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QS랭킹 점수 믿을게 못되는 이유

2023.06.16

71

5807

일단 국내대학들 QS랭킹 순서로 보면 S>K>P>Y>K 순임. 다른 랭킹들 봐도 대략 비슷함.
그래서 다들 은연중에 P가 SK보다 못하고 YK가 비벼볼만한 수준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음.

QS랭킹은 세부점수들 합산해서 줄세운 거임. www.topuniversities.com 가서 찾아보면 세부점수들이 얼마나 엉망인지 알 수 있음.
미리말해두자면 난 P 같겠지만 P 맞음. 여기저기서 내려치기 당하는거 보고 ㅂㄷㅂㄷ해서 쓰는 글 같겠지만 그것도 맞음.
세부지표 예시로 3개 퍼옴.


Citations per faculty
P 98.0
K 97.7
S 70.3
k 29.5 (안암K는 구분을 위해 k로 표시함 쏘리.)
Y 28.4
-> 이걸로 연구실력을 100% 대표한다고 할 순 없지만 그래도 세부항목들중에 그나마 바이어스가 개입되기 힘든 지표인 것 같음. citation은 그냥 숫자로 바로 나오는거니까. 여기서 P,K는 거의 만점가까움. 안적었지만 지스트 유니스트도 거의 만점. 그래서 PKGU 간에 연구로 변별하기 좀 어려워 보이기도 함. S는 조금 처지고 YK는 생각보다 많이 낮음. 여튼 여기까진 괜찮음. 그런데...

Academic Reputation
S 98.6
K 88.1
k 79.3
Y 75.5
P 47.4
-> 학문적 명성은 어떻게 매기는 건지 잘 모르겠지만 반전. P가 SK한테 더블스코어로 발림. Yk한테도 한참 밀림. 한국인 연구자 중에 여기에 동의할 수 있는 사람 있음? 연고대총장이 와도 이건쫌.. 이럴듯. 그냥 학교규모의 차이인 것 같음. 참고로 UNIST는 지거국들이랑 아주대 세종대 바로 밑에 있음.

International Students Ratio
Y 51.3
k 32.9
S 14.0
K 12.3
P 2.9
-> 대학수준 평가에 이게 왜들어가는지 이해 1도 안됨. 세계랭킹으로 봐도 비영어권국가에 압도적으로 불리함. 국내대학 총 41개 올라와있는데 SKP 모두 그 중 30등에도 못들어감. 이게 대학실력이랑 연관된다고 생각하는 사람 1명이라도 있음? P는 거의 0점임. 실력안되는데 글로벌 지수 높히려고 (or 대학원생 모자라서) 억지로 뽑아온 다른 학교 외국인 학생들 썰 듣다보면 내 학교는 앞으로도 계속 0점이었으면 좋겠음. 실력으로 P에 올 정도의 엘리트 외국인학생이면 미국가지 P를 왜옴..


항목 3개만 대표로 퍼왔는데 다른 지표들도 뭐 비슷비슷함. 저러고도 P가 종합 3등한게 오히려 엄청 대단하다고 생각함.
어쨌거나 P는 랭킹에서 SK보다 확실히 밑에있고 조만간에 Yk한테도 잡힐 것 같음. 그래봤자 1도 의미없음.
교수1인당 연구비 1위가 포스텍인데 저 지표들이 이것보다 중요함? P 졸업생들 보면 다들 포항 틀어박혀서 연구만 해서 그런지 교수되는 비율 엄청 높음. 체감상 S,K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느껴지는데 마땅한 근거자료는 없음.
쓸데없이 QS랭킹 올리겠답시고 외국인 프리패스 전형 따로 만들고 이상한 짓 안하기를 바랄 뿐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1개

2023.06.16

s yk는 문과 포함이야 이과만이야?
p랑 k는 이과만일거고

대댓글 4개

2023.06.16

citation

2023.06.16

의대는 확실히 포함인데 문과는 잘 모르겠네

2023.06.16

포함일 듯. 근데 사회과학 카테고리 들어가면 Yk는 둘다 citation 80점 근처임. (참고로 KAIST도 있음) 노말라이즈 한 것 같은데 오히려 문과가 Yk쪽 점수를 올려준 듯?

