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저런 놈들이 사회에 나와서 우리를 진찰한다고 생각하면 눈앞이 아찔하다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19 - 의대생들은 잘 뭉치는데
공대생들은 모래알인거 자랑하는거야?
자폭하는 글인가?
원글이 능지점검 시간이네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36 - 그냥 말 그대로 님이 B학교 말고 A학교도 괜찮다면 A학교 입시를하고 본인 연구실 컨택하는건 어떻냐고 물어보시는거에요. 님이 A학교 말고 B학교를 가야하겠다면 못들어가는거구요..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16 - 말을 이해못함니깐? 인간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26 - 대학원 갈 수준이 아닌거 같은데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35 - ㅋㅋㅋㅋㅋㅋㅋㅋ 간절하니까 일반적인 내용도 심각하게 받아들이나보죠 댓글들 너무하네
정신차리고 보면 무슨 의미인지 알테니 냉수 한 잔 마시고 오세요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57 - 떠먹여줄까 하다가 너가 너무 부족해서 안 내신 걸 돌려서 말해준건데 그걸 여기에 올려서 또 지껄이는 수준 ㅋㅋㅋㅋㅋ 그냥 자퇴나 해
교수님 통해서 원하는 기업 지원하려고 교수님께 이력서 드렸는데
39 - 기업 이력서는 너가 계속 확인해야지 교수님이 못 냈다고 징징대는 수준 하고는 그 기업이 너를 안 받아서 다행이다
교수님 통해서 원하는 기업 지원하려고 교수님께 이력서 드렸는데
36 - 통보할 의사가 없었다고 하지만, 사실상 통보나 마찬가지죠. 지도교수님께서 학연생 못 그만두게 한다고 계속할 건 아니었잖아요? 그러니까 통보죠. 그 부분은 앞으로 조심하면 될 문제라 생각합니다. 근데, 대학원도 아니고 학부 졸업인데 글쓴분이 졸업 요건이 된다는 가정 하에 교수님께서 졸업을 막는 것이 가능한 부분인지 모르겠습니다. 협박성 멘트일 가능성이 높죠. 진짜로 저 문제로 졸업을 못한다면, 저라면 인권센터든 뭐든 다 신고할듯하네요.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3 - 몇가지 중요한 내용이 빠진듯 합니다. “리뷰논문으로의 전환을 희망합니다” 라는 것이, 졸업 요건에 대한 내용이면 교수님과 적절한 상담을 먼저하는게 맞는 행동인거 같습니다. 해당 교수님과 졸업 작품 등의 작업을 진행하시고 계셨다면, 교수님이 글쓴이에게 졸업작품 fail을 줄 수 있는 권한 정도는 있어보입니다.
반대로, 단순 학부연구생을 하다가 그만둔 것이면, 교수님이 학생 졸업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거에요.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17 - 윗 덧글들 다 맞고 그런데 궁금한게,
상담 신청이 왜 부담스럽죠?? 상식적으로 카톡으로 업무나 심지어 중요한 사안을 보내는게 훨씬 부담스럽지 않나요?
메일로 상담 신청해서 시간 되실 때 찾아 뵙고 싶습니다 라고 보내는게 세상에서 가장 안 부담스럽고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 같은데요.
글에서도 변명 같은 뉘양스가 많이 나오는데 아마도 교수님에게 카톡 통보후 교수님의 답이 왔을 때, 비슷하게 변명을 하시다보니 분노가 더 커지신거 같네요. 리뷰논문 전환이 정확히 어떤걸 뜻하는진 모르겠으나, 논문 마무리는 잘 안될 가능성이 있겠네요.
학부 졸업은 뭐.. 학교 요건만 만족하셨으면 교수가 막을 일은 없죠(졸업 요건이 그 교수님과 관계된거면 졸업 막는게 가능하구요)
진짜 졸업이 막힐 위기라면 정중하게 사과하시는게 베스트입니다. 딴 내용/변명 추가하지 말고 순수하게 죄송하다는 사과요.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15 - 일의 경중을 따지는 것보다 '일단 나는 전달했다'라는 것에 위안 삼는 학생들이 많은 듯 함.
어떤 정보를 빨리 전달하는 것보다, 어떻게 전달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했으면 좋겠는데, 요즘은 '소수의 학생들'이 그러지 않는 것 같음.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22 - 학부생이 그럴수도 있죠 사회 초년생한테 너무 막나가시네 ㅋㅋ
그리고 너 졸업 못시켜줘 노발대발하는 교수도 과도한듯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16
노벨 과학상과 한국의 연구 환경 (feat. 생성형 AI)
2024.12.16

1. 연구 환경과 시스템의 문제
집단 나눠먹기식: 특정 연구 그룹이나 팀이 연구비를 독점적으로 운영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참여할 기회를 잃게 됨. 이는 연구의 다양성과 혁신을 저해함.
성과 되풀이: 연구자들이 이미 검증된 결과나 주제를 반복적으로 연구하게 되어 새로운 발견이 부족해짐.
