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이제 잘 정리해서 출국만 하시면 됩니다.
어쩔 수 없어요.
해외에서 이방인의 삶을 살다 보면 원가족, 특히 부모 형제와의 시간이 점점 파편화되는 것을 느낄 겁니다.
그런데 유학 준비하면서 한번도 생각해 보고 각오하지 않았나요?
원래 유학이 자기 삶을 걸고 하는 겁니다.
60년 전 쯤 1세대들도 그랬고 지금 막 은퇴하시는 70뇬대 학번들도 그랬고 IMF 직후에 나간 90년대 학번도 그랬어요.
미국 생활, 대학원 과정에 대한 이해가 없는 부모님
11 - 제 조부모님이 저 유학 올 때 보이셨던 태도가 떠오르네요. 저런 말씀을 하실 때 기저에 있는건 본인 자식을 자기가 아예 모르는 곳에 내놓는것에 대한 불안함을 자기가 아는 방식대로 통제하고 싶어서 그러신것 같습니다. 너무 말 내용 자체에 휘둘리지 마시고, 그냥 작성자님이 알아서 충분히 잘 할 것이고 부모님과 완전히 끊어지지 않을 것임을 가볍지만 꾸준하게 표현해드리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픈 하우스 참석, 유학 따라가기 등 이런 요구를 하실 때에는 '현실적으로 비자 받을 명분도 없이 뭘 가냐, 나 혼자서도 충분히 잘 한다' 이런식으로 가볍게 쳐내시고요. 가치관적인 것들 (인종이나 문화 비하)도 그냥 '사람 사는게 다 다른거다, 나는 열심히 내 단도리 잘할 테니 걱정마라' 이런식으로 가볍게 쳐내세요. 돈 관련한 것들도, '귀중한 교육 받으러 가는데 이정도라도 돈 주는 게 어디냐, 이렇게 전문성 가지면 나중에 더 많이 벌 수 있다' 이렇게 말씀하시면 되구요. 적당히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리되, 부모님의 안심은 챙겨드릴 수 있는 가볍지만 단호한 표현을 추천드립니다.
미국 생활, 대학원 과정에 대한 이해가 없는 부모님
15 - 우리는 스스로 결정할 수 없는 요인, 이를테면 나이, 성별, 국적, 인종 등으로 타인을 판단하지 않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왔습니다.
물론 특정 집단을 겪은 경험에 기반해서 어느정도 스테레오 타입을 가질수 밖에 없다는 것은 이해합니다만, 본인이 가지고 있는 스테레오 타입을 밖으로 표출하거나, 입시나 면접 등에서 불이익을 주거나 하지 않기 위해 의식적으로 노력해야만 하겠습니다.
그러니까 '동양인을 많이 겪어봤는데 영 별로라서 동양인 신입생은 안받으면 좋겠다' 와 비슷한 말인데, 저런 말을 대놓고 하면 당장 인종차별로 난리가 나겠죠.
실리적으로 생각할 때, 교수님이 만약 저런 문제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나이 많은 학생들에게도 동등한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믿으시는 편이라면 화내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나이 많은 사람들이 분위기를 흐린다, 라고 하지는 마시고, 특정 인물과 그의 행동을 지정하면서 연구실 분위기에 악영향이 있다고 하시면 교수님께서 적당히 개입하실 수도 있겠네요.
나이 많은 사람 좀 안 받았으면 좋겠어요ㅠ
57 - 이러면 좀 행복해지나요?
skp랑 yk 차이는 왜이리 심할까요ㅠㅠ
16 - 저는 통합 7년차에 첫 1저자 논문 쓰고 졸업했고 2년 포닥 후 9년만에 인서울 임용됐습니다. 저희 분야도 논문 쓰려면 학부연구생이 2달만에도 씁니다.
특히 연구자라면 남과 속도를 비교하지 마세요.
성과가 안 나니까 점점 나태해져요
19 - 현직 교수입니다.
40대 중후반 중견 정도이고 인서울 상위권 학교입니다.
이메일 확인은 매일 여러 번 하고요. 컨택 메일 많이 받는데요.
적어도 관심 있으면 2~3일 내에 답 줍니다.
실제로 뽑을 지에 대한 것은 고민 많이 해야 하는 것이 맞는데, 뽑겠다는 것이 아니라 줌이나 대면으로 면담을 진행해볼까 말까는 메일 보면 5분 이내로 결정됩니다. 당연히 면담 안 하는 쪽이 훨씬 많고요. 답메일 문구도 정해져 있으니 그것까지 해서 10분입니다.
관심 별로 없으면 거절 메일 보내는 것이 늦어질 수는 있겠지만, 맘에드는 학생한테 면담 진행하자는 메일을 2~3일 내로 보내지 않은 적은 없습니다.
기대의 끈을 붙잡고 싶겠지만 리마인드는 정말 혹시나 하는 마음으로 보내보는 거고 대부분은 며칠 답 없으면 관심 없는 겁니다.
