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연구원이 되고싶다는 일념하나로 입학하여 석사 1학기 때부터 실수하고 공부하며 배워가고 있습니다. 연구실 내부에서도 코드나 실험쪽은 인정을 해주시는 분위기 입니다. 맡은 업무도 서버관리, 개발과 같은 실무적인 부분이구요
문제는 글을 작성할 때입니다. 제안서에 작성할 아이디어부터 논문까지 글을 정말 못쓰는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국내 학회에 논문을 제출해야하는데, 그 국내학회 논문마저 박사선배들께선 마음에 안드시는지 반려를 당합니다 국내학회인데 박사님들의 수정요청으로 7번씩 수정한 적도 있을 정도입니다... 남들은 대충써서 제출하면 통과가 되는 국내학회 논문이 어째서 저에겐 이렇게 어려운지 모르겠습니다.
탑컨퍼 논문 구조를 분석하면서 글을 작성해도 문장 단위로 디스를 받고 있다보면 자존감이 바닥을 쳐 공부고 뭐고 집중이 안됩니다. 이것 때문에 폐급으로 인식될까봐 자퇴도 진지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김박사넷 유저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이를 개선할만한 방법이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4.04.22
한 번 증명 수학 입문서 중에 Daniel J Velleman의 How to prove it이란 책을 정독해보시는건 어떨까 생각합니다. 증명을 구조적으로 제대로 할 수 있으면 문장구조로 어지간해선 지적 안 받으실겁니다. 보통 대학 논문은 수려한 글솜씨보단 논리구조가 맞으면 뭐라 하지않기에 도움이 될 거 같네요
2024.04.23
read more papers~
2024.04.23
지금은 동료와 격차가 10점 80점이라 느끼시겠지만 나중에 돌아보면 49점 51점 차이라 느끼실 정도로 박사들은 유사한 라이팅 실력으로 수렴합니다
한번은 단어 문장 문단 논문 구성 등으로 고통받아야 지나는 과정이니 괘념치 마시고 힘내시길 바랍니다
2024.04.23
저도 박사과정 2년차까지는 글 드릅게 못쓰다가 그 이후부터 일취월장했어요. 힘든 시기지만 잘 견뎌내셔요~
2024.04.23
논문은 소설을 쓰는게 아닙니다 쉽게 말하면 논문은 글 못써도됩니다. 논문에서 글을 못쓴다는 얘기는 기본 연구 진행 과정 구조 원리를 몰라서 그렇습니다. 즉 기본 글 이해력 부족과 논문의 흐름파악이 안된다는것. 즉, 석사 이제 들어왔다고 하니 연구는 돌아가는것은 모른다고해도, 기본 글의 구조를 읽고 이해하는 연습이 필요해보이네요. 연구보다는 일단 관련 논문을 수십개 수백개 계속 읽어보세요. 그럼 논문의 흐름이 보이게 됩니다..그럼 글을 못써도 선행연구 조사가 되어있다면 논문이 머리속으로 저절로 그려짐
2024.04.23
챗지피티만 돌려도 충분할텐데요 그리고 국내학회는 의미 없는데 뭐하러 그리 힘을 빼는지 모르겠네요
2024.04.23
선배들이 좀 깐깐한듯. 본인이 보기에 너무 큰 문제가 없다고 싶으면 너무 선배말 세겨듣진 말고 건너건너 들으세요. 저는 연차가 좀 있지만 돌이켜보면 저년차때 선배들 피드백에 굳이 그렇게 목매야했나 싶네요. 꼭 맞는 말만 하는 것도 아니라서
2024.04.23
논문 100개 더 읽고 오세요
2024.04.24
챗지피티 쓰시고 마음을 놓으세요 ㅋㅋㅋ 저도 선배 동료 교수님 모두에게 문장 단어 단위로 까이는 처참한 논문 작성 실력이지만, 챗지피티 쓰고 훨씬 편리해졌습니다.
2024.04.24
저도 첫번째, 두번째 논문은 결과 다 나와있는 상황에서 글 작성에만 3~4개월 걸렸고 검토도 거의 2달동안 교수님과 5~6번 왔다갔다 했었어요 그랬던 저도 이제 논문 작성하는데 1~2주 걸리고 검토도 1~2번이면 되더군요 너무 자책하지 마시고 long term view로 서서히 향상시킨다는 마음으로 해보셔도 좋을거 같아요
2024.04.26
헉 정말 많은 분들이 답을 달아주셨네요 ㅜㅜㅜㅜ 먼저 많은 조언들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여러분들의 답변을 통해
최근 선배와의 얘기 끝에 제 논문의 문제점을 파악했습니다. 먼저, 저희 연구실에서 사용되는 문장이 아니었습니다. 이건 저희 연구실 논문을 읽으면서 파악해야할 부분인 것 같습니다.
두번째로 국내 학회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아니었습니다. 제 연구분야는 해외 학회에 많은 자료가 있어 그 자료들을 집중적으로 보는 편입니다. 하지만 국내 학회는 해외 학회와 달리 표현되는게 몇 있다고 잡아주시더라구요
마지막으로, 제 문제인데요. 논문이 제가 아는 걸 혹은 제가 수행한 걸 자랑하듯이 말한다고 하시더군요. 그러면서 논문은 다양한 사람이 읽고 이해가 가능하도록 작성되어야 하는 글인데 너만 아는 내용을 작성하면 안된다고 하시네요
이와 더불어 제가 석박통합인지라 추후 해외 저널과 해외 학회에 제출할 논문을 작성해야 하므로 일부러 더 꼼꼼하게 보신다고 하시네요. 아마 여러분들 제시해주신 방법들 잘 읽어보고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응원해주신 분들 정말 감사드립니다.
2024.04.22
2024.04.23
2024.04.23
2024.04.23
2024.04.23
2024.04.23
2024.04.23
2024.04.23
2024.04.24
2024.04.24
2024.04.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