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SPK 아니면 의미 없다 주의였는데

2024.04.16

8

5315

요즘 보면서 드는 생각이
점점 더 인풋(학부, 박사 학위 학교) 보다
아웃풋(논문, 회사와의 핏, 영어, 발표능력, 글쓰는 능력 등..)이
중요해 지는 세상으로 변하는 것 같음.

심지어 나는 SH에서 학위 중이면서
SPK 아니면 의미 없다고 외쳐되던 사람인데,
최근 주변에서 능력있는 사람들이
인설 중위 교수, 지거국 교수되고, 대기업에서 좋은 대우 받고 가는거 보니까

점점 세상이 능력위주로 가는 비율이 커져가는 거 같기도 하고 ㅋㅋ..
아직 우물안 개구리라 잘 모르지만,

요즘은 나도 할수 있을지도?
라는 생각이 자주 드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04.16

다른거는 모르겠는데, 좋은 학교가 주는 장점은 우수한 연구실 인원들이 많을 확률이 높다는거 하나라고 보네요.

대댓글 1개

2024.04.16

그건 맞지 ㅋㅋ 나도 그래서 spk주의였고. 근데 요즘 세상이 좋아져서
실력있는 교수 만나면
교수가 실력있는 사람들로 코워크 가져오더라

2024.04.16

에이 대학원은 지도교수 빨이지
물론 좋은 학교에 그런 교수가 있을 확률이 큰거고

2024.04.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SH면 충분히 훌륭한 곳인데요??

2024.04.19

미국을 풀편딩으로 가야한다면 그래도 그런생각이신지요

대댓글 1개

2024.04.19

그거랑 SPK 랑 상관이 있나요? 그건 본인 능력에 따라 결정되는거 아닌지

2024.04.19

SPK
좋은점: 주변에 동기부여해주는 사람이 많다.
나쁜점: 주변에 현타오게 하는 사람이 많다.

2024.04.19

SSH ist 까지도 충분히 좋은 사람들 랩실 많습니다 뭣보다 중요한 건 본인 실력이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