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석사과정 공부 시간

2024.01.02

8

1428

입학을 앞둔 서울 중위권 예비 대학원생입니다.
대학원에 가면 평일은 10 to 10
토요일은 10 to 6(저녁 먹기 전에 가려고 합니다)
일요일은 휴식+취미 생활

매일 새벽 2~3시까지 하시는 분도 있는걸로 아는데 저는 너무 늦게 자면 다음 날 집중이 잘 안되어서 10시쯤 집가서 일찍 자려고 하거든요.

공부량이 실적과 비례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정도 공부한다고 했을 때 보통 대학원생들 눈에 열심히 하는 신입으로 보일지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8개

2024.01.03

열심히 하는 거임

2024.01.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시간은 저정도면 충분한데 정작 중요한건 얼마나 몰입하느냐임. 연구 좋아하면 누가 시키지않아도 하루종일 머릿속에서 연구 생각나게 됨. 그 정도 되면 저런 시간 정해놓기는 아~~무 의미없어짐.

대댓글 1개

2024.01.03

이게 정답인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2024.01.03

양보다는 질임 물론 질적으로 좋은 실험은 양도 따르지만 밀도있게 하셈

2024.01.03

학부 이후로는 몇시간 하는지는 무의미한듯
맨날 노는거같은데도 실적좋은사람있고
하루종일 랩실에있는데 성과없는사람도있고

대댓글 3개

2024.01.03

하루종일 랩실에 있는데 성과 없으면 좀 안타까운 케이스네요.
그렇게 많은 시간 투자하는데 나오는 게 없으면 학부 지식이나 머리의 차이일까요?

2024.01.03

타고난 머리도 영향이 있을거고 그냥 성향자체가 안맞는건데 그냥 장수생들마냥 붙어있는거같네요

2024.01.03

ㅠㅜ저도 머리가 좋지 않은 편이라 그렇게 될까봐 걱정이 있긴 한데 석사 생활하면서 박사할 그릇이 되는지 해봐야겠네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