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연구과제 따는게 논문 실적으로 줄세우는 건가요?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10.01

7

2350

학생 수가 적은 곳은 논문 양이 많이 안나올텐데 그럼 많이 불리하지 않나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방탕한 데이비드 흄*

2023.10.01

논문 양은 그닥 중요치 않고 . 좋은 (high impact)논문으로 1년에 1-2편 정도면 충분합니다.
그 외에는 정치력, 인맥 등이죠. 물론 제안서를 잘 써야 하구요.

대댓글 1개

2023.10.0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렇군요 교수님께서도 과제당 좋은 논문 하나만 나오면 된다고 하시던데 그정도면 충분한가 보내요

2023.10.01

연구 재단 과제의 경우 최근 4-5년간 좋은 논문 5편 기입하고 이걸로 승부

대댓글 2개

2023.10.01

기티 과제의 경우 성격에
따라
상이함

2023.10.0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제가 교수님 마지막 박사과정이고 내년부턴 박사과정이 저뿐이라 걱정이 많았는데 그정도 요건이라면 다행이네요ㅜ

IF : 2

2023.10.02

질문이 좀...ㅎㅎ 연구과제는 논문이랑 다르죠. 연구 중 좋은 논문이 계속 나오고, 그 연구 지속하기 위해서 과제 하는거죠.

2023.10.02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다른데 연구중심의 과제면 기본적으론 5개의 최근 간판논문을 기준으로 뽑음. IF나 JCR 랭킹이나 보면서 기계적인 스크린이라고 생각하면됨.
살아남은 몇몇 제안서가지고 보는데 컨셉이 최신연구고 충실하고 참신한거 순으로 붙음. 뭘하는지 잘보여주는게 중요함.
실증이나 개발 과제면 좀 다르고.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