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생은 과제에 도움이 안된다는 게 잘 이해가 안됨

2024.09.13

11

4190

본인(IT) 랩실도 PC 세팅만 도와주고 학사 / 석사 / 박사 별로 다 다른 과제 처음부터 끝까지 함
아는 형 랩실도 과제 1인 1개 이상씩은 배당됨

도움이 안되는 랩실은 과제 하나당 몇명씩 붙어서 하는 건가요?? 진짜로 잘 모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09.13

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물어보는 것이 아니라,
얼마나 유의미한 결과 그리고 좋은 논문이 가능한지를 생각한다면, 학석사 보다는 박사생이 경험이 더 많고 논문을 쓸줄 알기 때문에 도움이 안된다라고 할 수 있죠.
물론 사람마다 편차가 크기 때문에 일반화 할 수 없습니다.

2024.09.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님이 말씀하시는 과제가 펀딩프로젝트 맞나요?
그냥 연구주제를 과제라고 표현하는 학생들도 많아서

2024.09.13

일반적으로 말하는 과제는 외부 펀딩받아 수행하는 과제를 말하는 겁니다. 결과 보고서도 내고, 논문 및 특허 실적도 내야하는 과제요. 개인 연구과제 말고요.
똑똑한 석사생이 과제 열심히해서 논문 및 특허 실적 턱턱 잘 내면 도움 되겠죠. 그런데 단순 용역과제 아니고서야 그런 경우는 거의 없고 스스로 한다고 하더라도 교수, 포닥, 박사과정 품이 아주 많이 들어갑니다.

2024.09.13

그냥 연구주제라고 해도 석사 신입생한테 아무 도움 없이 던져주면 그 연구가 잘 진행이 될리가 있나요?
주도적으로 한다고 해도 주도적으로 할 수 있게 되기까지 교수와 선배들의 엄청난 노력이 들어갑니다.
인턴은 뭐 말할 것도 없고 석사과정 까지는 그런 플러스와 마이너스를 따져보면 플러스가 미미하죠.
그래서 잘 나가는 랩들은 통합이나 박사과정 위주로 굴러가고 외국은 심지어 포닥 위주로 굴러가는 겁니다.

2024.09.13

아는 만큼 보이는 법이죠. 석사생분들도 고생 많은 것은 압니다. 하지만 박사과정생이 필요한 이유는 확실히 있습니다. 중간관리자의 역할을 수행할 사람이 필요하기 때문이지요.

2024.09.13

주위에 무능한 사람들밖에 없는 환경이라서 아는 만큼 보이는거죠

2024.09.14

과제를 1인 1개 ㅋㅋㅋㅋ

2024.09.14

이런글은 보통 자기 자랑이라서 글 안읽고 내림 ㅋㅋㅋㅋ 내용 누가 봤으면 댓좀 줘요 ㅋㅋㅋㅋ

2024.09.14

석사과정 10명 < 박사급 한명

과제 써보신 적도 논문 제대로 손대본 적도 없으신 모양이네요 짬이 차시면 아실겁니다

2024.09.15

과제 혼자 다 하면 속 엄청터지는데...

2024.09.15

보편적으로 연차있는 통합생이 더 경험많고 석사 학사생에비해 중요한 판단내리는 경우가 많음
케바케긴하지만 석사는 적응기간에 디펜스빼면 1년이라 기대하는게 적은게 맞음
그렇기때문에 결과내는데 엄청 서두르고 집중 잘못하고 프로젝트 못 끝내고 나가는게 많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