부족해짐.
행정공무원과 연구비 지원 기관의 서열 줄세우기: 연구비 지원 기관이 연구자나 팀을 평가할 때 특정 기관을 우대함. 이는 연구자들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고, 연구의 질보다 행정적 요구에 맞추게 만듦.
연구 무한 경쟁 가속화: 연구비 확보를 위한 무한 경쟁으로 인해 협업보다 경쟁이 우선시됨. 이는 연구자들 간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음.
2. 기초 과학 연구 부족
성과 가시성의 차이: 기초 과학 연구는 즉각적인 성과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어려워 연구비 지원에서 소외됨.
연구 줄세우기: 성과 기반의 평가 시스템으로 인해 기초 과학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기 어려워짐.
제한된 자원 배분: 기초 과학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연구자들이 응용 과학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기초 과학 연구가 쇠퇴함.
정책적 지원 필요: 기초 과학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장기적인 투자 필요.
3. 국제적 협력 부족
성과 중심의 연구 경향: 연구자들이 당장 성과가 나오는 연구에 집중하면서 국제적인 협력 기회를 놓치는 경향이 있음.
아류 연구의 증가: 국제적 협력이 부족해 독자적인 연구 방향이 낮아지고 아류 연구가 주를 이룸. 이는 한국 연구의 독창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킴.
4. 인재 양성과 지속성
성과 위주의 연구 문화: 성과 중심의 연구 문화로 인해 교육과 연구의 균형이 무너지고 기술적인 성과만 중시됨.
세계적인 경쟁력 저하: 연구자들이 독창적인 연구보다는 안전한 결과를 추구하게 되어 글로벌 경쟁력 저하로 이어짐.
산업체로의 이직: 연구직으로의 지속적인 진입이 어려운 경우, 박사과정 졸업생들이 산업계로 진출하게 됨. 이는 연구 분야의 인재 풀이 감소함.
연구직으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 부족: 산업계로의 이직이 증가하면서 연구직에서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해질 수 있음. 이는 연구의 질을 저해함.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의 연구 환경과 인재 양성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연구자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자는 왜 가난해야지? 김GPT 69 43 16129-
12 9 2247
연구실 내 외국인 학생들과 지내면서. 김GPT 55 40 13891-
41 16 6687 -
98 12 10973 -
89 21 10032 -
31 38 5911 -
18 42 7374
요즘시대에 연구 못하는게 이해가 안됨 김GPT 77 35 11204-
378 71 48834 -
220 30 81491 -
64 31 3265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14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8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58 - 학부생 스펙 이정도면 카이스트나 서울대 AI대학원 가능할까요?
5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7 - 현재 석박사님들이 생각하기에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8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9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14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8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4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36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58 - 학부생 스펙 이정도면 카이스트나 서울대 AI대학원 가능할까요?
5 - CCUS 연구 랩실 어디가 가장 실력있나요? 질문 및 추천
4 - 면접을 너무 망쳤는데 랩실에 합격여부 사전문의
7 - 현재 석박사님들이 생각하기에
6 - 2~3년 지난 한국형 딥시크 만든다고 떠들썩한거 나만 웃기나 ㅋㅋ
8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12.17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