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 타대 출신이 자대생 무시하네 ㅋ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1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44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44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6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4 - 글쎄요. 학부 연구생이 진행한 실험과 결과. 그리고 기존 연구와 다른 결론을 설득하기 쉽지않을텐데요. 조작이라고 단정짓지마시고 지난 번에는 이렇게 작업을 했는데 저도 이렇게 할까요 라고 교수에 물어보세요. 모르는척 하고. 반응을 보시죠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10 - 그리고 특임교수 돈 안받아요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8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0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9 - 난 주말에 연구하는건 당연하다고 생각하긴 하는데 강제하는건 문제가 있을듯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0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6 - 아니 누가 쉬지 말랬나요? 주말에 공부도 안 하고 꼬박꼬박 쉬는 애들은 애초에 학문하고 어울리지 않는다는거지요. 도피성 진학해서 주말마다 노는 애들 괜히 찔려서 튀어나오네.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3
박사 전문연구요원 제도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2023.08.01

박사 전문연구요원이 2+1 제도로 개편되었고, 연구소에서 1년 근무를 하기 이전에 박사 학위 취득이 필수가 되었다고 들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이 세 가지 생겼는데요,
1. 만약 대학원 생활을 하다가 졸업이 아닌 수료를 하게 된다면 현역으로 입대를 하게 되나요?
2. 그리고 혹시 현재 대학원 다니시는 선배님들 생각하시기에 이번 전문연 규정 개정 이후로 박사 학위 취득을 빌미로 박사 전문연 복무중인 대학원생들이 지도교수님에게 협박이나 부당한 대우를 당할 일이 있을지, 있다면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3. TEPS 점수는 460 정도인데 앞으로 경쟁률이 올라가더라도 이 정도 점수면 박전연 모집에 탈락할 리스크는 없나요?
김박사넷에 이와 관련되어 잘 아시는 분들이 많을 것 같아서 고견을 구하게 되었습니다 🥺 질문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박사 진학관련 김GPT 2 29 3828
박사님(교수)의 제안,,, 김GPT 8 18 8363
김박사넷 ㄹㅇ 정떨어지네 김GPT 15 5 7491
박사도 다 똑같구나 김GPT 9 7 10534
박사 산학장학생. 김GPT 0 12 9331
교수님 컨택 김GPT 0 7 3152
s박사하면 김GPT 0 8 6180-
3 16 1875
김박사넷 교수님 평가 김GPT 3 3 4618
저는 연구실 생활이 너무 행복합니다.. 명예의전당 252 40 63473-
378 71 48782 -
150 49 5671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6 - 일을 잘 한다는 것.
176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30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0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5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33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6 - FYI
12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5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13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6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26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2 - 교수님은 정말 좋으신데 방장이랑 사이가 안 좋으면
9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5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6 - 일을 잘 한다는 것.
176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70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5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33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16 - FYI
12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5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2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10 - 랩실 출퇴근시간
1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6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26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2 - 교수님은 정말 좋으신데 방장이랑 사이가 안 좋으면
9

미국 박사과정 평균합격률 12%, 극악의 난이도죠.
우리의 꿈을 이루는 방법은 "교육"👨🎓 뿐입니다.
2023.08.01
대댓글 1개
2023.08.01
대댓글 1개
2023.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