2023.06.19

Yk는 의치약대에 문과가 올려주는데도
저정도 점수 나오는건 연구력이 얼마나 구리길래 그런거냐?

2023.06.16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각자 위치에 따라 대학 랭킹이 반영해야 할 지표의 종류와 가중치가 다른거지. 어떤 학교가 명문대인지는 고등학생 학부생 대학원생 일반 직장인 등에 따라 느끼는 바가 다르지 않을까? QS랭킹 만들때도 많은 사람들이 고뇌해서 저런 기준을 만들었겠지. 확실한건 어떤 종류의 랭킹을 들이대도 모든 학교를 만족시킬 순 없어. 각자 강점들이 달라서

대댓글 1개

2023.06.16

동의함

2023.06.16

P는 연구만 하는 학됴로 소문났는데 글쓴이 P 맞음?

대댓글 1개

2023.06.16

?
염세적인 노엄 촘스키*

2023.06.16

서울엔 외국인 학생 지표 늘리려고 영어도 한국어도 안되는 중국인 유학생 무지하게 받아서 수준 떨어뜨리고 있는 학교도 있죠... ㅎㅎ

2023.06.16

QS 가 지존이고 이걸 못믿겟다니 이상한 사람이라고 하는 댓글 본적있는데 ㅋㅋ
NUS/NTU가 HYP보다 높은게 당연한거라던가

대댓글 1개

2023.06.17

저도 qs를 지지하는건 아닌데 qs에서도 일단 H는 nus보다 높고 YP는 nus/ntu 사이에 있습니다.
선량한 존 케인즈*

2023.06.16

그냥 외국인들 입장에선 S K에 비해 포스텍은 듣도보도 못한 대학일 확률이 높다는거지

대댓글 10개

염세적인 노엄 촘스키*

2023.06.16

딱히..? 그렇게 따지면 K도 아무도 모르죠
선량한 존 케인즈*

2023.06.16

S 98.6
K 88.1
k 79.3
Y 75.5
P 47.4

Academic reputation 순이라잖아 좀 본문을 쳐 읽어
염세적인 노엄 촘스키*

2023.06.16

너나 똑바로 읽으세요ㅋㅋ 바로 밑에 아무도 동의 못할거라고 써있는데.
선량한 존 케인즈*

2023.06.16

그건 ㅈ도모르는 P변호하는 P학생인 작성자 생각이고. Qs랭킹에서 자체적으로 전세계인들 설문조사한 결과인데 뭘 못믿음 ㅋ
염세적인 노엄 촘스키*

2023.06.16

저는 P와 전혀 상관없는 학부 출신이고요. 가슴에 손을 얹고 생각해보세요. 과연 연대가 포스텍보다 1.5배 academic reputation이 높은 결과가 말이 된다고 생각하시는지 ㅎㅎ
선량한 존 케인즈*

2023.06.16

나도 한국인들 대상으로는 이런 결과가 나오지 않을 거라고 생각함. 그건 동의. 그런데 포스텍이 역사가 짧아서 외국인들 입장에서 포스텍에 대한 인지도가 연고대보다 떨어질 수 있다고는 봄.

2023.06.17

근데 academic reputation 찾아보니깐 많이 뒤틀렸던데ㅋㅋㅋㅋ 도쿄대가 예일 프린스턴보다 높고, 싱가폴 국립대가 북경, 칭화, 시카고대보다 높음

2023.06.17

무엇보다 서울대가 칼텍, 코넬대, ICL, 뉴욕대보다 높아서 놀람ㅋㅋㅋㅋㅋ

2023.06.18

외국이들이 칼텍보다 서울대를 더 들어봤겠냐? 너 같으면 외국인이 칼텍에 비하여 서울대를 학문적 명성으로 어떻게 평가할 것 같냐?

2023.06.18

난 사실 왜 서울대의 명성이 칼텍보다 높은 학문적 명성이 가진 것으로 평가되었는지 암. 상상해보렴. 신문사가 누구한테 학문적 명성을 평가해달라고 했갰냐? 상식적으로 서울대를 컬텍보다 높게 평가할 사람들이 누구겠냐? 답은 알 것으로 믿는다.

