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바쁜 박사과정이신데 왜 아직도 게시판에 기웃거리시나요? 궁금합니다. 거기가면 많이 외로운지
9 - 일단 연세대 가면 뭔가 지리적으로 도움 될거 같다 생각하시는 것 같은데, 학회 맨날 있는것도 아니고, 카이스트 학생들 전국으로 잘만 다닙니다. 절대 그런걸로 고민 마시구요. 카이스트가서 잘 기본기 닦으시고 대학원은 그후에 원하는 곳 찾아 카이스트 아닌곳 가셔도 됩니다. 연세대 가시면 100퍼 후회하십니다.
29 - 연대붙은애들 종종 연구목적이나 학비때문에 지스트로 많이들 옵니다. 지스트 추천드립니다
9 - Q1. 한양대 vs 성대
장학금과, 학과가 컴공이라는 이유로 당연히 성대를 가야겠다 생각했는데, 인터넷을 보다보니 한>성 이라는 말이 많이 보여서 조언 주세요. 컴공과 데이터사이언스 학과가 비슷한가요 아니면 느낌이 다른가요?
한 = 성
Q2. 성대 vs 지스트
성대 장학금 있으니까 학비 지원 쪽은 비교 안해도 될것같구요, 집은 경기도여서 성대랑 매우 가깝습니다.
저는 연구 성향인지 아직 잘 모르겠지만, 나중에 취업을 하게 되더라도 일단 대학원까지 제대로 가고 싶어요. 그러려면 대학에서 학점도 잘 따야할 것 같은데, 전반적으로 조합했을 때 어디가 낫다고 생각하시나요? ist에서는 연구 활동을 미리 접할 수 있다는 점이 많이 도움되나요?
지 > 성
Q3. 연대 vs 지스트
연논(전기전자) 재시험 결과도 기다리고 있는데요, 사실 떨어질 것 같긴 하지만 혹시 모르니까,, 이 둘을 비교하면 무조건 연대인가요? 아니면 대학원이나 학점 따는 것을 고려했을 때 지스트에 가는 학생들도 있나요? 서울에서 놀 수 있다 이런 건 최대한 제외하고 생각해주세요. 그리고 솔직히 연대는 학비가 부담되기도 해서 여쭤봅니다 ㅠㅠ
학부는 지 = 연
대학원은 지 > 연
16 - 연대 되면 무조건 연대
성대 한양 중에는 과 집위치 장학금 고려해서 성대가 나아보이나 한대를 간다고 특별히 나쁘지도 않을것같네요.
지스트는 지방생활을 학부때부터 할필요는 없다고보고
대학원부터 고려해보세요.
제 의견일뿐이고
다른의견들도 참고해서 결정해보세요
8 - 그냥 할거다하면서 공부해도 4점대 나와요.
17 - 3자 입장에서 보면 당연한거죠ㅎ
본인부터 카이 떨어지고 유니 가신거잖아요.
연고도 아니고 유니면 카이대비 차이가 제법 나지요.
냉정히 말씀 드리는겁니다.
어느 학교던 자대생 우대하고 접접이 있는 제자를 교수님은 더 챙기시겠죠.
인기랩 같은경우 자대생도 밀려서 못들어가는 경우도 많은데요.
글타고 마냥 비관적으로 볼건 아닌게 본인이 열심히 하고 관련분야 연구실적 좋으면 카이 대학원 진학이 불가능은 아니죠.
유니정도면 본인 학점 연구커리어 잘 쌓으시면 인기랩은 힘들지 몰라도 들어가는건 문제 없다 봅니다.
9 - 돈있으면 임페리얼(사실 학교레벨은 비교하기 민망할정도로 임페리얼이 좋음)
돈없으면 강제국내행
11 - 어떤 선택을 해도 결국 후회가 따를 것이고, 그 책임은 스스로가 감당해야 하는 것 같습니다.
저는 학위를 시작할 때도 비슷한 이유로 부모님의 만류가 있었고, 그때는 제가 고집을 부려 진학을 했습니다. 비슷하게 제 꿈을 위해서 포닥을 나갈지 가족을 위해 경제 활동을 할지 고민했는데 결국 취업으로 결정했습니다.
가끔 들려오는 동료들 소식을 들어보면 약간 후회되기는 하나 잠깐 뿐이고 현재는 만족스럽습니다. 또, 산업계로 나간다해도 포닥을 나갈수 없는건 아니고요 주변 동료들도 퇴사 후 다시 자기 꿈을 찾아 나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을 공유드리자면... 저만 나이가 드는게 아니라 부모님도 같이 늙어 가는 신세다 보니 더이상 이기적으로 구는건 아닌것 같더라구요. 어엿한 직장인이 되어 용돈도 드리다 보니 부모님께서도 너무 행복해하시고 친척 지인분들하고도 자주 만나시고...
