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SK에 비해서 선호도가 좀 떨어지긴 하지만 P는 여전히 명실상부한 최고의 공대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사람이 적고 지방에 있다는 이유로 일부 타대 훌리들이 내려치기하기 딱 좋은 타겟인거죠.
무슨 별 의미도 없는 대학 랭킹 같은거 들이밀면서 뭐라 하는 사람들도 많은데,
연구 수준과 성과, 학생 지원 등은 의심할 여지 없이 최고 수준입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4 - 학위 이후 학계에 그리 오래 있지는 않았지만, P가 별로인가 라는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포항공대는 누구나 최고의 역량을 가진 학교로 인정하고, 그 이름값을 하는 학교입니다. 최근 도전적인 투자도 많이 하구요. 서울대 카이스트와 어깨를 나란히 해도 전혀 이상하지 않으니, 학교를 걱정하지 마시고 앞으로 오랜 기간 해야 할 박사과정의 주제와 목적의식에 집중하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김박사넷 내에서 여론이 안좋다는 것도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김박사넷에서도 다들 서카포, SPK 등등 표현을 당연하게 쓰는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훌륭한 학위 과정 보내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P는 이제 별로인가요...?
23 - 아니 대부분은 폐급 대학원생 남자가 아니라 그냥 폐급 인간에 대한 얘기잖아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31 - 찐 폐급: 자기는 폐급 아닌줄 알고 남 까는애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48 - 해외 명문대 갔으면 더 좋은 기회가 있었겠죠. 안주하지 마시길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8 - 탄탄한 허리층이 받쳐줘야 되는건 당연하죠. 그런데 무시하는게 아니라, 혁신은 기업 톱니바퀴로서 묵묵히 일하는 직장인들이 하기 어렵습니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해 시장을 새로 만들고, 해외와 기술력으로 경쟁하는건 결국 한두명의 우수한 인재들 중심으로 돌아갑니다.
해외에서도 탐낼만한 박사급 인력의 경우, 한국인 인재가 1년에 몇명 배출 안됩니다. 인공지능분야 국내박사 졸업생이 최근에 많아졌지만, 그 중에서 우수한 국박은 몇 안되는데 잘한다고 소문난 사람은 거의 미국으로 갑니다. 결국 남는 사람이 없어요.
나머지 괜찮은 인재들도... 기술력 바탕의 스타트업 창업등으로 새로운 시도를 해야되는데, 그냥 국내 대기업 들어가서 평범한 직장인으로서 대기업의 부품이 되고 맙니다. 미국과 중국처럼 우수 인재들을 바탕으로 기술중심의 신시장 창출은 잘 안됩니다.
이게 무슨말이냐면, 지금 우리나라 학생들 지원 프로그램이 이미 탄탄한 허리층 두텁게 하는데 많은 역할을 하는데 그치고 있고, 혁신을 해 줄 수 있는 특출난 한두명은 잘 키워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최근 인공지능 중심의 산업은, 더더욱 소수의 천재들이 주도합니다 .괜히 메타가 최근 천문학적 금액으로 인재 영입을 하는게 아니에요.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9 - 허리를 무시한다기보단
나라전체가 엘리트를 무시하고있죠.
돈도 비슷하게 줘야하고, 잘났다고말하면 돌맞고
근데 혁신은 그 소수의엘리트가 만드는것인데 그게안되고 누군가가 혁신일으켜주길 기다리는 소위 일잘하고 말잘듣는 허리만 너무많죠.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26 - BK사업을 비롯해서 엄청나게 많은 인력양성 프로그램이, 이공계 대학원 지원을 위해서 돌아가고 있습니다.
연구중심 대학이 아니더라도 대학원 티오도 많이 제공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대학별 뽑을 수 있는 대학원생 티오도 국가에서 관리합니다.)
이런 것들이 결국 석박사급 이공계 인력을 대거 양성하는데 활용되는 재원입니다. 이런거 없으면 애초에 대학원생 뽑는 인원도 많이 줄어들 수 밖에 없어요.
학부도 마찬가지에요. 유행하는 신규 학과들...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등 모두 관련분야 교수님들이나 학부생, 대학원생 많이 뽑으라고 국가가 대학에 지원금주면서 장려한겁니다. 지방쪽 기업 인력 충원도 고려해 지방 특화 지원 프로그램도 많습니다.
그동안 관심이 없으셨을거고, 숨쉬듯 당연한것으로 생각하고 계셨을 여러가지 국가 사업이 허리층 지원에 가까웠습니다.
이제는 여기에 더해서 최상위권 인재들까지도 의대에 쏠리지 않고 이공계로 육성해야지 된다는 취지에요.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7 - 딱 민주당 지지하는 똥팔육과 일치하네
ㅋㅋㅋㅋ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14 - 민주당식 좌파 평등주의!!
당장 김박사넷도 의사라면 빼애애애애액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3 - KS에 가셧으면 더 큰기회가 잇었을텐데 아쉽네요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5 - 지나가다 재밌어서 남겨봅니다.
최상위권 인재보다 허리 즉 다수의 우수한 박사 인재들도 더 대우해줘야 한다는 의미일까요?
아시는지는 모르겠으나 우리나라 대부분의 대기업에서도 같은 박사라해도 핵심인재로 분류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심지어 작성자님이 말하는 최상위권 인재는 입사 전부터 인사팀이 핵심인재 풀에서 정리하고 주기적으로 컨택하고 연봉도 훨씬 후하게 줍니다.
