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3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2 - 대부분 맞는 이야기이긴 한데요.
조교수 랩에 대해 너무 긍정적인 이야기만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음 셋업하는 랩에서 고생만 하고 졸업하거나 포닥 때는 좋은 논문 많이 낸 사람이 교수 임용 되고 본인 교신으로는 좋은 논문 못 내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신생랩 선호하지 않는 거고요.
결론은 일단 최근 퍼블리케이션을 꼼꼼하게 봐야 합니다.
그 랩 멤버가 일저자, 교수가 교신저자인 논문만 봐야하고,
랩 멤버 수 대비 논문 양과 질이 괜찮은지,
좋은 논문들이 한 두 명에 집중되지 않고 골고루 쓰는지 보면 됩니다.
결국 대부분 멤버가 좋은 논문을 쓰고 졸업하는 랩에 가면 본인도 그렇게 되고요. 그 중에서 많이 가르쳐주고 챙겨주는지 자유방임인지는 면담 때 파악하고 본인에 맞춰 선택하면 됩니다.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3 - 안물안궁
현직 교수가 쉐어해주는 대학원생활 팁들?
11 - 학부를 봅니다.
석사졸업후 취업시 학부 학벌도 중요하나요?
10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9 - 가끔은 제안서내용도 이해못하는 심사위원들보면 누가누굴평가한다고 하는 생각이 들죠. 그러다보면 실적순이 차라리 공정하게 느껴짐^^;;;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0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5 - 한국 평가 위원들 제안서 제대로 안 보는 사람들 많습니다. 실적 기준으로 평가하자는 말이 제일 많이 나옵니다. 평가 얼마나 다녀보셨나요 ? 제안서를 아주 엉망으로 쓰면 그건 당연히 안되지만, 어느 정도 평균 이상이면 실적 싸움입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 우리나라에서 교수가 의미 있는 연구로 돈버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누가누가 혈세 잘 뽑아먹고 눈먼돈 잘 주워 먹는 가에 따라 수입이 달라지는거지. 그런것 가지고 능력이 좋아 수입이 높은척(실제론 높지도 않음) 하는거 보면....ㅋㅋ 실제로 능력이 출중하면 미국처럼 인더스트리쪽으로 가는게 맞음.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밥통 마저 깨트리는게 맞다고 봄.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2
컨택해놓은 학과가 갑자기 바뀌었습니다.
2024.09.24

안녕하세요. 현재 회사에서 석사 과정 준비하고, 내년 석사 입학 준비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현재 반도체 및 2차전지 소재 관련 업무를 하고 있습니다.
졸업 학부는 화학공학과입니다.
그래서 1달 전 정도에 화학공학과로 컨택을 마쳤는데, 어제 교수님께서 연락이 오셔서 T/O 관련 문제로 인해서 반도체공학과로 지원 가능한지 문의하셨습니다.
(참고로 교수님은 화학공학과 반도체공학 교수직을 겸임하고 계십니다.)
화공과 T/O 지원을 재문의드렸으나 사실상 타 연구실 학생 문제도 엮이기 때문에 화공과 T/O 로 지원하는건 힘들어보였습니다. 즉, 순응하냐 포기하냐의 문제지요.
참고로 연구 분야는 기존 협의한 바와 동일하게 진행할 것이고, 수업 커리큘럼도 염두하던 것과는 90% 정도는 일치합니다.
회사에서 석/박사님들께 자문을 구하니, "어차피 니가 한 세부 분야는 한 번은 설명해야한다. 어차피 석사 과정인데 학과 이름이 끼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 라는 찬성 의견을 주신 분이 계시고,
"우리가 CV, Resume 받으면 제일 먼저 보는게 학과다. 사실상 너가 업무하던 2차전지 소재 업무에 있어서는 치명적일 수 있다." 라며 반대 의견 주신 분도 계십니다. 사실 반반이죠.
혹시 학과 이름으로 인해서 박사 진학과정 혹은 구직 과정에서 문제를 겪었던 분들이 계시면 경험을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어차피 순응의 단계로 갈 듯 한데, 학과 이름이 향후 제 커리어 로드에 주는 영향이 클까요?
-
43 6 12223
교수 현직임 질답시간을 가지자. 김GPT 11 71 5463
같은 대학 다른 학과 연구실 변경 김GPT 0 5 585
연구분야 변경 고민 김GPT 0 6 355
연구주제 변경 고민 김GPT 1 0 338
연구주제 괜히 바꾼거 같다 김GPT 10 5 2341
연구주제 변경 김GPT 0 0 446-
4 5 707
타대학원으로 랩변경이 어려울까요? 김GPT 2 5 1618
교수대신 미국 빅테크에서 일하는 이유 명예의전당 131 104 76706-
133 15 56642
요즘 글 올라오는 꼬라지보니 개혁이 필요하다 명예의전당 84 10 838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09.24
대댓글 1개
2024.09.24
대댓글 1개
2024.09.24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