그러니 본 메일 1주, 리마인드 1주 해서 2주 동안 그 랩만 바라보면 안될 겁니다.
사실 여러 번 나오는 이야기지만 이메일 보내 단순 컨택하고 상담해보고 랩도 보고 하는 건 여러 랩 동시에 해도 됩니다.
다 보고 고민하고 나서 서로 확정만 한 랩 하면 전혀 문제 없고 오히려 랩 간 비교하기도 더 좋습니다.
TO 있는 면담하고 본 랩 들 중에서 가장 좋은 랩을 고르는 것을 추천합니다.
컨택 메일은 최소 일주일 정도는 기다려라
17 - 무능력한 착한 교수보단 인성 안 좋아도 실적 좋은 교수가 훨씬 좋은데? 인성 좋고 무능력한 교수 밑에서 인생 버리는게 더 끔찍함
실적으로도 숨기지 못 하는 것들
20 - Proposed Speedy Heuristic Approach for Navigating Geographical Unexplored Spaces (SHANGUS)
라고 논문에 나와 있네요.
요즘 시대에 논문 제목갖고 장난치는 사람들도 있네요
12 - 어차피 무슨 의도인지 알 수 없는데 뭘 너무하다고 하기는 좀 애매해 보이는데요 ㅋㅋㅋㅋ 아니 애초에 저게 저렇게 되는 줄 처음 알았네 ㅋㅋㅋㅋㅋㅋㅋㅋ
의도한건지 몰랐는지, 알았다면 좋은 의도인지 나쁜 의도인지 뭐 밝혀진게 있다면야 이야기가 다르겠지만요 ㅋㅋ
요즘 시대에 논문 제목갖고 장난치는 사람들도 있네요
12 - 인기 없어서 아무도 안가려는 랩인데 그걸 모르고 덜컥 가버린다고 했나 라는 고민이신가요?
뭐, 컨택 과정이 수월했다는 것 만으로는 아무것도 알 수 없습니다. 마침 그 시간에 메일을 확인하는게 교수님 루틴이었을 수도 있구요.
1시간만에 컨택 완료 된 랩...?
11
학벌이 안좋은데 대학원에서 잘 할 수 있을까요?
2023.12.09
![](https://dqwc99gnfppi1.cloudfront.net/media/board/free/dable/content/image-057-b.jpg)
물론 그 학교에서 정말 열심히 노력해서 감사하게도 높은 학점을 갖고 있습니다.
낮은 학교에서 뭐라도 하겠다고 연구해서 상도 많이 받고, SCI 단독 1저자 논문도 내고.. 그렇게 살았습니다. (혹시몰라 취업도 병행했는데 역시나 취업은 안되더군요)
군대를 다녀오고 3학년 때 문득 이론 강의를 듣다가 관심 있는 분야가 생겨 유사 연구실로 컨택을 많이 하며 그 과정에서 귀하고 감사하게도 SPK 인기랩들에서 인턴을 많이 했습니다.
인턴한 연구실에서 조기졸업하고 입학하라는 권유도 받았으나, 천천히 가고 싶어 조기졸업은 택하지 않았습니다.
SPK 연구실에는 정말 우수한 학벌을 가진 선배들이 많더라구요.. 그래서 졸업을 앞두고 '내가 대학원 가서 잘 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들었습니다.
현재는 또 다른 SPK에서 인턴중이고 학부시절 군휴학 외에 쉰 적이 없기에 쉬고싶어 24년 9월에 입학할 예정이긴 합니다만, 위의 고민과 물음은 끊이지 않네요.
1. 제가 가진 것은 남들보다 오래 앉아있기, 완벽히 해결될 때까지 일어나지 않기, 꾸준히 하기 뿐이라 이거로 공부도, 연구도 수행했었습니다.. 대학원 가서 학벌 좋은 다른 사람들보다 잘 할 수 있을까요?
2. 랩미팅 때 영어로 발표하는 연구실이 많은데, 영어를 잘 하지 못합니다. 다른 분들은 어떻게 극복하셨을까요? 인턴하면서 회화학원이라도 다니는게 나을지요?
졸업을 앞두고 많이 고민했고, 방황했습니다.
선배 대학원생 선생님들의 고견 부탁드릴게요.
감사합니다.
영어 진짜 못하는데 어떡하죠? 김GPT 21 50 4892-
25 20 8426 -
6 19 4417
대학 학벌 김GPT 13 16 13662
공대 대학원생 영어실력 김GPT 0 7 9502
대학원생 영어실력 김GPT 3 6 7048-
4 13 2877
대학원 학벌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김GPT 1 10 2814
학벌 관련/어문 계열 질문 김GPT 2 3 5737
나의 선생님 (자랑 포함..) 명예의전당 173 19 20151-
255 25 28030 -
167 27 3523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3.12.09
대댓글 1개
2023.12.09
대댓글 1개
2023.12.09
대댓글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