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대학원 진학응 포스텍과 카이중 어디로 갈지 고민하는 학생입니다. 분야는 재료쪽이고 능력과 상황만 된다면 박사까지 하고싶습니다. 고민을 하는 이유는 저의 선배들과 동기들 모두 포항을 생각하지않고 다른 친구들도 카이와 포스텍 중 무조건 카이스트라고 하여 흔히 말하는 설카포중 포스텍이 왜 이런 대우를 받는지 모르겟습니다. 단순히 지역때문인지 아니면 연구 환경 및 사회에 나갈시 설카보다 이점이 덜해서인지 궁금하여 글 올립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3개
2024.09.19
지역 때문이 메인이고, 동문 자체의 숫자도 타 학교보다는 적어서 상대적으로 끌어주기 밀어주기가 덜하다는 건 있을 것 같습니다.
개인의 능력이 평가절하당하거나 그런 일은 없을 거라서, 지역을 많이 안 보신다면 교수 보고 가는게 좋은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4.09.21
동문도 k보다 p가 숫자는 적은데 소수라서 그런지 더 잘뭉치는 느낌이 오히려 강함. 사회에서 카이스트 선후배라고 더 챙겨주고 끌어주는 건 거의 못봄
2024.09.19
포스텍이 연구실적에서는 전혀 나쁘지 않습니다. 학생수가 적어서 카이스트보다 실적이 낮게 측정되는거지 교수 1인당 퍼포먼스로 따지면 더 높습니다.
근데 상대적으로 격오지라서 문화생활에 어려움이 많을꺼라고 근처에서 말리더라구요. 개인적으로 이런 풍조가 안타깝습니다. 대학원이 연구력 좋으면 그만이지 문화생활은 왜 신경쓰는걸까요?
대댓글 1개
2024.09.19
설카포 내에서는 연구실 퍼포먼스와 분위기를 따져서 가는게 맞습니다.
2024.09.19
서울때문이지요. 요즘 다 서울서울거리니..
대댓글 1개
2024.09.23
서울공화국으로 정부가 밀어주는걸요. 여야 할것없이 미래를 조금이라도 생각하는 정치인이 한명이라도 있는지 의문이에요. 다들 당장 본인 표팔이에만 정신팔려있죠.
쩨쩨한 니콜라 테슬라*
2024.09.19
카이스트가 등록금도 저렴하고, 위치가 대전이다보니 선호도가 더 높은 것은 사실입니다. 연구환경이나 선호도 측면에서는 카이스트 대학원이 국내에서 가장 좋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포스텍도 이번에 천문학적인 규모의 투자가 이루어질 예정이고 앞으로 더 좋아질 것 같습니다. 위치만 상관 없다면 교수 보고 가십쇼.
2024.09.20
수도권에서 나고 자라 포스텍과 카이스트 둘 다 있어봤는데, 포스텍이 연구 역량과 시설, 환경은 서울대나 카이스트에 밀리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걸림돌 두 가지 중 하나가 지리이고, 나머지 하나는 소수정예라는 사실입니다. 후자는 단순히 동문이 적어 여기저기 얻어맞는 일이 많아서 언급한 것입니다. 사실 전자가 가장 심각한데, 서울에서 멀다고 문제가 아닙니다. 수도권으로 이동하기가 너무 힘듭니다. KTX역까지 거리도 너무 멀고, 터미널까지 대중교통으로 이동하기도 신경질납니다. 하다못해 부산으로 이동하는 것 조차 경기도랑 서울 왔다갔다 하는 것 대비 시간이 너무 많이 걸립니다. 서울과의 심리적 거리는 부산보다 포항이 훨씬 멀게 느껴집니다. 차라리 도쿄가 더 가깝게 느껴지네요. 포스텍 잘못이라기 보단 포항시 지자체 잘못이 매우 크다고 생각합니다. 아무 생각도 없는 지자체 같습니다. 포스텍에 있는 내내 포항시 지자체 혐오에 빠져 살았습니다. 오죽하면 포스텍 교직원들이 대학원 진학자들 차를 꼭 사서 오거나 적어도 쏘카 쓸 수 있게 면허 따서 오라고 권장할까요. 지자체가 생각이 있으면 대학가 중심으로 밀도있는 도시를 계획하고, 대중교통으로 오갈 수 있게 해야지 돈쳐먹는 새끼들만 모인 느낌입니다. 포스텍은 포항시 지자체가 할 일 똑바로 하기만 해도 지금보다 선호도가 훨씬 높을겁니다.