행정공무원과 연구비 지원 기관의 서열 줄세우기: 연구비 지원 기관이 연구자나 팀을 평가할 때 특정 기관을 우대함. 이는 연구자들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고, 연구의 질보다 행정적 요구에 맞추게 만듦.
연구 무한 경쟁 가속화: 연구비 확보를 위한 무한 경쟁으로 인해 협업보다 경쟁이 우선시됨. 이는 연구자들 간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음.
2. 기초 과학 연구 부족
성과 가시성의 차이: 기초 과학 연구는 즉각적인 성과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어려워 연구비 지원에서 소외됨.
연구 줄세우기: 성과 기반의 평가 시스템으로 인해 기초 과학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기 어려워짐.
제한된 자원 배분: 기초 과학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연구자들이 응용 과학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기초 과학 연구가 쇠퇴함.
정책적 지원 필요: 기초 과학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장기적인 투자 필요.
3. 국제적 협력 부족
성과 중심의 연구 경향: 연구자들이 당장 성과가 나오는 연구에 집중하면서 국제적인 협력 기회를 놓치는 경향이 있음.
아류 연구의 증가: 국제적 협력이 부족해 독자적인 연구 방향이 낮아지고 아류 연구가 주를 이룸. 이는 한국 연구의 독창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킴.
4. 인재 양성과 지속성
성과 위주의 연구 문화: 성과 중심의 연구 문화로 인해 교육과 연구의 균형이 무너지고 기술적인 성과만 중시됨.
세계적인 경쟁력 저하: 연구자들이 독창적인 연구보다는 안전한 결과를 추구하게 되어 글로벌 경쟁력 저하로 이어짐.
산업체로의 이직: 연구직으로의 지속적인 진입이 어려운 경우, 박사과정 졸업생들이 산업계로 진출하게 됨. 이는 연구 분야의 인재 풀이 감소함.
연구직으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 부족: 산업계로의 이직이 증가하면서 연구직에서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해질 수 있음. 이는 연구의 질을 저해함.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의 연구 환경과 인재 양성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연구자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학원에 답답한 친구들이 많이 보이네요... 명예의전당 267 31 46460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 명예의전당 226 23 60919-
163 33 4580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81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80 - 연대가 포스텍보다 더 낫다는 애들은 정신병자임?
91 - OO대학교 ㅇㅈㅎ 교수
29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99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52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78 -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41 - 아직 철도 안든채로 교수임용
30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61 - 지도교수님이 너무너무 싫습니다.
19 - 컨택은 성적20퍼+ 노력 30퍼+ 운 50퍼 인듯
9 - 서울 2호선 사시는 분들 !
4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23 - 포스텍 기숙사 무서워요
14 - 대가 교수님 한명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27 - 교수님 통해서 원하는 기업 지원하려고 교수님께 이력서 드렸는데
37 -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습니다;; 대학원 입학이라던지...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 관련)
18 - MD인 랩 진학 고민
8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4 - 석사 실적 평가부탁드립니다...
11 - 석사 후 취업할 생각이면 대학원 레벨이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8 - 컨택하고자 하는 실험실이 잘하다 망하고 있다면 빌런은
1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15 - 진짜 하나만 골라주세요 낭만 있는 곳으로 가고 싶습니다
10 - Ai분야 교수 임용 난이도?
7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학벌에 따른 학생 수준 차이" 고발
81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380 - 연대가 포스텍보다 더 낫다는 애들은 정신병자임?
91 - OO대학교 ㅇㅈㅎ 교수
29 - 과학기술이 더는 발전하지않았으면 좋겠습니다
99 - (혐주의) 의사집단은 의대생부터가 걍 좃댓네
52 - 교수님 너무하십니다 저는 단지 교수님께 피해를끼치고싶지않아서 찾아간것뿐입니다..
78 - 학부생 여자친구와 교수의 술자리 고민
41 - 아직 철도 안든채로 교수임용
30 - 교수를 원하는 사람들에게 하는 아조씨의 조언
61 - 지도교수님이 너무너무 싫습니다.
19 - 컨택은 성적20퍼+ 노력 30퍼+ 운 50퍼 인듯
9 - 서울 2호선 사시는 분들 !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63 - 미국 컴공 석사 관련 질문
9 - 교수님한테 메일왔는데 무슨뜻인지 봐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
23 - 대가 교수님 한명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27 - 교수님 통해서 원하는 기업 지원하려고 교수님께 이력서 드렸는데
37 - 앞으로의 진로에 대해 고민이 많습니다;; 대학원 입학이라던지... (데이터 사이언스 대학원 관련)
18 - MD인 랩 진학 고민
8 - 학부연구생인 저와 교수님 마찰로 인해 졸업이 불투명해졌습니다.
24 - 석사 실적 평가부탁드립니다...
11 - 석사 후 취업할 생각이면 대학원 레벨이 영향을 많이 미치나요?
8 - 컨택하고자 하는 실험실이 잘하다 망하고 있다면 빌런은
12 - 밑에 학부생 인턴 글 보니깐 요즘 학생들 사람들 관계가 무슨 게임인 줄 아는 것 같음
15 - 진짜 하나만 골라주세요 낭만 있는 곳으로 가고 싶습니다
10
2024.12.17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