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남자가 ㅄ인건 확실한데, 높은 확률로 모쏠이 들이댈 정도면 여자가 여지를 주는 경우도 꽤 있음.
모쏠은 아무나 안(정확힌 못)건드림. 자기에게 여지를 주는 애한테 혼자 착각 빠져서 들이대는거지 눈치도 없거든 보통.
여자는 난 그냥 사회 생활 한거다/몰랐다 무새 하는 경우가 많은데, 솔직히 그거 모를수가 없음. 본인이 은근히 빨아먹을게 있어서 살짝 밀당 좀 한 것도 있을꺼임.
그래서 난 여미새나 그거 받아주다가 나중에 연구실 분위기 박살내는 여자애나 다 곱게 안봄..
연구실 여미새는 본인이 티가 안 난다고 생각하는 걸까
30 - 누가보면 포닥마치신줄 알겠어요 ㅋㅋㅋㅋㅋㅋ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57 - 비판은 계속 되겠지만 여전히 안 망했을 듯요 오히려 2050년 경에는 세계 5대 경제대국 군사대국 되있을 것 같으니깐 너무 걱정 마세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50 - 자율주행 기술 없다에서 나라가 망한다는 결론까지 도달하다니ㅋㅋ 논리 수준 심각하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25 - 족쇄 자랑들 하냐? 댓글들 장난 아니네.
글쓴이님, 너무 힘드시면 좀 쉬어가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체력이 떨어지고 피로해지면 좋아하던 것도 싫증나기 마련입니다.
인생은 레이스가 아니니까요.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31 - 근거 없는 자신감이라고 하죠.. ㅎㅎ 확실한건 2050년에는 세계 최고수준의 노인대국 돼있을겁니다.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29 - 근거 없는 패배감 보단 낫죠. 어차피 문제는 있을 것이고 거기에 대한 대응책도 계속 나올 것입니다. 반도체 전기전자 우주항공 조선 철강 석유화학 신소재 군사 문화 많은 부분에서 우리나라가 앞서고 있죠. 앞으로 어려운 점들도 있겠지만 과거에 그랬든 미래에도 잘 대처해 나갈 거라고 믿습니다. 노령화 사회문제도 마찬가지고요. 망했다는 게 정확히 뭘 말씀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지만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25 - 다들 연구만 해서 그런가 댓글에 쿨찐밖에 없네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22 - 노령화로 인해서 생기는 여러 문제는 당장 옆에있는 일본만 봐도 알수있는데, 우리나라는 이미 인구구조가 더 심각하게 박살나있습니다.
근거없는 패배감이 아니라, 근거가 명확한데 사람들이 안보려고 하는것일뿐이죠. 노령화 사회문제에 대해서 현명하게 대처할수있는건 10년전에 할수있는 말입니다. 베이컨님의 연령대를모르지만, 저는 30중반인데 한국에서 학위를빨리받고 정출연에서 재직하다가 미국넘어온 경우입니다. 정출연에 재직하게되면 결국 책임선배님들과 항상 자녀얘기를 많이 듣게되는데, 우리나라는 사교육으로 인한 부모들의 소비문제는 심각합니다. 그렇다고 정치계에서 사교육을 없앨수 있을까요? 없앤다고해도 지금까지 좋은대학가면 성공한다는 막연한 믿음이 사라질까요? 마치 불패의 신화 집값처럼요. 정치쪽에서는 근본적인 원인파악 없이, 항상 보여주기식 8천만 포닥같은 정책이나 내고잇는걸요.
저는 여튼 여러가지를 고려할때 최소한 자녀는 미국에서 키우는게 낫다는 판단하에 미국정착했는데, 개인적으로 한국에 대해서는 상당히 회의적입니다. 제 인생만보면 제가 은퇴할때까지는 낫배드일수도있지만, 제 자녀가 살아갈 시대는 절대적으로 문제가 심각할것이라 생각하네요. 뭐 알아서 판단해서 살아가는거니 한국에서 잘 대처하길 바라면서 열심히 살아가시는것도 응원합니다. 저같이 도피자가 한국사회에 대해서 이렇다 저렇다 하는것도 염치없는것같기도하네요.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18 - 부럽다
우리 교수는 내가 가르쳐주고, 다음 미팅 때 백지화 되있어서 또 설명해주고 반복임, 피드백도 오! 너무 좋네! 끝. 연구적인 피드백 전혀 없음.
연구하는게 아니라 그냥 혼자 학교에서 자습하는 것 같음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24 - 건설한 토론과 정당한 의문과 비판적인 자세는 연구자에게 좋으나 너무 교수를 무시하진 말아주세요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20 - 근데 원래 토론은 그렇게 하는거에요. 꼭 개긴다고 표현하는 건 우리나라 안좋은 문화이고, 본인의견을 모두말하고 또 받고 하면서 서로 성장하는것. 그나저나 건설적인 좋은 대화를 받을수 있는 자세가 두분에게 되있는것 같아 보기좋네요. 자기의견이랑 다르면 얼굴바로 어두워지면서 대화가 아예 안되고 심지어 자기의견 맞는거 보여주고 싶어서 학생 연구나 실험 안되기를 바라는 마인드를 가진 교수들도 있어요. 전형적인 소인배 열등감 우물안 개구리로 자란 교수들이요.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25 - 요즘은 사기업에서 직급이나 대우를 다르게 하는 일은 많이 없다고 알고있습니다. 그래도 취업할 때 좋은 학교면 유리하긴 하겠죠? 교수임용에는 솔직히 영향이 아예 없다고는 말씀못드리겠지만, 이공계열에서는 성과 좋으면 학벌 인식은 극복 가능합니다. 그런데 그냥 학벌 가산점때문에 뽑힌다기 보다는, 좀 재귀적인 대답이긴 하지만, 실적을 잘 낼만큼 능력이 좋은 사람은 애초에 좋은 대학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는 방향으로도 생각해보세요.
