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조현병환자는 타인에게 해를 끼칠 수도 있기 때문에 조심해야 합니다. 묻지마 살인사건 중 많은 사례가 조현병환자의 망상에서 시작되곤 합니다.
아즈매와 마음 건강
16
- 혹여나 마음 따뜻한 친구들이 공격적인 댓글에 대해 나를 대신해 변론해주느라 애쓸까봐 하는 말이지만 마음만 고맙게 받겠다. 세상에는 소수지만 자신의 언사에 받을 타인의 상처에 무감각하거나 즐기는 이도 있는것 같다. 우리가 반대 댓글로서 그들의 공감능력을 일깨워줄수는 없다. 안타깝지만 그의 인생 아니겠는가.
아즈매와 마음 건강
24
- 세상에 소름 끼치네.
이런 사람이랑 깉은 랩 쓸까 겁난다.
상태도 졸라 심각한거 같은데 그 예전 누구처럼 랩에 불지를지 누가 암?
전문직이라는 것도 망상 아님?
아니 예초부터 대학원은감?
아즈매와 마음 건강
23
- 오우 망상증환자가 쓴 글인줄 알았음 응원도 안 눌렀지.
다른 글은 이 글에 비해 점수도 안 올라 감. 다들 속은걸 아는거지.
서른 중반 석사 졸업 미혼 아즈매의 대학원 단상
16
- 일반적인 경우라면 말씀하신대로 학부생 글쓰기는 교수 첨삭 단계에서 95%가 바뀌는게 정상이고, 그래서 학부생이 SCI 1저자를 가저가는 일이 잘 없습니다. 몇년 간의 phd grind, 그 이후 몇 년간의 faculty grind를 따라잡기는 쉽지 않지요. 그래서 보통 학부생이 개발과 실험을 했더라도, 그 내용을 지시했던 석/박사과정 학생들이 1저자 역할을 하곤 합니다. academic reporting에 조금 더 훈련되어 있기도 하고, 결국 저자는 내용을 이해하고 그 내용을 글로 쓰는 사람이기 때문이죠.
그러나 글쓴이께서는 교수님과 둘이 연구를 하신 것 같네요. 교수님 입장에서는 1저자나 교신저자나 똑같은 main author이기에 개발과 실험에 수고한 학부생에게 1저자 role을 주시는 것 같습니다. 좋은 기회를 찾는 것, 그 기회를 잘 잡는 것, 지도 교수로 하여금 하나라도 더 챙겨주고 싶게 만드는 것, 모두 본인 실력입니다. 지도 교수님께 감사한 마음과 겸손한 태도를 가지시되, 그 자세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더 많은 역할을 하시길 바랍니다.
학부연구생 sci 논문 이게 맞나요
19
SPK에 타대생이 가면 학벌세탁?
2020.06.26
22
41341

K 자대생 박사과정 3년차 학생입니다
보면 되게 싸우는 글이 최근에 많네요.
그 중에서 타대생이 SKP가는게 학벌세탁용이고, 가서 못따라오는 경우 많다, 우물안 개구리가 SKP 오니까 기고만장한다 이런 내용도 있었던 것 같습니다.
진리의 교바교 랩바랩 사바사임을 잘 알지만, 적어도 제가 아는 우리 연구실 인원들 보면 솔직히 납득이 잘 안가네요.
물론 저의 경우 과고 조기졸업, 전문연으로 제 또래(같은나이)보다 (물론 실험실 기수는 제가 훨씬 빨라서 군필 친구들과 특히 격차가 있습니다) 시간 세이브가 있긴 합니다만, 제가 석사1년차때 어땠었지 돌이켜보면 타대생 출신 석사1년차 친구들과 비교했을 때 딱히 내가 더 나은 점이 크게 없던 것 같고, 다만 커리큘럼상으로 내가 ‘배운 지식의 양’에서 차이는 있지만 크게 이해도나 따라오는 부분에서 격차를 잘 못느끼는 것 같습니다. 물론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제 경험상에서 말씀드리는 바다 보니 일반화의 오류가 있을 수 있겠죠.