2024.09.20
지리 문제가 좀 과장된게 아닐까 싶네요. 사실 포스텍에서 ktx역까지(택시)나, 터미널(버스)까지 혹은 고속터미널(버스 or 택시) 까지 크게 안 멀어요. 또 포항역-서울역 간 ktx도 2시간 20분입니다.
대댓글 1개
2024.09.23
SRT도 포항노선 개통했습니다. 그정도 걸려요.
2024.09.20
등록금 문제도 있긴해요.. 포스텍은 덜주는곳은좀 쉽지가않아서
2024.09.20
굳이 카이스트 버리고 포스텍을 갈만한 연구분야, 교수님 아니면 그냥 카이스트죠, 자대가 포스텍이거나 본가가 경상도쪽이 아닌 이상 누가 포항을 가고 싶겠어요
놀란백석님 논문실적이? 학부는? 지방대 학부 출신이 카이가면 보이는 뽕 같이 보여서요. 참고로 본인은 수능 0.5%출신 이고 박사학위있음. (너는 어떤데? 에 대한 답을 미리 한것입니다.) 아 논문실적은 SKP박사 대부분보다 높아요. 연구책임자로 연구비도 땃구요.
2024.09.23
카이스트 들어간거? 아무것도 아닙니다. 카이스트 박사 타이틀? 아무것도 아니에요. 카이스트 물박사 차고 넘쳐요. 본인이 실력, 실적 둘다 있는거 아니면 개무시 당할 뿐입니다. 카이 들어간게 인생 최고 업적인 사람인것 같아 보여서 댓글 달고 가요.
2024.09.23
님 스펙 물어볼 생각 전혀 없었는데요ㅋㅋㅋ 그냥 지리적으로 카이가 포공보다는 낫다고 생각한거죠ㅎ 타이틀 부심은 자기가 다 부려놓고~~ 왜 엄한 사람한테 뭐라고 하는지^^7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0
전 포스텍이 훨씬 더 좋을 것으로 봅니다. 일단 연구환경이 카이스트보다 나아요. 공원 같은 아름다운 캠퍼스 이 것은 카이스트가 따라올 수 없어요. 많은 나무와 아름다운 조경은 저녁에 연구를 마치고 가다 보면 여기가 천국인가 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대전을 포항과 비교하여 대도시로 생각하여 우월감을 느끼고 그 것으로 학교를 결정하는 사람은 연구를 접고 다른 분야로 가던지 예를 들면 마케팅 분야로 가던지 뭔가 잘 못 생각하는 것이 확실합니다. 사실 대전에 저도 있어봤지만 찾아보면 나옵니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노잼 도시입니다. 저도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정말 힘들었어요.
대댓글 12개
2024.09.20
시비거는건 아니고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대전에서도 주말에 할 일이 없어서 힘들면 포항에서는 주말에 보통 뭐하시나요..?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0
학생 때는 공부한다고 정신 없죠. 가끔 시간 나면 영화 보라 간 것 같네요. 그런데 포항은 바다 하나로 대전 백화점 100개 이기고 남습니다. 대전에서 회를 먹어 보셨나요.? 그 맛을 잊을 수 없습니다. 다 식어 빠진 회를 먹는 기분이더군요. 그런대 희한하게 대전 사람들은 자신들이 아주 좋은 도시에 산다고 생각하더군요.
