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자대 석사 후 SKP 박사과정 가능할까요?

2024.10.31

11

1646

안녕하세요 학부 3학년 학생입니다.
학교를 완전 특정하는 건 조금 마음이 불편해 중시경건 중 하나라고만 밝히겠습니다 (4개 중에 아래쪽입니다)

먼저 저는 SKP 대학원을 생각하고 준비중이었습니다.
석박통합 + 전문연구요원으로 생각하고 학점은 4점 극초반입니다.


이번주에 자대에서 제가 제일 관심있는 주제 + 좋아하는 성향의 교수님께 메일이 왔습니다
"이번에 대형 과제를 받았고, 우수한 학생에게 먼저 연락하고있다.
정년이 얼마 안남아 4+1이 가능하다
관심있냐" 는 내용이었습니다.

다른 교수님이었으면 거절했겠지만 제가 과거에 컨택도 했었던 맘에 들어하는 교수님이라 고민이 됩니다

두가지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1. 자대에서 4+1 졸업 후 SKP 박사를 목표로 한다.
2. 그냥 SKP 석박 통합을 준비한다

어떤 방법을 더 추천하시나요
혹시 SKP는 석사 졸업생을 잘 받지 않는 편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10.31

4+1이 학석사 연계 말씀하시는건가요?

대댓글 4개

2024.10.31

저라면 연구 분야 보고 정할 것 같아요 연구 분야나 맡게될 과제가 SKP에서도 하는 랩이 있는지 찾아보세요

과바과 랩바랩이겠지만 저희 과는 석박 비율이 높기도 하고, 그러다보니까 동일 랩에서 석사 받고 박사까지 이어서 하는 사람들이 많아서 박사 TO 자체가 랩 내에서 해결이 되더라고요 인기있는 랩에서는 따로 박사만 하러 오는 분은 거의 못 보긴했어요ㅠ

2024.10.31

답글 감사합니다!
생명공학 계열인데, 저는 임상에 가까운 in vivo실험을 진행하는 분야들에 관심이 있습니다 (약물 전달..)
자대 교수님께서는 단백질 구조 화학 연구를 하셔서 완벽히 제 관심분야와 일치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자대의 4+1 학석사 연계가 제일 큰 메리트인데
선배님들께서 크게 고려해볼 부분이 아니라고 생각하시면 SKP를 조금 더 중점으로 고민해볼 것 같습니다

2024.11.01

해외박사나 석사취업에서는 4+1이 시간적인 측면에서 장점이 있는데, 국내 박사(+박사는 다른 랩에서 하고싶음)이 목표시면 크게 메리트가 있는지 잘 모르겠어요ㅠ

우연찮게 저랑 분야도 비슷하신데, in vitro나 단백질 연구로 in vivo 실험실 (SKP) 박사 컨택 자체가 쉽지 않을거예요.

약물 전달 쪽으로 꿈이 명확하시다면 첨부터 약물전달하는 랩 가는걸 조심스럽게 추천드립니다

2024.11.03

좋은 답글 감사합니다!! 조언 참고하여 좋은 결정 내려보도록하겠습니다

2024.10.31

경건하군요

대댓글 1개

2024.10.31

경건한가요 ㅎ

2024.10.31

4+1 이후에 자대 연구실에서 빠져나오기 힘들어질 수도 있습니다.
석사부터 원하는 대학의 연구실로 가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10.31

교수님께서 곧 정년퇴임이시라 빠져나오는것은 걱정 없을것 같습니다.
원래 4+1 절대 안해주시던분인데 정년 때문인지 이번에 처음으로 시행하시더라구요

2024.10.31

4+1 기간은 길게 봤을 때 중요한게 아니에요. 연구 분야의 흥미하고 실적 봤을 때 Spk 가는것보다 거기서 하는게 낫다고 판단되면 하세요.
그리고 박사는 인기랩의 경우 랩 내에서 진학하는 학생도 많아서 한번에 석박통합으로 가는게 유리합니다. 한번 찾아보세요. 학석 자대에서 하고 박사만 올린 경우가 많은지, 석박통합으로 간 경우가 많은지.

2024.11.01

SKP는 석사 졸업생을 잘 받지 않는 편이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