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컴싸 미박 4년차 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졸업이 1-2년 정도 남아서 한국 교수직에 관심이 있습니다.
두 가지 분야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i) 생체신호 + DNN모델 개발 (메인-이걸로 학위 받으려 노력중) ii) 분산환경에서 연합학습 (석사때부터 하던거라 사이드로 하고있습니다)
논문 실적은 1저자로 IEEE Transaction 급 6개 (IEEE IoTx2/TBME/TCBB/TNSE/TNSRE) + 트랜잭션보다 낮은급 3개(IEEE Access, IEEE Sensors, IoP science IF 3.7 정도) + IEEE EMBC 학회(제생각에 3 tier 컨퍼런스) 2편 있습니다 (총 11편). 이외에 2저자로 두편 있구요, 그 외에도 현재 Scientific reports, Transaction 급 한편 1저자로 언더리뷰 중에 있습다.
이외로는 스타트업 리서치 인턴 경력 3.5개월 있고요, 학기중에는 거의 TA만 하고있습니다ㅎㅎ (RA를 안주시더라구요ㅠ) 학교 랭킹은 약 미국내 30위 정도 합니다. (OSU/PSU/UMN/UMass/UW-Madison 정도) - 좋은데가 아니라 큰 의미는 없겠지만 정성적 평가에 도움이 될까 적습니다. 그리고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면 사이드로 구글 딥마인드와 함께 조그마한 프로젝트를 하고 있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단점은 탑컨퍼런스가 한 개도 없다는 점인데요, 혹시 임용시에 탑컨퍼런스가 반드시 필요할까요? 요즘은 많이들 갖고 계신데 저널 실적으로 충분히 커버가 될 지 궁금하네요. 목표는 지거국 + 서울중하위권 이상 바라보고 있습니다!
컨퍼런스 이외에도 혹시 필요한 것이 있을까요?
한국에 아는 교수님이 거의 없어서 이렇게 여쭤보게 되었습니다ㅜㅜ 현직 교수님들 및 선배님들의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2025.09.01
안녕하세요. 요샌 인서울 하위권에도 탑컨퍼 실적 있는 분들이 지원합니다. 세부분야에 따라 다를수도 있겠지만 사실 컨퍼런스 실적 없는 분들은 교원 초빙 평가시에는 어쩔 수 없이 상대적으로 한급 아래로 보게됩니다.
대댓글 1개
2025.09.02
그렇군요, 답변 감사드립니다. 컨퍼런스에 집중을 해봐야겠네요... 저희분야가 생체신호쪽에서도 마이너라서 대부분 저널을 노리기는 하는데도 가서 설명드리기보단 갖고있는게 낫겠죠!ㅜㅜ
2025.09.01
분야가 저널을 인정해주는 분야인가요? 그게 가장 중요할꺼 같아요.
대댓글 2개
2025.09.02
답변 감사합니다! 네, 저희 분야가 저널쪽을 많이 타겟팅합니다, 저희는 EMG 쪽 신호하는데 ISBM recomb 같은데는 약간 유전/신약/EEG 등 약간 분야가 다른것같더라고요!
2025.09.02
분야에서 탑인곳에 내면 저널이던 컨퍼던 아무 문제 없습니다. 일부러 티어 떨어지는 곳 내지 마세요.
2025.09.01
바이오/메디컬 AI 쪽으로 뽑는다고 하면 경쟁력 있어 보이고, 일반적인 AI 분야 뽑는 자리라고 하면 공개강의까지 괜찮을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5.09.02
답변 감사합니다 :) 공개강의까지 괜찮다는 말씀이 혹시 어떤 의미일까요? 서류까지는 괜찮을 것 같다는 말씀일까요?
2025.09.01
대댓글 1개
2025.09.02
2025.09.01
대댓글 2개
2025.09.02
2025.09.02
2025.09.01
대댓글 1개
2025.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