최상위권 인재는 왜 최상위권 인재로 분류될까요? 바로 리더 역할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분야의 전문성, 경험, 실적, 커리어 등 누구나 인정하고 결정을 따를 수 있다는 점에서요. 크게보면 상위권 박사들도 할줄 알고 쌓아갈 수 있지만, 결국 누구나 납득할만한 사람이 되는 것은 천지차이입니다. 그 차이를 알면 핀트를 바꾸는게 쉽지 않다는 것을 아실겁니다.
저는 산업을 이끌고 있는 수많은 상위권 우수 박사들이 최상위권 인재가 되기 위해 안주하지 않고 노력해야 인정받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최상위권 인재로 핀트가 맞춰져있는 것은 그들이 그만한 노력으로 그 자리에 있고, 역사로도 서수 엘리트들의 중요성이 검증됐으니까요.
어떤 조직이든 태양은 하나입니다. 누군가는 태양이 되려고 노력하는 사람이 있고 누군가는 자긴의 농작물을 빨리 자라게해달라고 열심히 해가 비추기만 바라고 있는 사람들이 있죠.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6 - 휴보 만들던 사람들이 레인보우로보틱스 설립해서
삼성 로봇 기술전략의 핵심이 됬는데
왜 휴보가 별거아닌거 같은 늬앙스냐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15
고3 물리학과 대학교 선택 조언 부탁드립니다. (카이스트, 연세대)
2024.12.14

감사하게도 카이스트 무학과, 연세대 물리학과에 합격한 상황입니다.
저는 이론물리학, 특히 양자장 분야를 연구하고 싶어서 물리학과에 지원했고, 가능하다면 석박사 후 연구원 쪽 진로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국내는 자대 대학원 진학이 유리하다고 알고 있고, 이론물리는 유학을 가야 한다는 의견을 들어서 유학도 생각 중입니다. 물론 제가 대학에서 잘해야겠지만요...
여쭤보고 싶은 점은
국내 또는 해외 대학원 진학까지 고려했을 때, 어떤 학교를 선택하는 것이 현명할까요?
학점, 공부 환경, 학부생 위치에서의 연구 경험 등 다양한 점을 고려해야 할텐데, 이미 대학원에 진학하신 입장에서 어떻게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카이스트가 연구중심 대학이기도 하고 여러 곳에서 높게 쳐준다는 점은 인지하고 있습니다. 다만 카이스트에는 이론물리 쪽 교수님이 몇 분 안 계신 걸로 알고 있고, 쟁쟁한 학생들 사이에서 학점을 따는 것도 자신 있진 않습니다..
연세대는 서울에 있으니 학회, 행사 참석이나 네트워킹?에 유리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아는 게 없다 보니 이런 고민들이 적절한지 잘 모르겠습니다.
(공부나 연구 외에 다른 점들은 괜찮습니다. 지방에 있든 서울에 있든, 영어 수업을 하든 안 하든 가서 적응할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그 외에도 대학원 지망 학부생으로서 할 일이나, 물리학과 진로 등등 아무거나 조언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근래에 눈팅하다보면 대학교를 서열화하는 글들이 있어 이런 글을 쓰는 것이 조심스럽지만, 진지한 조언을 듣고 싶어 올립니다. 한 마디라도 좋으니 댓글 남겨주시면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93 84 58838 명예의전당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207 41 25724
심심해서 풀어보는 대학원생 개꿀AI 앱 모음 명예의전당 113 19 52850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7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70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31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80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9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30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8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6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45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11 - 지피티가 저보다 코딩을 훨씬 잘합니다..
28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60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1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20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2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3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26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9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11 - 높은 타대에 갈 수 있다면 옮기는게 좋을까요?
7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13 - YK 파트박사 불합격..... 요즘 박사 진학 많이 하나요?
8 - 연구 집중에 관하여 조언 부탁드립니다.
8 - 연구환경이 좋은게 꼭 실적으로 이어질까?
8 - 회사다니다가 대학원 진학하려는데 교수님이 좋아하시려나요
11 -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1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재수로 풀펀딩 합격 "시험 점수는 그대로, 나만 바꿨다"
7 - 근데 학계 있다보면 진짜 썩었다는 생각 안드냐?
47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570 - 석사 월150.. 이거받고 대학원생활하는게 현타 ㄹㅇ
31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80 - 괴수랩은 아직 여전히 존재하나보네요
29 - 배가 가라앉기 전 탈출에 성공한 나..
30 - GPT로 논문 수정해서 제출하라는 교수님
8 - [속보] AI 입학정원 증원 빔 ㅋㅋㅋㅋㅋ.jpg
65 - ai 학과 증원 정책 보면 ㅈㄴ 한심하네 ㅋㅋㅋㅋ
45 - 수학자가 되고 싶은 아이, 학교선택
11 - 대학원생 남자 폐급론
60 - AI 스타펠로우십 선정 대학 목록
11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89 - 대한민국 학계가 답이 없는 이유
20 - P는 이제 별로인가요...?
32 - P에서 공부할 수 있는게 너무 감사한 요즘입니다.
13 - 스윗한 척 하는 남자 교수님 특징
26 - 이공계 인재유출 뉴스만 보면 핀트가 거슬리는 점
19 - 카이스트에 세계 최고수준의 인력 있는거 맞냐?
11 - 김박사넷, ‘연구자 커뮤니티’라는 정체성을 잃고 있습니다
13 - YK 파트박사 불합격..... 요즘 박사 진학 많이 하나요?
8 - 연구 집중에 관하여 조언 부탁드립니다.
8 - 연구환경이 좋은게 꼭 실적으로 이어질까?
8 - 회사다니다가 대학원 진학하려는데 교수님이 좋아하시려나요
11 - 원래 연구실이 이런건가요?
11
2024.12.14
대댓글 2개
2024.12.14
대댓글 1개
2024.12.14
대댓글 3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