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돈만 내면 붙는 저널
2. 교수가 실적 필요해서 쓰는 저널
3. 쓰레기 저널
라고 생각 할 것 같습니다.
믿고 안믿고를 떠나 학생한테 별 생각 없을 것 같습니다.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24 - 어느정도 공감함. 결국 근 몇년동안 실적 잘나오는 교수 밑에 가는게 최우선임. 그 전제를 깔고가면 시니어든 주니어든은 취향차이.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8 - 신임교수는 단점이 더 크지 ㅋ
올챙이적 기억 못하고 못된 것만 배워서ㅋ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34 - 꼰대는 능력이라도 있어야 꼰대지 능력도 없는데 꼬장부리면 ㅂㅅ이지 꼰대가 아니다
그리고 꼰대와 ㅂㅅ은 나이를 가리지 않는다
젊은 교수 나이든 교수 상관 없다 새로운 지식의 수용력은 사람마다 다르다
그냥 잘 알아보고 레퍼런스가 정확하다면 지식을 수용할 줄 아는 교수에게 가라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5 - 한국 학생들 간 역량차이도 ㅈㄴ 크다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22 - 케바케임 글쓴이 대학원 생활 안해봤을 확률 개높음
나 대학원 생활 할 때 갓 부임한 신임교수가 두 분 있었음.
석사는 합격 후 컨택하는 방식이었고 합격생들한테 교수 혹은 랩장이 나와서 연구실은 뭐하는 곳인지 프레젠테이션 하는 행사가 매년 한번씩 있었는데, 신임 교수님들은 랩이 꾸려지지 않아서 교수님이 직접하심
한 분은 친한 동네형 컨셉, 한 분은 국내 학석박이자 여자 교수님으로 국내파+여성 과학도 컨셉이었음 (은은하게 약자도 교수하면서 떵떵거리게 해주겠다? 느낌)
연구실 생활, 사회 경험이 전무한 석사생들은 당연히 이 2개의 연구실로 몰렸고 들어간지 한 학기도 안되서 정확히 두 연구실에서 곡소리가 울려퍼지기 시작했음.(사건을 말하면 너무 타게팅이 되니까 이정도로만 함)
카테고리화하지말고 컨택할 때 사람이 나랑 맞는지 안맞는지부터 살피길 바람. 이런 글처럼 표면적인거 믿고 들어가다가 ㅈ되서 설거지 당한 사람 한둘 본게 아님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17 - 아이디어 및 실험이본인이한거고
글받아서 다시 수정하면 본인꺼죠
저 gpt로 논문쓴거임??
14 - 챗봇없던 시절에 교정맡겨서 그대로 내면 교정한사람꺼가 되는건 아니잖아요
저 gpt로 논문쓴거임??
12 - 그렇게 쓰면 안되긴 함 글의 논리와 흐름은 본인 머리에서 나와야하고 영어 교정만 gpt로 해야죠 윗 사람들 큰일날 소리하네...
저 gpt로 논문쓴거임??
22 - 초안은 내가 쓰고 영문 교정을 맡기는거랑, 초안을 써달라고 하는거랑은 많이 다르긴 합니다
저 gpt로 논문쓴거임??
10 - 이미 기분이 좀 나쁘시군요. 듣고 싶은 말도 있으신 것 같고. 유감스럽게도 연구에 사용되는 지식을 교과서 수준의 내용으로 부터 설명하는 것은 이공계열 어디서나 중요하고, 특히 자연대 이론 연구실 이라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런건 지엽적인 꼬리질문이 아니라 기초적인 상식이라 해야겠지요. '중요하지도 않는 내용을 이렇게 꼬치꼬치 캐묻는게 무슨 의미냐' 라는 생각을 하시는 것 같은데요. 그런 기본기가 부족하면 아주 오래 공들여 한 연구가 리뷰어 코멘트 하나에 신기루처럼 사라지는 경험을 하게 되실겁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5 - 적당히 넘어가는 법 없이 제대로 진국이신 것 같은데요? 지도교수로 손색이 없습니다.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0 - 이런 애는 걍 대학원 안 갔으면 좋겠음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3
한국관련된 내용이 핫한데
2024.06.07

한국이 살기좋다, 아니다 떠나는게 좋다 이런걸 남에게 설득할 이유가 있을까 싶네요.
아예 한국에서 이런점들이 개선돼야 한다는 논점이면 몰라도요.
저도 한국에서 학위받고, 졸업후 회사(정출연) 생활도 하다가 퇴사후 지금은 미국에 포닥으로 나와있습니다.
저는 처음부터 와이프도 미국에서 일자리를 구한상태로 가서 미국정착을 생각했고, 지금도 잘 살고있습니다.