박사 학위 받는 곳에 따라 그렇게 차이나나요?
15
노벨 과학상과 한국의 연구 환경 (feat. 생성형 AI)
2024.12.16

1. 연구 환경과 시스템의 문제
집단 나눠먹기식: 특정 연구 그룹이나 팀이 연구비를 독점적으로 운영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참여할 기회를 잃게 됨. 이는 연구의 다양성과 혁신을 저해함.
성과 되풀이: 연구자들이 이미 검증된 결과나 주제를 반복적으로 연구하게 되어 새로운 발견이 부족해짐.
행정공무원과 연구비 지원 기관의 서열 줄세우기: 연구비 지원 기관이 연구자나 팀을 평가할 때 특정 기관을 우대함. 이는 연구자들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고, 연구의 질보다 행정적 요구에 맞추게 만듦.
연구 무한 경쟁 가속화: 연구비 확보를 위한 무한 경쟁으로 인해 협업보다 경쟁이 우선시됨. 이는 연구자들 간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음.
2. 기초 과학 연구 부족
성과 가시성의 차이: 기초 과학 연구는 즉각적인 성과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어려워 연구비 지원에서 소외됨.
연구 줄세우기: 성과 기반의 평가 시스템으로 인해 기초 과학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기 어려워짐.
제한된 자원 배분: 기초 과학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연구자들이 응용 과학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기초 과학 연구가 쇠퇴함.
정책적 지원 필요: 기초 과학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장기적인 투자 필요.
3. 국제적 협력 부족
성과 중심의 연구 경향: 연구자들이 당장 성과가 나오는 연구에 집중하면서 국제적인 협력 기회를 놓치는 경향이 있음.
아류 연구의 증가: 국제적 협력이 부족해 독자적인 연구 방향이 낮아지고 아류 연구가 주를 이룸. 이는 한국 연구의 독창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킴.
4. 인재 양성과 지속성
성과 위주의 연구 문화: 성과 중심의 연구 문화로 인해 교육과 연구의 균형이 무너지고 기술적인 성과만 중시됨.
세계적인 경쟁력 저하: 연구자들이 독창적인 연구보다는 안전한 결과를 추구하게 되어 글로벌 경쟁력 저하로 이어짐.
산업체로의 이직: 연구직으로의 지속적인 진입이 어려운 경우, 박사과정 졸업생들이 산업계로 진출하게 됨. 이는 연구 분야의 인재 풀이 감소함.
연구직으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 부족: 산업계로의 이직이 증가하면서 연구직에서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해질 수 있음. 이는 연구의 질을 저해함.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의 연구 환경과 인재 양성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연구자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9 32 34986
아즈매와 마음 건강 명예의전당 81 23 12097
좋은 논문을 쓰기 위해 필요한 역량 명예의전당 274 11 56649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262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13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92 - 분야와 적성 직업에 대한 저의 느낌 (장문 주의)
268 - 현대식 저널 판별법
17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85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36 - 이 연구실 가도 되는걸까요?
9 - 랩실 나가고 나서까지도 스스로가 계속 실망스럽네요
19 - 배급견으로부터 연구윤리를 지키자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자
21 - 대학원 진학에 대한 걱정
5 - 美는 이미 'AI 법률 비서' 대세인데…그들만의 리그에 갇힌 서초동
16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13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262 - 박사 8학기 자퇴... 2년뒤 후기
513 - 박사졸업이 길어져 남편이 힘들어합니다. 제가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194 - 분야와 적성 직업에 대한 저의 느낌 (장문 주의)
268 - 현대식 저널 판별법
17 - 드디어 졸업합니다!! 교수님 마땅하십니까? ㅋㅋㅋㅋ
85 - 무슨 일이 있었던거임
36 - 이 연구실 가도 되는걸까요?
9 - 랩실 나가고 나서까지도 스스로가 계속 실망스럽네요
19 - 배급견으로부터 연구윤리를 지키자 자유 대한민국을 수호하자
21 - 대학원 진학에 대한 걱정
5 - 美는 이미 'AI 법률 비서' 대세인데…그들만의 리그에 갇힌 서초동
16 - 직장에서 도망친놈 받아주면 안되는 이유
13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60 - 김박사넷 | 미국 Virginia Tech 신임 교수 초청 웨비나
81 - 미국 Ph.D 풀펀딩 유학을 도전해보고 싶은데 지사대 학부생입니다.
33 - 학부때 걍 쳐놀걸 그랬습니다
39 - 요즘 한국 사회돌아가는거 보면 유럽이 왜 망했는지 알거같음
44 - 유니 수준?
6 - 교수님께 개기지 말아야겠다고 느낀 순간
13 - 대학원 출퇴근 시간과 저녁 없는 삶에 관하여.
18 - 논문 연간 몇개정도 써야 월급값을 할까요?
35 - 박사 학위 받는 곳에 따라 그렇게 차이나나요?
9 - 한국에 유독 재료공학 하는 사람이 많은듯?
7 - ai 랩 진학
5 - 카이스트 경영대학원 진학 현실적 조언 부탁드립니다
17
2024.12.17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