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지거국 박사

2023.09.10

19

3246

지금 지거국(경,부) 전자공학부에서 석사과정중인 사람입니다.
자대 박사 진학 괜찮을까요?
물론 실적이 중요한 것 잘 알지만 교수님들이나 정출연 박사님들 보면 SPK비율이 압도적이니 학벌을 신경 안 쓰기가 어렵네요..
지금 교수님도 좋고 실적도 괜찮고 연구실도 괜찮은데 학벌이 자꾸 마음에 걸립니다 ㅠㅠ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온화한 존 필즈*

2023.09.10

부산대 경북대면 어중간한 인서울보다 좋습니다.

대댓글 3개

울적한 맹자*

2023.09.10

대학원을 어중간한 인서울하고 비교하면 안되죠.
대학원은 '연구를 잘 할 수 있는 환경' 의 기준으로 판단해야죠. SEM 하나 제대로 못찍는 곳도 대학원이라고 수두룩한데...
온화한 존 필즈*

2023.09.10

2030 사이에서 흔히 말하는 입결로 서열화하기 때문에 드린 말씀입니다.
말씀해주신 사례 이외에도, 해당 대학교에 의대 한의대 약대 수의대가 있는지 여부도 중요하죠.
당장 해당 교수님들 스펙만 보셔도 젊은데 연구를 잘하시는 교수님들이 매우 많습니다.

2023.09.11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어중간한 인서울이랑 비교되는게 부경 현실임 ㅋㅋ
울적한 맹자*

2023.09.10

글쎄요. '지도교수님이 실적이 좋고, 연구실도 괜찮고' 이건 어디까지나 환경 얘기인데요. 결국 중요한건 작성자분 본인의 능력입니다. 박사를 하고자하는 동기는 무엇인가요?

말씀하신것처럼 학벌 굉장히 중요합니다. 첫인상으로 판단하는게 학벌이죠. 이건 한국이든 외국이든 어쩔 수 없어요.
학벌인 낮다면, 실적으로 증명하면 됩니다. 본지 자매지 1저자로 적어도 1편 쓰실 자신 있으신가요? 그렇다면 진학하세요.

자신이 없다면, 높은 대학원 알아보세요.
넉살좋은 박경리*

2023.09.10

정출연은 뭐 지거국 박사도 잘 가죠. 요새 spk 찾기 힘들어짐

대댓글 1개

2023.09.11

최근 네이버 카카오 등 채용시장이 많이 줄면서 다시 정출연에 많이 간다고 들었습니다.
정출연은 사실 보통 처음 들어갈때는 spk비율이 높은데, 잘하던 사람들은 다들 학교로 옮기다보니 점차 그 비율이 낮아지는게 정답인것 같습니다.
저도 정출연 선임으로 입사할때 동기들중 spk비율 상당히 높았는데, 제가 가장먼저 퇴사했고 (해외포닥 되서), 그 이후에 저와같은 k출신들은 모두 퇴사하고 지금 다 학교에있네요.

2023.09.10

부 경 자대 학석박들은 다 인정해줍니다. 연구 인프라나 재정도 좋기 때문에 환경도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매년 우수한 학생들 나오는거 다 알고 있고 필드에서도 꾸준히 보이고요.

2023.09.10

국내 대학원 다 비슷비슷합니다.

2023.09.11

윗분들은 양심에 손을얹고 본인 가족이 질문자와 똑같은 질문해도, "국내대학원은 다 똑같아", "실적이 가장 중요해" 이런말을 하실수있을까요?
학계 현직에 있는 사람들한테 질문해도, 대다수가 최소한 대학원은 spk에서 했기에 웬만하면 spk가라고 할겁니다.
글쓴이분이 spk 어느정도 학교에 가실수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잘 비교해보고 결정해보세요.
한국사회가 절대 학벌을 안보고 실적만으로 평가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실적이 월등하면 정말 어디든 가실수있는건 맞습니다만, 그러기가 현실적으로 쉽지 않아요. 서로 고만고만한 실력으로 졸업하면, 그중 결국 학벌좋은사람을 선택하게 될 확률이 높습니다.

대댓글 2개

2023.09.11

정말 특출난 소수를 제외하고는 spk 박사들이나 지거국 박사들이나 실적 측면에서 고만고만합니다.