2023.06.16

Citations per faculty
P 98.0
K 97.7
S 70.3
k 29.5 (안암K는 구분을 위해 k로 표시함 쏘리.)
Y 28.4
이거는 어떻게 매기는 거임? 예전부터 궁금했는데
100점을 받으면 무슨뜻임? 논문편수당 인용수가 많다는거? 어떤기준으로 하는건지 명확히 모르겠으나 종합대학이 전체적으로 떨어지는거로 봐서는 종합대학의 문과 등 인용 거의 안되는 분야 다 포함해서 낮은거 같다는 생각이 드네.

대댓글 9개

2023.06.17

글케 따지면 인용 깡패 의대고 고려해야지 그거 포함하면 문과 포함한거랑 또이또이할듯

2023.06.17

기준을 전혀 모르는 상태로 문과가 과가 몇개인데 그걸 또이또이 하다고 왜 단정을 지음? 모든과의 인용수 더한뒤 과 갯수로 나누는 방식이라면? QS랭킹 포공이 71 연대가 73 고대가 74위임. 서울대29 카이42이고. 평가 기준 명확히 안보고 포공이 규모작아서 손해보는거 이득보는거 그냥 또이또이하다 이런식으로 말하면 본인들도 기분나빠할거면서 그냥 또이또이거리네. 누가봐도 종합대가 쌉불리하게 평가해서 저모양이된거구만.
선량한 존 케인즈*

2023.06.17

종합대학이 쌉불리하면 서울대가 29위인게 말이 안되지

2023.06.17

ㄹㅇ ㅋㅋ 서울대가 저리 높은데 연고댜 죽쑨거보면 걍 제대로 된 것 같은데..

2023.06.17

아니 되게 날섰네;; 나는 포랑 관련 없는데 뭘 기분 나빠함

2023.06.17

그리고 위 대댓처럼 설대도 종합대인데 연고랑 차이 많이 나니깐 종합대라고 쌉불리하진 않겠다고 생각한거지

2023.06.17

근데 헤겔 말처럼 의대랑 문과랑 어느정도로 영향을 미치는지는 생각해봐야 할듯. 다만 난 수는 문과가 많은데 의대 인용수도 보통 다른 분야의 10배 이상 되니깐 대충 비슷하게 영향 미치지 않을까 생각한거임

2023.06.17

citation점수 얘기하는데 등수얘길왜하는거?ㅋㅋ 서울대가 70.3인데 pk가 98급인게 맞고? Y는 무슨이유로 28.4인지 설명이 되는거? 100점 만점이 뜻이 뭔데 도대체

2023.06.17

종합대가 문과로 인해 크리티컬한 불리함을 받는다면 설대랑 연고랑 어느정도 비슷하게 나와야 하지 않을까 생각했음

2023.06.17

y 인용수 의대 포함된거면 ㅈㄴ 낮은거 아님? 흠..

대댓글 7개

2023.06.17

그니까 의심이 된다는거임. 인용을 100점 만점으로 평가하는데 만점의 기준이 무엇이며 종합대가 낮은것을 보니 이공계가 아닌 학과가 끼면 매우 불리해보임. 평가기준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는이상 그냥 저대로 믿는건 바보인듯. 연고대도 요새 Nature Comm이상 상당히 많이 내는데 점수가 저렇게 차이나는건 뭔가 이상한 요인이 있는게 분명함

2023.06.17

근데 위에 글쓴이 댓글 보면 사회과학쪽은 citation 많다는데, 그럼 인문학 공학 예체능이 다 말아먹고 있다는 이야기임? (의대가 캐리한다는 전제 하에)

2023.06.17

댓글 적다가 생각난건데, 이개 대학 랭킹이라는게 생각할 수록 말이 안된다. 가량 포스텍하고 다른 종합대하고 비교할 때, 애초에 학교 자체가 종류가 다른데 같은 방식으로 묶는게 이상하고.. 그렇다고 공학쪽만 비교한다고 치면 학교 명성같은건 인문계 예체능계 등등 다 포함되서 종합대가 ㅈㄴ 유리한거 아님? 공학쪽 reputation만 측정한게 있남? ㅋㅋ

2023.06.17

다른건 모르겠고 citation점수에서 종합대가 쌉손해라는건데 왜자꾸 다른얘길함? 랭킹은 P Y k 세대학이 거의 똑같은데 그건 관심없고. 저 citation 점수가 진심으로 맞다고 생각함?