아무튼 돌이켜보니 인생은 저만 사는게 아니더라구요. 저라는 주체가 부모형제와 가지로 연결되어 있듯, 부모님 각자도 다른가지로 친구 지인 친척들하고도 연결되어 있겠죠. 이렇게 끊임없이 연결된 유기체 속에서 제게서 발동된 행복에너지가 전파되는걸 보니, 그냥 취업하길 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9 - 전형적인 나르시스트네요.
본인만 잘나면 되는거고, 그 주변관계는 전부 자기를 돋보기이 위한 도구일 뿐입니다. 저도 그런 교수 밑에서 학위했고 학위과정때는 정말 농담이아니라 공황장애까지 터져서 쳐죽이고 싶었는데, 나와서 안마주치니까 괜찮아 졌습니다. 뭐 그렇다고 그새기에 대한 감정이 없어진건 아니구 연락앞으로도 안할거고 그딴곳 홈커밍 안갈거고 그낭 알룸나이에서도 지워주길바라네요
14
노벨 과학상과 한국의 연구 환경 (feat. 생성형 AI)
2024.12.16
아래는 한국의 노벨 과학상 수상 부재에 대한 주요 요인들을 항목별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연구 환경과 시스템의 문제
집단 나눠먹기식: 특정 연구 그룹이나 팀이 연구비를 독점적으로 운영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참여할 기회를 잃게 됨. 이는 연구의 다양성과 혁신을 저해함.
성과 되풀이: 연구자들이 이미 검증된 결과나 주제를 반복적으로 연구하게 되어 새로운 발견이 부족해짐.
행정공무원과 연구비 지원 기관의 서열 줄세우기: 연구비 지원 기관이 연구자나 팀을 평가할 때 특정 기관을 우대함. 이는 연구자들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고, 연구의 질보다 행정적 요구에 맞추게 만듦.
연구 무한 경쟁 가속화: 연구비 확보를 위한 무한 경쟁으로 인해 협업보다 경쟁이 우선시됨. 이는 연구자들 간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음.
2. 기초 과학 연구 부족
성과 가시성의 차이: 기초 과학 연구는 즉각적인 성과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어려워 연구비 지원에서 소외됨.
연구 줄세우기: 성과 기반의 평가 시스템으로 인해 기초 과학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기 어려워짐.
제한된 자원 배분: 기초 과학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연구자들이 응용 과학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기초 과학 연구가 쇠퇴함.
정책적 지원 필요: 기초 과학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장기적인 투자 필요.
3. 국제적 협력 부족
성과 중심의 연구 경향: 연구자들이 당장 성과가 나오는 연구에 집중하면서 국제적인 협력 기회를 놓치는 경향이 있음.
아류 연구의 증가: 국제적 협력이 부족해 독자적인 연구 방향이 낮아지고 아류 연구가 주를 이룸. 이는 한국 연구의 독창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킴.
4. 인재 양성과 지속성
성과 위주의 연구 문화: 성과 중심의 연구 문화로 인해 교육과 연구의 균형이 무너지고 기술적인 성과만 중시됨.
세계적인 경쟁력 저하: 연구자들이 독창적인 연구보다는 안전한 결과를 추구하게 되어 글로벌 경쟁력 저하로 이어짐.
산업체로의 이직: 연구직으로의 지속적인 진입이 어려운 경우, 박사과정 졸업생들이 산업계로 진출하게 됨. 이는 연구 분야의 인재 풀이 감소함.
연구직으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 부족: 산업계로의 이직이 증가하면서 연구직에서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해질 수 있음. 이는 연구의 질을 저해함.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의 연구 환경과 인재 양성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연구자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연구 환경과 시스템의 문제
집단 나눠먹기식: 특정 연구 그룹이나 팀이 연구비를 독점적으로 운영하여 다른 연구자들이 참여할 기회를 잃게 됨. 이는 연구의 다양성과 혁신을 저해함.
성과 되풀이: 연구자들이 이미 검증된 결과나 주제를 반복적으로 연구하게 되어 새로운 발견이 부족해짐.
행정공무원과 연구비 지원 기관의 서열 줄세우기: 연구비 지원 기관이 연구자나 팀을 평가할 때 특정 기관을 우대함. 이는 연구자들에게 불필요한 스트레스를 주고, 연구의 질보다 행정적 요구에 맞추게 만듦.