2023.09.11

참고로, 실적이 고만고만하면 spk박사들이 취업시장에서 선택될 확률이 높습니다.
쇠약한 시몬 드 보부아르*

2023.09.11

솔직히 말씀드리면 spk 갈 수 있으면 가세요

임용이든 채용이든 지원자가 논문 실적 비슷하고 인성도 비슷하면 그 다음은 학벌을 아무래도 참고하겠죠

2023.09.11

진지하게 spk못가면 자대학석박이 더 좋음. 실적면이나 아웃풋으로 봤을 때.

2023.09.11

글쓴 분 지도교수가 누구며, 어떤 사람이지가 정말 중요하지 싶군요. 그 분야에서 꾸준히 실적 내며 괜찮은 사람이고 인품에 큰 문제가 없는 사람이라면 현 지도교수 밑에서 공부하고 연구해서 학위받는 것도 나쁘지 않다 봅니다. 좀 더 높은 곳을 찾아서 갔는데 이상한 놈이 지도교수고 제대로 된 연구는 커녕 허드렛일이나 하다가 학위과정 길어지고 구린 연구주제로 논문도 많이 쓰지 못하고 연구능력이나 기타 스킬을 제대로 익히지 못하고 나오는 최악의 상황이 올 수도 있으니까요.

2023.09.11

다른 학교에서 공부하려면,
하드 스펙도 중요하지만 소프트 스펙도 중요합니다.

참고로 실력이 비슷하면 더 좋은 대학교 채용하겠죠.
큰 연구해 보면 학교 레벨 차이 느껴요.
학교가 좋은 거보다는 좋은 학교에 실력 있는 선배들이 많아서 좋은 거예요.

2023.09.12

상위권 학교 진학을 추천하는 이유중에는.. 국내/해외 협업연구 유무와 장비 엑세스 여부가 깔려있습니다. 결국엔 학교 간판보다는 PI의 네트워크가 더 중요하고, 개개인 논문실적으로 평가받기는 하네요.
서울대박사 A와 지거국박사 B가 동일분야에서 학위하면서, 비슷한 편수의 논문을 비슷한 저널에 출판했다면...
객관적으로 실력 자체에서는 B가 A의 비교우위에 있다고 볼수 있을거 같습니다. 연구장비 인프라 네트워크 주변사람 등 모두 고려할때. 하지만 채용하는 입장에서는 보기좋은떡이 먹기도 좋다고 결국 학벌을 무시할수는 없게 되네요.
상위 대학원으로 진학해서 큰 손해볼거는 없을테고, 인생 살면서 전환점이 몇번 있을텐데 연습해보는 포인트로 괜찮다 생각합니다

2023.09.12

서울 어중간한 따라지대학 가서 무시당하고 제대로 지도 못받을빠에 걍 하던데가 훨씬 나을꺼 같네요
어차피 요새는 논문싸움임

2023.09.12

과거 저와 같은 고민 (저도 지거국 자대 석박)을 하시는 것 같아 댓글 남겨요. 사실 저는 지도교수님의 인품과 연구열정 그리고 실적을 보고 자대로 박사 진학했습니다. SPK로 학벌 업그레이드 한들 지도교수 잘못만나면 진짜 큰일납니다. 돈은 돈대로 시간은 시간대로 날아가요. 왠진 모르지만 저는 지도교수님과 함께라면 압도할만한 실적 낼 수 있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살짝 무모했던 것 같기도 하구요 ^-^) 근데 지도교수님과의 시너지는 진짜 무시못합니다. 그리고 인맥 및 연구장비 인프라 볼 때 SPK 교수님들이랑 지거국 교수님들이랑 차이가 보이시나요? 거의 비슷합니다. 뭐 제 논문 실적은 자세히 논하지 않겠습니다. (그냥 주저자 7편 정도) 졸업 후 대기업 종기원에 취업했어요. 실적 많으면 무조건 서류는 다 프리패스입니다. 면접은 글쓴이님 인성과 센스에 달려있겠죠. 실적 잘 쌓으실 자신 있으고 지도교수님과 합이 좋다면 저는 자대 추천합니다. 세상은 온갖 지뢰받이에요. 모험하시겠다면 말리진 않겠습니다. 왜냐하면 학벌을 업그레이드 한 만큼 뒤 따라오는 것들은 분명히 존재하니까요. 글쓴이분이 젊으시고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을 하시겠다면 그것 또한 응원하겠습니다. 그냥 저와같은 케이스가 있다는 것을 알려드리고 싶었습니다. 화이팅 하세요!!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