2023.06.17

작년까지 Y 종합 랭킹 낮았음 ㅋㅋ 학교가 QS 올리려고 좀 한 짓이 있어서 오른거고

2023.06.17

왜케 말을 못알아듣지. Y qs랭킹에는 관심없고 저 citation 점수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정확히 알려진게 아닌 상황이고 그냥봐도 도무지 납득이 안되는게 정상임. PK뿐 아니라 UG도 저 점수가 거의 만점이라는데 특히 G는 탑티어 논문 편수 Y에 압도적으로 밀리는데 Y가 20점대고 G가 만점에 가깝고? 누가봐도 말이 안되지. 근데 S가 70점인거보니까 종합대가 저 점수에서 불리한 요인이 있는거지. S와 YK차이가 왜 큰지는 나야 모르겠고.

2023.06.17

말 그대로 교수당 피인용수 낮은거 아님? ㅋㅋ 뭐 분야별로 citation 찍어보지 않는 이상 공학계열 비교는 단정짓기 어려우나 적어도 종합대인 서울대랑 비교해보면 yk가 엄청 떨어지는건 맞는듯

2023.06.17

어쨌든 P가 하향세인건 팩트
지금이야 내려치기겠지만 결국 나중엔 그게 현실이될거임
앞으로 10년사이에 yk한테 계속 밀릴것이고
10년뒤면 이런 주제로 싸우지도 않을듯

대댓글 2개

2023.06.17

코쨌든 ㅋㅋ

2023.06.19

이건 2000년도 부터 나오던 얘기다 ㅋ

2023.06.17

포공 연구비 작년 교수당 15억은 팩트입니다. 그리고 자금은 2조원 이상 이 것도 팩트입니다. 이 정도의 대학을 까는 학생들은 대채 어느 대학 출신인가요? 가슴에 손을 대고 생각해보세요. 제 정신인지?

2023.06.17

글쓴이에게 나의 후배이기에 인터넷에 난무하는 글에 좌우되지 말기를 바람. 새가 울거나 개가 짖어도 세상은 똑같음. 개나 새가 짖거나 울어도 그들이 세상을 바꿀 수는 없음.

2023.06.17

Reputation을 점수에 크게 포함시키는 영향이 크죠. 저 점수는 어떻게 매기냐면 학자들에게 이메일 보내서 이 학교 들어봤냐? 그렇게 물어보는 겁니다. 당연히 작은 학교는 손해볼 수 밖에 없습니다.
더군다나… 저 질문을 할 학자 리스트들을 만들기 위해서 설문조사 이전에 각 학교들에 리스트에 넣을 학자들 추천해달라고 하죠. 당연히 본인은 본인 학교에 대해 평가하지 못하지만, 저거 조사기간에 학교에서는 교수들에게 자 우리 학교에 대해 좋게 평가할 지인 학자들 인적사항 적어 보내라. 그리고 평가 잘 해달라고 해라 합니다. 당연히 작은 학교는 불리하겠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미국 괜찮은 학교에서도 이렇게 합니다..

대댓글 1개

2023.06.17

이 방법 맞아요. 작년 재작년 참여했었음.

2023.06.17

연구로는 yk 썩었네 ㅋㅋㅋㅋ 인용 뭐냐진짜 반성해라

2023.06.17

qs랭킹 등수도 헛소리고
citation도 좀만 보면 헛소린거 알 수 있는데
이걸 진리인양 퍼나르는것도 문제인듯.
G가 citation 점수 거의 만점이라는데 어떻게?ㅋㅋ
G랑 Y랑 탑저널 편수 비교도 안될정도로 양과 질에서 Y가 압승인데 G가 90점대고 Y가 20점대?ㅋㅋ 지나가던 개가 웃겠네

대댓글 14개

2023.06.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팩트를 가져와 탑저널 편수가 차이난다는

2023.06.17

네이처인덱스 보라고ㅋㅋ
바이오분야
G: 네이처컴 1.92점, 엠보저널: 0.14점 이게끝
Y: 네이처컴 10.8점, 네이처 0.17점, 네이처바이오텍 0.84점, pnas: 1.46점, 엠보저널: 0.09점, 사이언스어드밴시스: 0.56점 이외에 20여개 저널에 점수 분포하는데 귀찬아서 여기까지.
일단 바이오는 최소 5배이상 Y가 우위. (Y는 Nature 주저자도 올해 2편임.)