단점이라 하면 확실히 같은 과목을 배워도 코스웍에서 안배우고 넘어간 부분이나 학교마다 교수님들이 강조하는 부분이 다르다 보니 부족한 점이 조금 보이는 정도, 대학원 입시 준비로 최소 6개월 이상은 시간을 허비하는 점(자대생들은 연구 참여로 연구에 더 발을 들이고 있을 수 있다는 점), 학교에 대해 잘 모르니 적응하는데도 어느 정도 시간을 들여야 한다는 점 이외에는 딱히 없어보였습니다.
장점은 확실히 자대생들과는 다른 어떤 오기와 그 절박함이 있었습니다. 특히 입학 초기에 그들 스스로 가진 학부 레벨의 차이라던지 이러한 외부요인에 의한 나름의 부족함을 스스로 캐치 하고 있기 때문에 역으로 시너지가 되어 엄청 열심히 하더군요, 심지어는 저는 후배임에도 되게 귀감을 받는 몇 번의 케이스도 느껴보았고 가재는 게 편이라고 솔직히 자대생 후배들을 더 챙기게 되는 그 제 무의식의 흐름이 있습니다만 박사과정에 들어서고 년차가 늘어갈수록 제 자신이 가지고 있던 편견이 점점 깨져가는 것 같습니다. 부족한게 보이면 오히려 더 알려주고 싶은 마음이 생기는 것 같고 그 원동력은 그들의 더 절박한 성실함이 보이기 때문이었던 것 같습니다.
타대생 출신이 SKP에 갔을 때 어떤 생각 없는 사람이 들어가서 물을 흐릴까요? 전공 지식이 부족해서? 실력이 부족해서? 이건 개인적으로 사바사일 뿐 출신 학교의 차이는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요즘같이 학부에서 배우는 내용과 대학원에서 연구하는 주제 내용에서의 큰 격차가 있는 경우에 특히나 말이죠. 학부에서 전공 지식 차이? 개인적으로 크게 중요하지 않다고 보며, 헌들 타대생출신 이더라도 대부분 거의 수석/차석 학생들이 오기 때문에 기본기에선 크게 차이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중요한 것은 마음가짐과, 내가 학위과정을 통해서 뭘 얻어내고 싶은지 목표 의식과 성실함, 연구를 잘 끌어가는 능력이며 그 부분에서 남들과 나의 차이가 생기는 것이겠지요.
글을 쓰다보니 쓸데없이 내용이 길어진 것 같습니다.
적어도 제 연구실 사람들을 보면 타대생, 자대생 서열 파벌 이런게 존재하지 않고 다같이 으쌰으쌰 하면서 실적 내기 위해 스스로 오늘도 밤새 실험하고 있는데 참 고맙기도 하고 존경스러운 것 같습니다. 아마 저 말고도 저와 동일하게 생각하시는 분이 많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뭐 제가 말씀드린 내용 이외에 학교 이곳 저곳 따지는 것보다 내 연구 내가 제일 잘해나가는 것이 곧 실적으로 연결되고 실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ㅎㅎ
김박사넷 추천 PICK! 김박사넷AI가 추천하는 게시글도 읽어보세요!
명예의전당
지도교수와 잘 맞는다는것76
19
31370
-
198
23
61228
-
98
43
37509
-
102
28
20903
-
140
21
31249
명예의전당
우리 교수님 솔직히 너무 좋음190
40
57593
-
244
43
77339
-
121
34
75606
-
94
9
40326
-
73
60
88176
-
183
18
57994
-
145
16
150237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김박사넷에서 드리는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533
kairi kaist ai 인턴 최종 결과
15
- 한양대 대학원도 서울캠 에리카 캠퍼스 다르게 생각하나요??
14
- 카이스트 반수 서울대
21
- S대 AI대학원 컨택됐는데 카이스트에도 지원하려고 합니다.
16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0.06.26
2020.06.26
2020.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