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가 있기를 바라는 건가요? 글의 느낌은 문제가 있기를 바라는 거 같아서요. 일단 주어진 정보가 너무 없어서 진짜로 문제가 될 만한 사안인지 알 수가 없습니다. 출판한 논문이 어디에 출판이 되었으며, 7월 학술대회는 어떤 학술대회인가요? 연구실 구성원도 모르고 교수가 직접 1저자면, 논문인지, invited talk인지 뭔지 너무 경우가 많네요. 다른 저자 제끼고 교수가 직접 갈 정도면, workshop 같은 거 일거 같기도 하네요. 그리고 4월 출판이고, 7월 학술대회면 논문 제출 시점에는 둘 다 아무것도 정해지지 않은 시점에 제출되었을 거 같은데, 이건 둘 다 문제가 될 수도 있고, 양쪽에 이 사안을 명확하게 언급했었다면, 둘 다 문제가 없는 상황이 될 수도 있습니다. 학술대회가 별 의미없는 학술대회일 확률이 가장 높다고 봅니다. 심지어 교수가 학술대회 실적이 왜 필요하죠? 논문도 아닌데.
2024.08.28
랩바랩, 사바사 아무문제없어요
2024.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문제가있죠
저작권에 어긋나는 행위입니다
출판되는순간 판권이 저자가아니라 출판사로 넘어가요
그런데 님 교수가 한 행동은
남의 저작권을 침탈한 행위입니다
본인이름 찍혀있다고 본인이 논문 주인이 아니에요
저작권은 출판사에 있는겁니다
대댓글 7개
2024.08.29
안 넘어가는 출판사도 있어요. 다 그런거 아님.
2024.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안넘어가는 출판사 어디요?
그럼 논문 액세스하면 돈은 저자한테 주나요?
무슨 말도안되는 ㅋㅋㅋㅋ
2024.08.29
https://jmlr.org/author-info.html
"The copyright remains with the author."
저희분야 탑저널입니다. 개제할 때 저작권 문제가 안 생기게 양해각서 정도 체출하고 저작권 이양은 안 합니다
2024.08.29
초면에 이런말씀 드리기 죄송한데 켈빈님 학생이시죠?? 본인의 짧은 경험을 마치 본인만 아는것처럼 말씀하시는게 좀 짜칩니다. 출판은 하는 순간부터 출판사한테 저작권이 있으니 외부에서 어떠한 발표에 사용하면 안된다는건 누구 생각이신거죠?? 그런 논리면 본인이 논문을 제출한 순간부터 모든 supplemenatry나 일러스트를 어떠한 발표에서 활용할수없겠죠? 비슷한 논리로 그럴경우 누가 학술대회에 참가하겠습니까?? 그래서 보통 학술대회는 출판을 하는지 안하는지가 중요하고, 출판시 저작권시비가 붙기때문에 매우 조심스러워 합니다. 그래서 국내학술대회 혹은 국내에서 열리는 소규모 국제학술대회에서도 full paper보다 abstract 위주로 제출하라고 하는거고요. 또한 그 abstract조차 출판을 하지 않습니다. 간혹 국내학회에 온라인출판이 되는 논문을 제출하게될때도 (보통 본인의지보다 자연스럽게 보직게되면 제출하게됩니다) 그래서 타저널에 제출한 figure는 사용하지 않도록 조심스러워하고요 (안그런사람도 많지만요). 실제로 비슷한 이유때문에 온라인출판을 오히려 하지않는걸 선호하고 추천하는 사람들도 많습니다. 반대로 연구잘 안하시는 시니어 분들의 경우 어떻게든 출판해서 실적으로 쓰고싶어서 서로 의견의 차이가 있죠. 저도 학위받고 학계에 있는지 조금됐지만, 본인이 조금 논문써보셨다고 주름잡으시면서, 상황도 명확하게 모르시면서 저작권 침탈했다는 말씀하시는게 솔직히말해서 좀 귀엽습니다.. ㅎㅎ
2024.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저작권 안넘어가는저널이 굉장히 예외적인겁니다
네 출판되는순간부터 서플러먼트나 피규어는 다른곳에서 사용할 수 없는게 법입니다
님은 윤리를 아는게아니라 업계관행을 아는겁니다
업계관행상 정치인들이 뒷돈받는데
그럼그게 문제가 없는겁니까?
학술대회에 참석하는 사람들의 윤리와 규범수준이 낮은게 문제죠
원칙대로하면 학술대회에 내는 초록숫자도 줄어야하구요
그게 정상인겁니다
2024.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61363
제가 쓴 글입니다. 읽어보세요
2024.09.01
저작권이 문제가 아니라 저작권이 누구에 있건 중복게재는 일반적으로 허용이 안됩니다. 허용이 되는 여러가지 예외적인 상황이 있는데 보통은 그걸 사용?해서 합법적잉 중복게재를 하죠.
2024.08.28
교수가 포스터 발표는 제1저자로 하는 건 본 적이 없고, 어차피 포스터 발표는 doi가 부여되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보통 문제되지는 않습니다. 포스터에서 출판된 논문을 인용하지 않았으면 연구윤리에는 위반됩니다.
대댓글 7개
2024.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연구윤리위반이아니라 저거는 저작권법 위반입니다
2024.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리고 교수가 1저자포스터가 왜없어요
2024.08.28
포스터에 출판사가 있나요? 그리고 저는 교수가 1저자로 포스터 발표한 건 못 봤어요. 포스터는 실적으로 치지도 않으니까요.