화학분야
G: 앙게반트 2.03점, 잭스 0점, 나노래터 0.22점, 네이처컴 1.79점, 네이처 나노텍 0.1점, 사이언스어드밴시스 0.22점 외 5저널에 점수 있음.
Y: 어드밴스매터리얼즈 4.36점, 앙게반트 2.65점, 잭스 4.13점, 나노래터 3.62점, 네이처 0.2점, 네이처컴 3.95점, 네이처 나노텍 1.16점, 사이언스어드밴시스 1.55점 외 7저널에 점수 있음.
아무리 최소한으로쳐줘도 Y가 3배 이상 우위

지학은 전체점수가
G: 2.15점
Y: 8.20점
대략 3~4배 차이 Y가 우위

물리는
G: acs nano 1.69점, afm 2.88점, am 1.9점, 나노래터스 0.22점, 네이처컴 1.13점, prl 0점, 사이언스어드밴시스 0.22점
Y: acs nano 7.92점, afm 12.17점, am 4.36점, 나노래터스 3.62점, 네이처 0.94점, 네이처컴 4.32점, 네이처 나노텍 1.16점, prl 0.28점, 사이언스어드밴시스 4.31점
대충봐도 Y가 4배 이상이네.

전체적으로 Y가 G보다 탑저널 4배 우위.
네이처인덱스에서 다루는 모든저널 총합은 Y가 G보다 3배정도 우위.
애초에 G는 Y랑 상대도 안되고 D도 Y에 상대안되긴 마찬가지임. U도 Y보다 밀림.

알지도 못하면서 아무소리 할시간에 찾아봐. 그리고 애초에 말도안되는 점수로 선동질하는거 이해 못하겠네ㅋㅋ 지나가는 개가 웃겠다니까ㅋㅋ G가 Y보다 citation점수 높은거에서 신뢰감 0이지

2023.06.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탑저널 논문 갯수가 아니라 Citations 의 횟수자체는 더 높을 수 있을것같은데. 그 인용횟수를 조작할 리는 없고

2023.06.17

편수로는 Y가 당연히 훨 크겠죠. 학교가 크니. 5배 넘게 크지 않나요? 더군다나 의대도 있는데

2023.06.17

너네는 머리가 장식이냐ㅋㅋ 네이처 사이언스 셀 등도 매년 Y가 G압승이고 자매지 등 탑저널 논문 수도 Y가 G압승인데 왜 G가 인용수가 압도적으로 높아ㅋㅋㅋ 너네야말로 증거를 가져와야지ㅋㅋ 뇌피셜 싸지르지말고

2023.06.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것보단 니가 가져온 데이터가 주작인것같은데. Qs가 gist한테 돈을받음? 왜 피인용지수를 지스트에 편향되게 할까? 그냥 피인용지수가 더 높으니까 결과가 그렇게 나오는거지. 연대생인가. 필사적으로 연대변호하네.

2023.06.17

양으로든 질로든 Y가 G를 압살인데 citation 점수는 왜 G가 Y를 압살하냐고ㅋㅋ 증거가져오래서 가져왔잖아.
너네는 왜 증거도없이 말도안되는 뇌피셜로 그저 니네 주장만 피냐ㅋㅋㅋ 증거 안가져올거면 댓글달지마라

2023.06.17

nature에서 만드는자료고 니네가 직접들어가서 확인해봐. 논문 정량평가에서 가장 정확한 통계인데 헛소리는ㅋㅋㅋㅋ 팩트제시하니까 주작같은소리하네ㅋㅋ 직접 확인해봐라.
애초에 DG가 실적 형편없는거 팩트인데 단지 과학중심대학이라 citation점수 높게 받는 요소가 있는거고 SKY가 종합대학이라 손해본거지 무슨이윤지는 정확히 몰라도. 팩트앞에서 무지성으로 변호그만하고 팩트만 가져와라

2023.06.17

니네논리가 얼마나 얼척이 없냐면 G가 citation점수 거의 만점이고 S가 70점인데 G가 S보다 인용이 잘된다는거냐?ㅋㅋㅋㅋ 말같지않은 헛소리좀 그만해라ㅋㅋ

2023.06.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러면 연대가 탑저널들에 싣은 논문들의 인용수가 적다고 봐야지. Gist에 비해. 더 활용도 높고 인용수 높지만 논문 개수가 적은거겠지. 이 사고가 안되나?

