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본문이 수정되지 않는 박제글입니다.

인하대 공대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 대학원 관련하여 고견을 여쭙고싶습니다.

2023.07.27

10

1631

성적은 졸업때까지 4.5만점에 통합 4.2, 전공 4.3 이상 만들 수 있습니다. 현재 학부 2학년이고요.
질문1: 서울대 대학원 지원시 필요한 스펙...? 활동....?
질문2: 대학원 진학할때 그 교수님의 논문 영향력을 보라고 말씀하시더라고요 이런걸 확인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질문3: 그리고 대학원을 가게 되면 취업의 폭은 좁아질것같은데, 다들 어떻게 취업하는지도 궁금합니다.
질문4: 저희집안 어른분들께서 (석박출신분들이 좀 있으신데, 세대차이가 좀 나서........ )말씀하시길 대학원 출신도 나름 본다고 하더라고요. 차라리 애매하게 갈거면 미국가서 박사하라고 하시고.,,,
그래서 질문 4의 요지는 대학원도 학교 출신을 많이 보느냐? 입니다.
질문 5: 자대 학부연구생을 하다가 타대 랩을 가게되면 교수님께 너무 죄송할거같은데.... 아무래도 이건 옳지 않은 판단이겠죠?
질문 6: 학부연구생을 타대에서 한다고 해면 자대 교수님들이 과연 좋게 보실지도 의문입니다.
쩝......... 새벽에 이런저런 고민이 많아져서 글을 올리게 되었네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3.07.27

질문 6개중에 6개는 찾아보면 나오는 내용들이고, 학부 2학년 성적으로 어떻게 졸업학점을 확신하시나요

대댓글 1개

2023.07.27

죄송합니다 제가 정보를 더 알아보고 글을 올렸어야하는데. 입학첫학기를 망쳐서 그렇지 그 이후에는 계속 수석하고있어서 제가 오만한 생각을 가지고 글을 올렸던것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2023.07.27

타대갈거면 타대가서 인턴하고
미국갈거면 영어라도 만들고 이야기 하고
취업은 연구분야가 99퍼 결정하는거
배터리 반도체아니더라도 본인 분야에서 잘 나가는 분야가면 지잡나와도 쉽게 취업함

2023.07.27

1. 일단 수석 하시고, 타대 인턴 하면서 연구 실적 만드세요. 그 외에 영어나 이런건 그냥 입학요강 보시면 됩니다.
2. 그냥 모르겠으면 자기 분야에서 좋은 저널이 뭔지만 찾아내고 (이것도 힘들면 그냥 impact factor 높은 저널 고르세요) 그 저널들에 논문이 많이 나가는지를 보세요. 이것도 힘들다? 그냥 졸업생들이 추후 진로가 어떻게 되는지라도 보세요.
3. 위와 같이 졸업생 진로를 보세요.
4. 당연하고요, 개인적인 생각은 미국에서 일할 거 아니라면 탑스쿨급 아니고서야 SKP정도면 충분하다고 봅니다.
5. 상관 없어요. 물론 랩 들어갈때는 "아 저는 여기에 진학할겁니다!!!" 이렇게 해놓고 가면 문제가 있겠지만 그냥 경험 쌓고 진로에 대한 인사이트를 넓히고 싶다 이런 취지로 하는거라면 상관 없죠.
6. 교수가 학생이 타대에서 인턴한다고 그걸 신경이나 쓰나...?

대댓글 1개

2023.07.27

정보 주셔서 감사합니다 :)
참고하여 열심히 하겠습니다!

