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회사나 정출연에 계신분들은 일하시는게

2024.10.14

13

1465

즐거우신가요?

학교에 계신분들은 연구의 자율성이 상대적으로 크고

하는 만큼 나오니 일이 재밌을거 같은데

혹시 회사나 정출연에 계신 분들도

재미를 많이 느끼시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2024.10.14

않이오 재밌는건 돈을 내고 하는겁니다

대댓글 2개

2024.10.14

돈낭비 x 시간낭비 = 즐거움

2024.10.14

재밌는걸 남의 돈으로하면 더욱 즐겁겠죠.

2024.10.14

학교에 있을 때보다 자율성이 큽니다.

그리고 배운 지식들을 실제 현업에서 실질적인 문제 해결에 활용하며, 새로운 지식을 만들어내는 것이 재미있습니다.

물론 '상대적으로' 특별한 경우죠.

제 분야는 아카데미아에서도 많이 다루지만, 인더스트리가 기초 연구나 실용적인 측면에서 훨씬 앞서 있고,

ROI가 크기 때문에 자율성을 가지고 계속 프런티어를 넓혀가는 것이 오랫동안 자리 잡은 문화인 것 같습니다.

2024.10.14

정출연은 회사보다 학교에 더 가깝습니다
정출연, 학교를 묶어서 학계라고 하죠

대댓글 5개

2024.10.14

정출연 재직하시면 그렇다고 말할수도 없긴해요. 회사에 더 가까울때가 훨씬 많다고 생각합니다. 위에서 까라면 까고, 또 실적은 본인이 가로채는 경우 허다합니다. 교수의 장점이 힘들어도 본인의 실적은 본인이름으로 나온다는 말이 정출연내에서도 나오는게ㅜ괜히그런게 아닙니다. 기관마다 차이는 잇겟네요.

2024.10.14

굳이 묶자면 묶겠지만.. 학계는 주로 학교를 말합니다.

2024.10.15

마르셀 프루스트 님. 어디 정출연이 그런가요..? 그리고 위에 책임분이 그렇게 하시면 한번 들이박아도 되요. 어차피 고과는 실적으로 받는거고. 고과랑 안정성이랑 상관도 없고. 그게 정출연 장점이에요

2024.10.15

KIST인데 저희도 그렇고 주변 화연 등 매ㅡ메이저 정출연 박사님들 보면 연구 활동 독립적으로 활발히 합니다
근데 에트리 같이 메이저인데도 회사 같은 정출연들도 있긴 하죠.. 어느 정도는 동의합니다

2024.10.15

회사 있다가 정출연 왔는데 회사보다 학교에 훨씬 가깝습니다..

2024.10.14

세간에 정출연에대한 부정적인 우려들이 많은것도 알고는 있지만 저는 정출연에서 아주 즐겁게 일하고 있어요. 운좋게도 리서치핏이 아주 잘맞는 곳으로 왔고, 나름 잘나가는 부서 소속이라 연구비도 풍족합니다.

상사들도 제 개인연구 시간내서 하는거 안말리고 응원해주십니다. 잘 디벨롭 해서 나중에 우리 과제 기획에 녹여내보자고 밀어주시고요. 행정 업무가 없는건 아니지만 웬만한 학교 초임 교수들 보다는 적다고 생각합니다.

학위과정때부터 알던 교수님들도 과제 같이하는데 서로 윈윈이 되는 것 같아요. 각자 어려운 부분들을 긁어줄 일이 꽤 있습니다.

2024.10.15

정출연인데 자율성은 학교보다 훨씬 떨어지는 것 같아요
재미는 개인의 몫인 것 같습니다

2024.10.16

재미없음, 현장이나 사업부에서 필요한거만 시킴. 원가절감, 신사업 이런 연구만 주로 합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