주변에 포닥/박사들 보면 한국에 돌아가려는 사람도 있고, 미국에 남으려고 하는사람도 있습니다.
국박기준으로 보면 사실 한국리턴의 비율이 월등히 높긴하죠.
근데 한번도 저희끼리 한국에 돌아가는것이 낫다, 미국에 사는게 낫다라는거로 말을 한적이 없습니다.
본인이 하고싶은대로 하는건데, 그런 논쟁이 과연 뭔 의미가 있을까요.
어차피 한국에서 살고싶은사람은 뭐라해도 한국이 좋다 생각하고, 미국에 정착하려는사람은 뭐라해도 미국에 남고싶어합니다.
쓸데없는 일에 논쟁하지 말고, 그냥 본인들 일에 힘쓰는게 좋지않을까싶네요.
아니면 아예 처음부터 논점을 한국의 특정문제에 대해서 어떻게생각하는지, 개선방안이 뭐가있을지 논의를 하시든지요.
다들 가방끈이 긴 지식인의 길을 살아가거나, 또 배워나가는 분들인데 의미없는글들 보면 상당히 안타깝네요.
-
68 19 25796 -
62 14 8999
한국을 떠난다는 글에 대해서 김GPT 33 32 5128-
64 17 14419
포닥으로 미국와서 거지된 사연.txt 김GPT 16 16 20426-
4 10 5618 -
67 65 5211 -
72 18 20694 -
276 25 32108 -
288 44 71204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65 43 4299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진짜 기쁘다
87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7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26 - 옛날엔 ChatGPT없이 논문을 어떻게 썼을까...
2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15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67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6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43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3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26 - 열심히 해야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5 - 낙태충이지만 셀소합니다
9 - 교수님한테 링크드인 1촌 걸어도 괜찮나요?
7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서로 다른 랩실 pi 두분에게 공동교신 부탁하기?
37 - 정말로 학부생이 ieee aceess나 mdpi 1저자 썼다고 하면 안 믿어 주시나요?
15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27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23 - 미국학부 vs 영국학부 (엔지니어링)
16 - 중경외시 기준으로 학점이 어느 정도여야 skp 가능할까요?
10 - 저 gpt로 논문쓴거임??
16 - 건동홍 cs 미국대학원 가능세계 궁금합니다
12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6 - AI 교수 임용 목표 취직 vs. 포닥?
17 - 자대 대학원 가서 졸업 1년 단축하기 vs KAIST 가기
8 - 이정도 연구실이면 어느정도 수준이에요....?
7 - 경제적인 여건이 안 되면 유학은 정말 포기해야 하는 건가요?
6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진짜 기쁘다
87 - [일반랩 vs 대가랩] 연구 및 논문비교 (과학자를 꿈꾸는 분들에게)
347 - 지도교수님 너무 잘 만났다ㅠㅠ
2426 - 옛날엔 ChatGPT없이 논문을 어떻게 썼을까...
20 - ChatGPT에게 이거 먹이면 팩폭당함
15 - 맨날 김박사넷에서 대학원 진학 ㅈㄴ 쉽다고 개나소나 간다고 하길래 쉬운줄 알았지
67 - 교수님이 자기도 모르는 AI를 밀고 있습니다
26 - SCI논문이 어셉됬습니다!!
43 - 교수가 문제일지 학생이 못하는건지..
13 - 요즘 인턴들은 왜이러냐
26 - 열심히 해야한다는 강박을 가지고 있는 대학원생들에게
5 - 낙태충이지만 셀소합니다
9 - 교수님한테 링크드인 1촌 걸어도 괜찮나요?
7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트럼프 시대, 미국 석박사 유학 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생존 전략
71 - 미국 박사 합격 후기 웨비나 | TOP 5 대학교 풀펀딩 박사과정 합격자 초청
11 - 미국 컴공 석사 관련 질문
10 - STEM분야 미박 탑스쿨 가능성 냉정히 평가 부탁드립니다.
18 - 한국 교수들 간의 역량 격차 ㅈㄴ 큰거같지 않냐??
27 - 박사과정이면 30~40대 젊은 교수 강추함.
23 - 중경외시 기준으로 학점이 어느 정도여야 skp 가능할까요?
10 - 저 gpt로 논문쓴거임??
16 - 건동홍 cs 미국대학원 가능세계 궁금합니다
12 - 지도교수님으로 섬겨도 될지 고민입니다
16 - AI 교수 임용 목표 취직 vs. 포닥?
17 - 자대 대학원 가서 졸업 1년 단축하기 vs KAIST 가기
8 - 이정도 연구실이면 어느정도 수준이에요....?
7
2024.06.07
2024.06.07
2024.0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