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저는 연구가 하고 싶습니다 하지만 대학원은

2023.10.19

15

3578

가고싶지 않네요

석사를 했습니다. 회사 계속 다니고 있습니다.

지금은 어쩌면 연구와 멀어진 회사원일뿐이지만
저는 연구를 계속하고 싶긴합니다.

하지만 제가 경험한 대학원은 다시 가고 싶은 곳은 아니었습니다.

물론 개중에 훌륭한 교수님들도 계시지만
많은 더러운 것들을 봐서요

대학원생이 아닌 개인으로서 연구를 할 수도 있을까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5개

속편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3.10.19

네 개인도 연구할 수 있습니다

대댓글 2개

2023.10.19

어떤 분야가 있고 예시가 있을까요?
속편한 프랜시스 베이컨*

2023.10.19

월급으로 시약이랑 장비 사서 집에서 하면 되죠
얌전한 알렉산더 벨*

2023.10.19

연구는 누구나 할 수 있죠

분야에 따라서 장비나 뭐 이런 문제가 있을 수는 있지만요

2023.10.19

독학으로도 할 수 있지만 소위 학계에서 인정받는 제대로 된 퀄리티의 연구를 하기는 확률이 많이 떨어지겠죠. 애초부터 피아이의 자질을 타고난 사람들이 가끔 있고 훌륭한 학자 되는 분들도 더러 있을 겁니다.
하지만 대부분 그런 천재적인 부류의 사람들이 아니라서 수련이 필요한 거고, 그것 때문에 더러운 꼴 참으면서 대학원 가는거죠. 본인 말씀하신 걸로 봐선 더러운 꼴은 감당하기 싫은가본데, 애초이 본인의 마음이 진정으로 연구가 하고 싶은 건지 다시한번 생각해보세요.

대댓글 3개

2023.10.19

저는 조금 생각이 다른게 본인이 어떤 환경을 겪느냐는 앞으로 연구방향이나 가치관에 큰 영향을 미친다고 봅니다. 그 과정에서 너무 안 좋은 일을 계속 겪는다면 그렇게 얻는 연구자의 자리가 의미있나? 고민할 수도 있지 않나요
만만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3.10.20

이게 무슨말이죠? 교수자가 이 글을 쓴거면 본인은 대놓고 더러운짓을 할테니 꼬우면 나가던가 참던가 알아서 하고
꼬와서 나가면 진정으로 연구가 하고싶지 않은건가요?

마인드가 참된 교수자네요 진짜 ㅋㅋ

2023.10.20

좆소기업과제나 시키는랩보다는 회사에서 논문쓰는분들이 낫더라고요.

2023.10.19

미국에는 그런 사람들 꽤 있는데 한국은 어떤지 모르겠네요 근데 돈만 있으면 방법은 있지 않을까 싶긴 함

2023.10.20

완전히 새로운 분야를 하기보다는 이전에 경험과 석사분야를 접목하면서 컴퓨터로만 할수 있는 분야면 가능할것 같아요. 다만, 이것도 교수와의 컨택을 하고 파트박사하는 느낌으로 하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파트박사는 사실 교수가 자기 수하의 사람이라고 마음대로 하지는 못하고, 데이터를 오히려 외부에서 가져올 수 있는사람이면 외부공동연구자로 대우하는 느낌의 경우도 봤어요. 분야 잘 정해서 파트 박사 추천합니다

2023.10.20

회사도 케바케고 실험실도 케바케라 딱 단정짓긴 뭐 하지만

개인사업체로 연구도 하고, 학위도 박사과정 중 입니다만

개인이 연구 꾸려가기엔 인력구성이나 시설구성 등 어려운점이 많습니다.

회사에서 연구부서 들어가서 하는건 또 한가지 방법이지만

전문적 연구소가 아닌이상 베이직한 연구나 공부는 상당히 힘들고 실증화나 실용화 바로 돈 될만한거에 집중이다보니 생각하시는 것과는 많이 다를 수 있을법 합니다.

기초연구분야라면 관련 학술적 지식등이 필요하여 학교에서 도움이나 연계가 이루어지기가 비교적 쉽다 생각들고, 실증화 실용화 측면에서 엔지니어링적인건 아무래도 기업부설 연구소가 좋다고 봅니다.

분야나 회사 학교 상황 등이 너무 천차만별이기 때문에 단정지어 말하기 어려워 개인 경험으로 말씀드립니다.

근데 연구를 계속 지속하다보면 석사로 책임연구원급으로 중소기업에서도 조금 어려운부분이 있어 결국 파트타임으로라도 박사를 하는경우가 대다수더라구요.

아무래도 계속 연구분야를 계속 하시는거면 박사까진 하셔야 추후 책임하시고 연구 수주하는데도 도움이 되실거라 생각드네요

2023.10.20

분야에 따라 할 수 있는 말이 많이 다르겠네요. Wet lab은 개인은 불가능합니다. dry lab은 케이스마다 다르겟구요.

2023.10.21

더러운 교수만 있는 것은 아니고. 세상은 어디든 더러운 것 좋은것 다있으니 다른곳도 마찬가지 일 껍니다. 그래서 대부분 교수가 되려고 하죠.

2023.10.21

맛 없을까봐 밥 안먹을 사람이네. 윗분 의견에 공감합니다. 교수든 뭐든 어딜 가든 다 똑같아요.

2023.10.21

가장 현실적인 것은 기업 부설 연구소로 가는게 아닐까 싶네요.. 리서치 센터 등에서는 논문 권장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