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 코로나 문제는 아니고 중국에서 나온 저널들 급상승이 영향. 논문 수 자체가 엄청 증가한 영향이 큽니다. 중국 저널들은 올랐거든요. 나오는 논문은 많은데 citation은 상대적으로 안되니 당연히 IF는 떨엊죠.
2024.07.01
IEEE TII는 IF는 떨어졌는데 JCR 퍼센티지는 또 올라서 1.5%네요. 이정도면 공학 최상위 저널인듯요.
대댓글 2개
2024.07.01
TII 어떤가요? 기존에 TMECH, TIE만쓰던 로봇관련 주변 연구자들이 러닝을 접목시켜서 최근 꽤나쓰던데, 좀 궁금하네요. JCR은 꽤나 높네요. 주변 연구자들이 최근 쓰는 논문숫자들을 보면 쓰기 그리 어려워보이진 않던데요.
2024.07.02
일단 저는 TII 1저자 논문이 있고 동료들도 TII 논문이 있는데 제 분야에서의 경험상으론 TII는 실제로 실증되는 결과가 있을 때 더욱 가점을 주는 경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TII는 타기관에서 공개한 외부 데이터가 아니라 저자들이 실제로 습득한 데이터를 직접 전처리하고 그걸 기반으로 실제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고 검증 했는지를 중점으로 보는 느낌입니다. 그래서 사용되는 방법론이 너무 높을 필요는 없고 현실 세계의 문제를 실제로 해결하는지를 중요하게 본다고 생각됩니다. 아마 로봇 하시는 분들은 직접 습득한 데이터와 그걸 기반으로 제안한 알고리즘이 적용되는 시스템(로봇)을 다 가지고 계시니까 TII에 내기엔 유리한 위치라고 봅니다. 물론 이건 제 경험이므로 일반적인 상황이 아닐 가능성이 분명히 있습니다. 추가로 여긴 저널인데 더블 블라인드고 아카이브에 논문 올린 논문을 제출하면 칼리젝이라 그 점은 숙지하셔야 합니다.
2024.07.01
2024.07.01
대댓글 1개
2024.07.02
2024.07.01
대댓글 2개
2024.07.01
2024.07.02
2024.0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