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교수 vs 의사 vs 사무관

Andrew Marvell*

2020.08.02

10

32377

5급 사무관 - 고공단 이후 전관예우 받으면 고소득 가능하나 된다는 보장은 전혀 없음

                    . 평균나이 30전후로 빠르게 될 수 있음

                     세종시 끌려감 워라밸없음 날마다 새벽퇴근 재직시 박봉 (초봉 5000수준)

                     하급공무원과 달리 정년보장 안됨 


의사 - 전문의 취득시 일반 직장인대비 소득이 높고 개원해서 성공할 경우 고소득 가능

           공보의/군의관하고 펠로우까지 하면 30중반임 

            개원하는데 많은 비용이 들고 자영업이라 리스크가 큼. 워라밸 안좋고 스트레스 많음

            서울 개원은 사실상 불가능해서 지방 내려가야함


교수 - 일반 직장인수준 소득, 명문대+회사차릴 경우 고소득 가능

           전문연+포닥 2년정도 하면 33-34살 정도에 임용가능

           초기세팅 끝나면 워라밸 매우 좋음, 정년 보장되고 김

           대학 다수가 지방에 있어서 지방 내려가야할 확률 높음


회사 - 초기소득은 상대적으로 제일 높음. 임원되면 고소득 가능

           학사는 20중반 박사는 30전후부터 입사가능, 요즘 50중반까지는 보통 다님

           좋은 회사는 워라밸도 좋고 위치도 서울이나 강남 근교임


행시는 고공단 올라가면 넘사벽인데 그 전까지는 박봉+중노동 헬이고

교수는 초기세팅되면 유유자적 살수있는데 돈을 많이 벌 수는 없고

의사는 개원 성공하면 넘사벽인데 스트레스 많이받고 리스크 크고 중노동이고


결론은 다 별로니까 그냥 회사나 가라

농담아니고 영끌해서 강남에 아파트 하나 사둔 회사원부부가 웬만한 전문직 다 압살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0.08.02

조언 감사합니다. 역시 회사가 최고네요.
Pythagoras*

2020.08.02

이런글 특
저런거 다 못겪어본 사람이 적음
Andrew Marvell*

2020.08.02

ㄴ주위에 골고루 다있음

2020.08.02

ㅋㅋㅋ 행시출신은 행정직이나 기술직이나 사고 안치고 성실하게 일하면 고공단(3급이상)까지는 올라갑니다 초임시절 한 3년은 대기업이나 공공기관이나 일 배울려면 모두 힘들어요 그 과정을 거치고 나면 어디든지 할만해요 교수직도 마찬가지고 모두 그분야에서 성공한 사람들로 인정받고 집안에는 효도드린거예요
Emil Fischer*

2020.08.02

이 사람 사무관이나 의사 시켜준다하면 바로 빤스런함
T. R. Seshadri*

2020.08.02

5급 사무관 - 고공단 이후 전관예우 받으면 고소득 가능하나 된다는 보장은 전혀 없음

---> 전관예우 이제 불가능.
T. R. Seshadri*

2020.08.02

농담아니고 영끌해서 강남에 아파트 하나 사둔 회사원부부가 웬만한 전문직 다 압살함
---> 이게 레알 참트루임. 물론 전문직이라고 강남에 아파트 사지 말라는 법 없음. 전문직이 더 쉽기도 하고.

여기 꼬꼬마들은 어려서 아직도 뭔가 정신적인거에 가치를 두고 교수니 사무관이니 있어보이는 일 하는게 인생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겠지만, 나이 30만 넘으면 그냥 몸 편한게 최고라는 것을 알게 됨. 요즘 사회에서 사람들 고속승진? 명예? 별로 관심없음. 제태크 w농담아니고 영끌해서 강남에 아파트 하나 사둔 회사원부부가 웬만한 전문직 다 압살함
---> 이게 레알 참트루임. 물론 전문직이라고 강남에 아파트 사지 말라는 법 없음. 전문직이 더 쉽기도 하고.

여기 꼬꼬마들은 어려서 연구실 밖의 사회를 몰라서, 아직도 뭔가 정신적인거에 가치를 두고 교수니 사무관이니 있어보이는 일 하는게 인생에서 중요하다고 생각하겠지만, 나이 30만 넘으면 그냥 몸 편한게 최고라는 것을 알게 됨. 요즘, 사람들 고속승진? 명예? 별로 관심없음. 제태크 잘해서 돈으로돈 버는 경지까지 올라가는것, 이 threshold를 빨리 넘는게 중요함. 나중에 나이 50-60 처먹고 땅을치고 후회하기 싫으면.

2020.08.02

이건 전제가 잘못된 것 같아요. 김박사넷에 오는 분들은 연구때문에 오는 분이 대부분일텐데..
돈이 많이 벌고 싶으면 대기업이나 창업을 해야지..굳이 고생해서 박사받고 연구할 필요는 없죠..

2024.10.04

교수=돈은 별로 이나 1인 왕국. 누구도 타치하지 못함. 평생 한것은 모두 자기 것임.

대기업=돈도 좋으나 평생 총수 종살이.

의사=돈은 많으나 평생 더러운 피고름 만지며 그것만 하고 삶. 진실된 의미에서 제일 희생 정신이 있어야 할수있는 업.
점잖은 빌헬름 뢴트겐*

2025.02.20

뭐.. 각직업별로 다 좋은점이 있으니 좋은 사회아니겠습니까?
뭐가더좋다 재기보단 나름 좋은점이 있다고생각한 직업갖고 행복하게 사시지요. 본문 리플 다 일견 맞는 말들이니.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