2023.07.27

1. 어느학교든 학점+연구실적(인턴하면서 저널까지는 아니더라도, 국내학회 포스터발표 같은것정도는 참석하면 좋습니다)가 중요합니다. 다만 연구실적은 대다수가 유의미한 실적이 없기에, 학점으로 결정되는데 학부마다 학점보는정도가 다를겁니다. 졸업생들을 참고해보세요
2. 정확한 영향력은 사실 해당분야사람 아니면 알기어렵습니다. 흔히 보라는 impact factor 등등도 허수도 많기도 하고요. 윗분말씀 참고하는게 좋습니다.
3. 취업폭이 좁아진다곤 하지만, 능력있는사람은 학교/정출연/회사 모두 가능하며 그중에서 골라가게 될겁니다. 정말 애매한 연구실가면 학부졸업보다 취업시장이 어려워질수도있고요.
4. 당연히 입시자체만 볼때 난이도차이가 크기때문에 미국이든 유럽이든 좋은학교에서 학위받는게 국내에서 학위받는것보다 유리한게 많습니다. 문제는 어느정도 학교까지 갈수있느냐 인것같습니다. spk자대생 기준으로는 미국 top30아니면 자대대학원가고, 저또한 학교 후배들기준으로는 그게아니면 spk괜찮은랩가는걸 추천합니다. 특히나 한국에서 잡 구하실거면 더더욱이요.
다만 저도 지금 국내 top10위정도되는 학교에있지만, 제 학생들은 top4-50위나 유럽으로 가면 UK기준 옥스퍼드, 캠브릿지, ICL UCL 아니더라도 맨체스터나 퀸매리 정도만 되도 학위를 거기서 받는걸 (괜찮은 교수밑) 추천하고 있습니다. 그런곳에서 학위받는게 사실 해외포닥지원도 훨씬 수월한것도 많고, 여러가지 기회도 다를순있습니다.
다만 국내리턴을 확실하게 생각하실경우라면, 웬만한곳아니면 spk 괜찮은랩에서 학위받는게 유리할수도 있습니다. 저도 국박이지만, 지도교수님을 통한 네트워킹을 정말 잘 사용하고있습니다.
5. 본인의 처신에 따라 갈릴내용입니다.
6. 신경안씁니다.

대댓글 2개

2023.07.27


인하대 학부출신중 잘하는 교수/박사들이랑 친분이 좀 있는데, 아무리 예전과 지금 입결이 다르다해도 결국 본인하기 나름입니다.
인하대학석박으로 대학교수/정출연하는사람도 알고, 인하대 학부에 spk석박, 혹은 미국탑대학 박사받고 국내 탑대학 교수, 미국 탑대학 교수 하는사람들 모두 알고있습니다. 학계에서는 인하대 학부출신이 적다보니, 인하대 학부출신중 잘하는사람들끼리 잘뭉치고 서로 끌어주더라고요. 저도 인하대학부출신 교수 두명이랑 친한데, 소개소개로 많은분들을 알게된 경우기도 하고요.
여기에서 말하는것갖고 뭐 인하대 학부면 어떻다 저렇다 너무 맹신하진 마시고, 본인할일 잘하시면 어디든 불러줄겁니다.

2023.07.27

감사합니다 :)
주어진 일에 노력하고 주신 정보들 참고하겠습니다!

2023.07.27

질문에는 다른 분들이 글 많이 남겨주셨으니 동문으로서 조금 더 사견을 달아보겠습니다.
1. 어느 전공인지에 따라 다르겠으나 학점을 유지한다는 가정 하에 EE/CS 아닌 이상 국내 어느 대학이든 학점으로 컷 당하지는 않을 것 같네요.
제가 더 낮은 학점으로 SKP 모두 컨택이 되었고 현재 하나를 다니고 있습니다.
서울대의 경우 인기 분야 + 인기랩은 뚫기가 가장 어렵다고 생각하지만 나머지의 경우 허들이 kp에 비해 낮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TEPS 점수 만들고 학점 유지하시는 게 첫 번째고, 가고 싶은 연구실에서 인턴 하시고 경험을 쌓는 게 좋아 보입니다.
3. skp에서 취업 걱정하는 분은 한 분도 못 봤습니다.
4. 나중에 뭘 하고 싶으신지에 따라 다를 것 같은데 미국 취업이나 교수 하고 싶으시면 미국에서 박사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대댓글 1개

2023.07.27

감사합니다 선배님!
조언해주신 내용 큰 도움 되었고, 이를 참고하여 노력하겠습니다. :)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