2024.09.21
카이 포스텍 재학생도 아니고, 대전이 본가인 사람으로서 속상하네요.. 대전 성심당도 있고 좋은데요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1
솔직히 대전이 그렇게 특별 난 도시도 아니며 포항도 그렇게 특별난 도시도 아닙니다. 포스텍 학생이나 관계자 누구도 포항이 우리나라에서 특별 난 도시이니 포스텍이 좋은 학교라고 예기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그런데 카이스트는 유난히 포스텍과 비교를 할 때는 대전에 대한 자부심이 충만하더군요.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1
대전에 살아본 바로 학생들은 서울 갈 때 대부분 유성 버스 터미널을 이용하죠. 그러면 2시간 정도 걸립니다. 열차역으로 갈 수도 있지만 그렇게 하려면 택시를 타야하고 멀어서 이용을 잘 안하죠. 포항에서는 서울 가는 열차편은 16편 정도 되네요. 시간도 2시간 30분 정도입니다. 대체 무슨 차이가 납니까?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1
한 마디만 더하면 내가 가장 졸렬하다고 느끼는 것은 서울에 있기 때문이 아니라 서울에 더 가깝다고 자랑한다는 것임.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1
물론 카이스트 학생이나 관계자들은 대부분 위의 서울에 가깝다고 자랑을 하지 않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1
제가 만나 본 카이스트 학생들은 모두 똑똑하고 맡겨진 일을 철저히 하는 학생들이었어요. 인터넷 떠도는 대부분의 악평은 카이스트 학생이 남긴 것은 정말 없다고 생각하고요. 마지막으로 대전도 좋은 도시입니다. 제가 제법 오래 살아서 어느 정도 정도 들었는데 그 때는 성심당도 별로 유명하지 않아서 별로 사 먹지 못했네요. 한 번 다시 방문할까 하는 생각도 합니다.
2024.09.24
뭘 어떻게 하면 포공 -> 서울이 2시간 30분이 나오죠..? 포항공대 정문에서 서울역까지 직행으로 가는 신칸센이라도 타고 가시나요??? 정신적으로 많이 아프신분 같은데...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4
포공에 대한 우위가 서울에 가까운 것인데 큰일이긴 큰일인 모양이네. 잘됐다.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4
카이스트가 포공에 가지는 장점이 이제 사라지니 배 아픈 모양인데 앞의 답글의 한글을 제대로 읽어야지 그런 것 까지 여기서 교육을 하란 말인가?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4
뱌가 아프도 진실을 받아들여야함. 이제 카이스트가 서울에 가까운 장점이 포공에 대해서는 사라졌음. 현대 문명으로.
2024.09.21
서울이 중요하다면 서울대나 연대 가세요. 대학원생이 신촌에서 문화생활 촘 하셔야죠.
2024.09.21
포항공대 최고 장점은 연구보다 서울살이가 더 중요한 사람들이 자동으로 걸러진다는 데 있는 듯
2024.09.21
인아부경 vs 카이 여도 인아 교수님이 더 실력있고 잘하면 인아 쪽으로 가는게 맞음. 쓸데없이 이름값 좀 그만보고 랩 비교해서 가세요
2024.09.21
연구환경 및 서로 뭉치는 분위기는 포스텍이 좀 더 좋은듯 합니다
대댓글 1개
2024.09.21
어딜 가도 불이익은 없어 보이니 교수님 보고 가세요
2024.09.21
마음에 드는 지도교수 찾아서 가면 그만입니다. 위의 논의들은 대부분 부차적입니다.
2024.09.22
대학원은 무조건 지도교수 및 연구실 보고 가는게 맞음.
2024.09.23
ㄴㅈㅅ이면 포스텍 아니면 카이스트
대댓글 2개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3
ㄴ ㅈ ㅅ 같은 지도교수 만나려면 포스텍 아니면 서울대. 포스텍과 서울대면 충분하다. 다른 대학은 필요 없다.
깜찍한 마키아벨리*
2024.09.23
아 최상위 대학 중에서...
2024.09.23
포스코가 포스텍에 돈 대주고 세우면서 재료(소재)분야는 특히 세계적으로 키우겠다고 아예 건학이념에 못박아 놓은걸로 아는데, 현실은 안 그런가 보네요?
2024.09.19
대댓글 1개
2024.09.21
2024.09.19
대댓글 1개
2024.09.19
2024.09.19
대댓글 1개
2024.09.23
2024.09.19
2024.09.20
2024.09.20
대댓글 1개
2024.09.23
2024.09.20
2024.09.20
대댓글 7개
2024.09.20
2024.09.21
2024.09.22
2024.09.22
2024.09.23
2024.09.23
2024.09.23
2024.09.20
대댓글 12개
2024.09.20
2024.09.20
2024.09.21
2024.09.21
2024.09.21
2024.09.21
2024.09.21
2024.09.21
2024.09.24
2024.09.24
2024.09.24
2024.09.24
2024.09.21
2024.09.21
2024.09.21
2024.09.21
대댓글 1개
2024.09.21
2024.09.21
2024.09.22
2024.09.23
대댓글 2개
2024.09.23
2024.09.23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