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때부터 수학을 좋아하기도 했고 잘하기도 했었고 실제로 중등부 KMO 1차 은상 2차 은상 계절학기도 갔었고 고등부 KMO는 상황이 일반고였어서 쉽지는 않았습니다.
최근 고민은 제가 의대를 6년 다녀보니 정말 의대 공부가 흥미라곤 1도 없었고 지금 가고 싶은 과가 뭐냐고 물어본다면 정말 답이 안 나옵니다. 특별히 나는 이 과가 하고 싶다는 친구를 보면 부럽기도 합니다. 또한 최근 몇년간 의사 vs 정부 싸움에 질려버리기도 했습니다. (이게 정부가 맞니 의사가 맞니 이런 정치적인 토론을 하려고 글을 올린 것은 아니니 그러실 분들은 지나가셔도 됩니다..)
요즘 생각하고 있는 점은 인턴을 포기하고 군대 현역(18개월)으로 빠르게 끝내서 서울대학교 학사편입으로 수리 또는 전기정보공학부를 써보고 싶습니다. 물론 군대 가서 수리(미적분학, 미분방정식, 선형대수) 또는 전정(공학수학, 물리) 편입 전공 시험 공부해야 하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서울대 학사편입은 전적대 수준도 많이 고려한다고 알고 있는데 저 같은 경우는 중상위권(경기도권 의대, 삼룡의대) 의대에 속해 있고 학점은 3.5/4.5입니다. 서류 탈락이 되지는 않을지도 걱정되긴 합니다..)
목적이 뭐냐? 교수가 되고 싶습니다. 뭣 모르고 깝친다고 생각하실 수도 있지만 고향인 제주도에서 교수하고 싶은 생각이 있습니다. 현실적으로 많이 어렵고 불가능에 가까운 목표일까요? 교수를 목표로 하시는 많은 선생님들의 조언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4.02.15
이미 의사면허 따놨으면 그 후는 뭐 자유죠 다시 돌아갈 수도 있으니
화이팅입니다
2024.02.15
의사면허 있으면 하셔도 될듯요
2024.02.15
자연과학은 도쿄대 입시를 추천합니다
2024.02.16
예전에 연의 졸업 후였나 다니다가였나 서울대 수리과학으로 편입하신 분이 핫했었는데 한 번 정보 있나 찾아보시는 것도 도움되실 것 같네요
대댓글 1개
2024.02.16
네 관심 있어서 이미 찾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2024.02.16
제가 보았던 뉴스 중 최근 포항공대나 카이스트에서 의사과학자를 양성하기 위해 의과대학을 신설한다고 듣었습니다. 최근 공학을 접목시킨 의학 연구를 진행한다고 듣었습니다. 연구중심 의과대학에 대해서 의과대학을 졸업하시는 글쓴이 분께서 듣어보셨을거라 사료됩니다. 제가 의학 계열이 아니라서 잘은 모르지만 의사과학자(공학자)로 진출을 하셔서 좋는 연구 실적을 채우시고 제주대학교에 임용을 준비 하시는 방향에 대해 조심스럽게 여쭤봅니다.
대댓글 4개
2024.02.16
아쉽게도 제가 MD-PhD에는 크게 관심이 없습니다. 의학쪽 공부에 큰 뜻이 없어서요.
2024.02.16
답변 감사합니다!
2024.02.16
제 학교 선배님 같은 경우 학부 때는 원자력을 전공하셨고 현재는 의학물리학자로 진로를 정하시며 대학원을 의과대학으로 진학을 하셨습니다. 방사선 암치료기기 관련해서 연구를 하시고 계시고 있고 글쓴이 분께서 의학적 지식이 있으시니 일단 전공의를 하시고 공학적 지식을 공부하셔서 추후에 의사과학자로 연구를 하시는건 어떠신가요.
2024.02.15
2024.02.15
2024.02.15
2024.02.16
대댓글 1개
2024.02.16
2024.02.16
대댓글 4개
2024.02.16
2024.02.16
2024.02.16
2024.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