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P 빅랩 출신 박사들이 사립대가서 진짜 힘든게 학생 인건비 따는거에요. 산학과제를 많이할수있는 공대 일부 학과면 몰라도 일반적으로 서울 사립대는 그 인건비 때문에 랩 규모가 한정적이고, 또 그렇다고 산학과제만 하면 실제로 할 연구를 할수도 없고... 특히 카이나 포스텍 출신들은 지방이라는 것에 그닥 디메리트를 느끼지 않는 사람도 많은데다가 교수들이 초반엔 연구욕심이 많아서 IST로 갈걸 하시는 분들이 많은듯 싶습니다. 서울에 가족이 다 있고 아내분 직장도 서울인경우가 대부분이라 이런저런 이유로 서울/수도권 사립대로 오는 경우가 많긴합니다만.. 연구만 보면 IST가 진짜 좋긴하죠..
대댓글 2개
2024.06.14
애초에 제대로 된 연구는 skp도 어렵고 미국 r1에 남았어야지
2024.06.14
미국 r1도 r1 나름임. IST보다 더 형편없는 환경갖춘곳 널렸음
2024.06.13
카이 유니 한양 디지 지
2024.06.13
현직 교수입장에서 국립대냐 사립대냐에 따라 연구 뿐 아니라 근무환경이 현격히 차이가 난다는 걸 꼭!! 얘기해주고 싶음. 사립대 교수들이 소속기관을 회사라 칭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음. 한양대 출신은 모교라서 다를 수 있겠지만 오너가 없는 학교 출신들은 문화충격도 받게 됨
대댓글 1개
2024.06.13
이게 맞음. 교수의 삶의 질은 사립대랑 국립대랑 차이가 꽤 큼
내가 아는 한양대 교수님은 한양 아오지 탄광이라고 부르더라
2024.06.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댓글만 봐도 연구에 관심 많으면 ist, 잿밥에 관심 많으면 한양대
2024.06.13
이건 서울살이가 중요하냐 그렇지 않냐가 결정에 있어서 꽤 비중을 차지하는 요인인거 같은데
2024.06.13
한양대
2024.06.13
개인적으로 가족 때문에 SSH 중에 한 곳으로 왔는데, 가족없고 연구 잘하고 싶으면 IST도 좋은 것 같습니다. 스타트업이 다르고, 인풋도 훌륭합니다. 다만 서울 라이프와 교육 문제…그런게 좀 걸리죠.
2024.06.1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가족들 생각해야지.. 친구, 처자식 없으면 몰라도 한양대가는게 나음
2024.06.14
카이 유니 한양 디지 지 이게 맞는거같음 같은 ist로 묶기에는 엄연히 급차이가 있어서
대댓글 2개
2024.06.14
글쎄. 유니, 디지, 지만 보면, 위치가 일단 언양, 현풍, 첨단임. 이건 첨단이 월등히 앞섬 기본연봉은 지, 유니 > 디지 일텐데. 심지어 디지는 출첵도 하지 않나? 이유는 어차피 다들 알거고.. 초기 계약이랑 승진 요건도 디지>유니>지 순으로 빡심. 유니가 좀 완화됐고. 울산이 돈 많은 산업 도시라서 과제, 매칭 메리트가 좀 있고, 대구 광주는 거기서 거기고. 하지만 간접비 등등 고려하면 유니는 ... 다들 알테니 말을 줄이겠음 교수 입장에서는 승진, 연봉, 가족이 중요하지. 연구? 그거는 적당히 할만큼만 갖춰지면 됨. 해보다가 더 잘 할 수 있겠는데 싶으면 SKP 가는거야. IST는 그게 되는 환경이야. 그리고 유니라서 가능하고 지라서 못 하는 연구는 없어. 본인 실력이 부족하다면 모를까 그런 측면에서 굳이 따지자면 지,유니,디지 순이라고 봐.
2024.07.02
지는 근데 학교도 작고 과도 몇개 없어서 연구 풀 자체가 너무 좁자나요 전공간 학제연구하면 바로 밑바닥 드러날거같은데 지는 너무 강세과 강세연구분야가 딱 정해져있음
2024.06.12
대댓글 1개
2024.06.13
2024.06.12
2024.06.12
2024.06.12
2024.06.12
2024.06.12
2024.06.12
2024.06.12
2024.06.12
2024.06.12
2024.06.12
2024.06.12
2024.06.13
대댓글 1개
2024.06.13
2024.06.13
대댓글 2개
2024.06.14
2024.06.14
2024.06.13
2024.06.13
대댓글 1개
2024.06.13
2024.06.13
2024.06.13
2024.06.13
2024.06.13
2024.06.13
2024.06.14
대댓글 2개
2024.06.14
2024.07.02
2024.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