연구 무한 경쟁 가속화: 연구비 확보를 위한 무한 경쟁으로 인해 협업보다 경쟁이 우선시됨. 이는 연구자들 간의 신뢰를 저하시킬 수 있음.
2. 기초 과학 연구 부족
성과 가시성의 차이: 기초 과학 연구는 즉각적인 성과나 경제적 이익을 창출하기 어려워 연구비 지원에서 소외됨.
연구 줄세우기: 성과 기반의 평가 시스템으로 인해 기초 과학 연구자들이 상대적으로 지원을 받기 어려워짐.
제한된 자원 배분: 기초 과학에 대한 지원 부족으로 연구자들이 응용 과학으로 방향을 전환하게 되어 기초 과학 연구가 쇠퇴함.
정책적 지원 필요: 기초 과학 분야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장기적인 투자 필요.
3. 국제적 협력 부족
성과 중심의 연구 경향: 연구자들이 당장 성과가 나오는 연구에 집중하면서 국제적인 협력 기회를 놓치는 경향이 있음.
아류 연구의 증가: 국제적 협력이 부족해 독자적인 연구 방향이 낮아지고 아류 연구가 주를 이룸. 이는 한국 연구의 독창성과 경쟁력을 저하시킴.
4. 인재 양성과 지속성
성과 위주의 연구 문화: 성과 중심의 연구 문화로 인해 교육과 연구의 균형이 무너지고 기술적인 성과만 중시됨.
세계적인 경쟁력 저하: 연구자들이 독창적인 연구보다는 안전한 결과를 추구하게 되어 글로벌 경쟁력 저하로 이어짐.
산업체로의 이직: 연구직으로의 지속적인 진입이 어려운 경우, 박사과정 졸업생들이 산업계로 진출하게 됨. 이는 연구 분야의 인재 풀이 감소함.
연구직으로서의 역할 수행 능력 부족: 산업계로의 이직이 증가하면서 연구직에서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나 전문성이 부족해질 수 있음. 이는 연구의 질을 저해함.
이러한 문제들은 한국의 연구 환경과 인재 양성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함을 강조합니다. 연구자들이 보다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문화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자는 왜 가난해야지? 김GPT 69 43 15367-
12 9 2026
연구실 내 외국인 학생들과 지내면서. 김GPT 52 39 12264-
41 16 6405 -
73 10 6148 -
59 14 7599 -
31 38 5223 -
18 42 7193
요즘시대에 연구 못하는게 이해가 안됨 김GPT 77 35 10714
아즈매와 마음 건강 명예의전당 79 18 9839-
296 33 80521 -
60 29 2937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양자컴퓨터 분야로 가고싶은 컴퓨터학과 재학생입니다
30 - 지스트, 디지스트 고민 중인 고등학생입니다. 카이스트 대학원을 목표로 삼고 싶은데, 너무 몰라서 여기서 도움을 청해봅니다.
12 - 중국 비네임드 석사 교환학생 (전공은 맞음) vs 일본 에키벤 석사 교환학생 (전공 안맞음)
9 - 2차전지 대학원 질문드립니다
8 - 29살 대학원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8 - 이거 진짜 억셉인가요? 진짜 끝난건가요?
10 - 과기원에서 A를 받는다는 건 어느 정도의 노력일까요?
12 - 연세대 vs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11 - 집안 경제 사정으로 포닥 포기 하는 건 좀 우스운 일일까요?
9 - Us 랭킹 100~150 위대 플래그쉽 주립대 별로일까요?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학과 선택 중 답답한 마음에 글 올려봅니다.. 조언 부탁드립니다.
11 - 미국 박사에 대해서 마음편하게 물어보세요.
19 - 양자컴퓨터 분야로 가고싶은 컴퓨터학과 재학생입니다
30 - 지스트, 디지스트 고민 중인 고등학생입니다. 카이스트 대학원을 목표로 삼고 싶은데, 너무 몰라서 여기서 도움을 청해봅니다.
12 - 중국 비네임드 석사 교환학생 (전공은 맞음) vs 일본 에키벤 석사 교환학생 (전공 안맞음)
9 - 이거 진짜 억셉인가요? 진짜 끝난건가요?
10 - 과기원에서 A를 받는다는 건 어느 정도의 노력일까요?
12 - 연세대 vs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11 - 집안 경제 사정으로 포닥 포기 하는 건 좀 우스운 일일까요?
9 - Us 랭킹 100~150 위대 플래그쉽 주립대 별로일까요?
11
2024.1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