2023.06.17

그니까 니논리는 gist에 나온 논문이 nature등에 실린것도 없는데 본지포함해서 압도적으로 수준높은 저널에 많이 낸 서울대보다 인용이 잘 된다는거네?ㅋㅋ
서울대는 70점이고 지스트는 거의만점이니까ㅋㅋㅋ
그런 뇌로 연구를 어떻게하냐

2023.06.17

니가 탑티어 차이난다는 증거가져오래서 가져왔는데
너는 왜 증거도 없이 자꾸 뇌피셜만 씨부려
증거를 가져오라고 니가 인용수 기사든 뭐든
뇌피셜은 좀 치우고

2023.06.18

내가 직접찾아봤더니 지스트가 전세계4위네?ㅋㅋ citation점수말야ㅋㅋㅋ 논문 본지는커녕 상위 자매지도 없고 네이처컴 정도만 쬐끔 나오는 지스트가 전세계 대학들 중에서 인용 4등?ㅋㅋㅋㅋ 지나가던 개가 웃겠네ㅋㅋㅋ 저딴걸 신뢰성있다고 가져오고ㅋㅋ 서울대가 70점?ㅋㅋㅋㅋㅋ 종합대라서 점수 팍 깎인거지ㅋㅋㅋ

2023.06.19

이건 g학교가 교수숫자가 극도로 작다보니 몇명 교수 피인용수가 확올린거라고 보면되고
y가 인용수 떨어지는건 랭킹에 비해 피인용수가 많이 떨어지는거고, 다른 분야 점수로 랭킹을 올린거라 봐야지

2023.06.18

애초에 사람많고 종합대학이 더 점수 많이 받는 구조임. 왜곡이 아니라 보는 방향, 프레임이 다른거지

2023.06.1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한국의 mit 라고 설레발 치고 애들 꼬신 결과가... 레퓨테이션이 이 모양이냐.. ㅋㅋ 칼텍이 아무리 작아도.. 그 학교 레퓨테이션 얼마냐.. 차원이 다르지.. 작은 학교 타령 그만하고. 생긴지 40년도 다 되어간다.. 포스코 회장따라 오락가락.. 이랬다 저랬다.. 포스코 산하 기관에 사관학교처럼 굴리고 쪼으니 레퓨테이션 이 모양인거냐... 물론 좀 저렴해서 학부형들이 좋아하지만... 기숙사 쳐박아넣으니 속편코.. ㅋㅋ 저렴한게 억울한지..ㅋ 학생 갈굼 계속.. 교수들이야 갈궈도 밥벌이 직장이라 어쩔수 없다 쳐도 ㅋㅋ 제일 불쌍한게 학생들임. ㅋㅋ

대댓글 2개

2023.06.18

포스텍이 포스코 사관학교라고 말하는건 진짜 본인 무식 자랑하는 꼴 밖에 안되긴 하는데...

2023.06.19

한국의 mit는 옛날에 k가 얘기하는거지
규모*역사가 reputation과 관계가 있지
그리고qs에서 레퓨테이션 조사할때 이공계에서만 물어본것도 아닐테고 인문학 사회학쪽 사람들에게는 0에 가깝게 떨어질테고

2023.06.19

QS 문제 많아서 외국 유학갈 때도 S아니면 교수들이 QS 참고 안하고 너네 학교 너네 나라에서 몇위쯤 되니? 하고 직접 물어보더라구요.

2023.06.19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그냥 논문 실적으로 평가하는 네이처 인덱스에서도 p 거덜났다 확인해봐라

2024.04.26

해병대교육훈련만도 못한 대학 ㅉㅉ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