2024.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출판을 해야만 저작권문제가 생기는게 아닙니다
타인의 자료를 갖다썼다는거 자체가 문제에요
님말대로라면 ebook을 pdf로 만들어서 블로그에올리면 무죄겠네요?
출판을 안했으니까?
2024.08.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포스터도 실적쳐주는 학교 있습니다
2024.08.28
저작권 침해는 타인의 저작물을 도용하는 것인데 출판사는 사람으로 인정되지 않으므로, 자기 표절의 경우 저작권 침해는 아니라고 합니다. https://youtu.be/_HimMGDefcE?feature=shared
2024.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계속 말이 안통하는거같은데
저작권이 저자소유가 아니라 출판사 소유라니까????
논문 안써봄?
copyright이 출판사로 이전된다고 체크하는 문항 안읽음?
출판사는 법인이고 법적으로 사람과 동일해...
니가올린 영상 어디에 그런얘기가나오냐 무식아...
2024.08.29
왜 이런걸로 다투세여. 간단하게 설명드리면 출판 된 논문을 가지고 영리활동 목적으로 발표하고, 발표를 통해 또는 저작권을 가지고 금전적 이득을 취하면 그건 연구윤리 및 저작권 문제가 발생됩니다. 그냥 학회가서 포스터나 구두 발표 하는건 정보를 전파함에 있고, 나 이런 연구하니까 관심들 많이 가져줘 라는 목적으로 학회 및 대외활동을 하는겁니다. 결론적으로 출판 된 논문 주제로 학회에서 학술활동하는 것은 전혀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대댓글 5개
2024.08.29
이게 맞지.... 명확한 답변이네요.
2024.08.29
심지어 저널 사이트에서 잘 찾아보면 십중팔구 이렇게 써 있습니다. 관행 그런게 아니라....
2024.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주제는 같아도 내용만 살짝 달라도됩니다
하지만 최소한 피규어는 바꿔야죠
학회발표도 간접적인 영리활동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무조건 팔아야만 영리가 아니에요
님말대로라면 책복사해서 무료로 뿌리면 저작권법에 위배가 안됩니까?
2024.08.29
그럼 출판된 논문과 관련된 내용을 기업 초청 세미나를 통해 발표해서 금전적 이득을 취하면 문제인건가요?
2024.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네. 저널의 허가를 받아야합니다.
다만 어느정도수준으로 말을해야 저작권침해에 저촉되지 않는지는 상황마다 다릅니다
해리포터 원문을 pdf로 공개하거나 일부 공개하면 위법이지만
해리포터 내용을 간략하게 요약하는건 위법이 아닙니다
법이라는게 딱 떨어지는게 아니에요
2024.08.2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https://phdkim.net/board/free/61363
읽어보십시오
2024.08.30
켈빈아..알겠으니까, 너는 그 모습 잘 지키길 바래 너 스스로가 떳떳하면 그걸로 된거야. 너가 모든 단계(학회발표든, 과제발표든, 산학장학생 면접이든,채용 면접이든, 임용 면접이든, 초청 발표든)에서 너가 원하는 모습을 절대적으로 잘 유지하면 돼. 너가 하는 모든 발표에서는 절대로 게재된 연구 발표하면 안돼. 알았지?
그리고 특히나 졸업심사(예심, 종심)에서도 대학원생 때 게재된 논문 발표하면 안돼, 저작권법위반이잖니? 심사에서는 게재 안된 연구들만 발표하고 지도교수님께도 너의 의견을 확실하게 말씀드려줘. 그리고 학위논문도 본래 논문과 표절시비 없게 전부 새로 쓰고 그림도 새로 뽑아줘.
너의 모든 과정에서 그걸 유지하고 김박사넷에 다시 글 써줘. 그럼 여긴 성지글이 될거고 너를 진심으로 인정할게. 절대로 스스로와 타협하지 말아줘.
2024.08.30
대가는 저작권 학술지로 인넘기고 영리 목적 이용을 거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펀딩이 넉넉하고 출판비용을 학술지 출판사 비용으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이지요. 그런건 학문 분야별 학술지따라 차이가 큽니다. 싸우지 마세요
2024.08.30
우리 연구실은 저널 내버리면 그 다음엔 학회에 안 냅니다.
2024.08.31
본인의 좁은 식견에 스스로를 가두고 지내시는 분이 계시군요. 친절하게 남겨주신 원문 링크 따라서 잘 읽고 왔습니다. 해당 원문에 달린 댓글 중 하나를 인용하며 마칩니다.
>> 뉘우치는 임마누엘 칸트 (2024.08.30) >> 잘 모르는 사람이 신념을 가지면 참 무섭지요. 이 글이 그렇네요. 자기가 옳다고 굳게 믿어버린...
2024.09.02
Encore poster로 별도 파트가 있는 학술대회도 있는걸요.
2024.09.05
학회 초록 투고시 주의사항에 투고되는 내용은 학술적으로 기보고/출판되지 않았음을 서약해야 초록 선정 및 발표가 가능한 경우가 대다수임. 이미 출판된 내용은 이 부분에서 우선 문제가 됨.
2024.08.28
2024.08.28
2024.08.28
대댓글 7개
2024.08.29
2024.08.29
2024.08.29
2024.08.29
2024.08.29
2024.08.29
2024.09.01
2024.08.28
대댓글 7개
2024.08.28
2024.08.28
2024.08.28
2024.08.28
2024.08.28
2024.08.28
2024.08.29
2024.08.29
대댓글 5개
2024.08.29
2024.08.29
2024.08.29
2024.08.29
2024.08.29
2024.08.29
2024.08.30
2024.08.30
2024.08.30
2024.08.31
2024.09.02
2024.0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