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단순히 남에게 지식을 설명 잘하려고 대학원을 가는거면 애초에 마인드가 잘못된 듯 하네요. 결국 지금 chat gpt에 질문하는 주체는 우리잖아요. 현재 존재하는 지식으론 설명할 수 없는 질문을 하고 그 답을 하려고 연구하는 건데요. 글쓴이는 chat gpt가 대답할 수 있는 질문을 하려고 연구합니까? 그런거면 스스로가 연구하기에는 호기심이 많이 부족한거에요.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12 - 타대 출신이 자대생 무시하네 ㅋㅋㅋ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28 - 그...염병하지 말고 본인 할 거나 잘 하세요 이제 석사 신입이 뭔 남을 평가합니까?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42 - 애초에 연구를 할 때 당장 써먹을 수 있냐 없냐가 심사 기준으로 등장하는데 뭔 연구를 하냐?
R&D에서 한국은 대부분 D를 하고 있다고 ㅋㅋㅋ
R을 하면 그거 어디다 당장 써먹냐며 과제 탈락시켜버리는데 연구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게 대부분이다 명문대라고 피해 갈 수 있는 문제가 아니야
논문을 쓸 때도, 연구 분야에서 리딩을 하는게 아니라 남이 해놓은 것에 숟가락 얻는 방식으로 비슷한 논문 찍어내는데 진짜 혁신이 있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
교수들의 문제가 아니라 그들이 처한 환경이 문제라고 본다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42 - 예비 대학원생을 위한 최소한의 각오 정리해줌
1. 평일 9to21 근무
2. 주말 출근 필수
3. 일주일에 최소 2번 이상 밤 새기
4. 논문 하나 보면, 안에 있는 피규어, 수식, 수치 다 달달 외우고, 참고문헌 전부 숙독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11 - 참고 버틴 다음에 너가 지도교수되면 똑같이 혹은 그 이상으로 갚아주면 됨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14 - 한심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6 - 이런 똥글 쓸 시간에 자기개발이나 하세요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10 - 전임교원이랑은 다릅니다. GD가 카이스트에 교수로 초빙된거랑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될듯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14 - 그리고 특임교수 돈 안받아요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8 - 쩝 이런걸 질문이라고 하시는 이유가 뭐죠?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19 - 다 본인 페이스가 있는거지 뭔 휴식없이 사람이 어떻게 굴러감. 굴러간다고 생각하면 그건 본인 착각임.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15 - 모든 사람은 능력이 다릅니다. 남들과 비교하면 본인만 불행해져요. 모두가 다 천재가 될 수 없어요. 자기 능력 인정하고 노력해서 성취할 수 있을만큼만 그만큼만 하면 됩니다.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4
대학원생 능력부족 ,쉽지 않은거 같아요
2023.05.20

대학원생 신입생입니다. 연구실 생활한지 4달이 넘어가는데 서칭 능력이 부족해서 노력 대비 효율이 너무 안좋은 것 같습니다. 빠르게 연구 주제를 잡아야 하는데 노력한 만큼 큰 발전이 없어서 저도 선배님들도 애를 먹고 있네요. (기대감에 계속 못미치니)
저는 나름 수석출신으로 좋은 대학원에 왔기에 능력이 나쁘진 않다 생각을 했습니다. 그런데 여기 와보니 연구 역량이 너무 부족한거 같고 학부나 자격증 공부만 잘하는 사람이었나 현타도 많이 오네요.
끝도 없이 내려가는 자존감과 우울감으로 인하여 저의 자아는 어느새 이성이 아닌 감정으로 지배된 모습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공과사를 구분하지 못하고 너무 감정이 좋지 않아서 피드백을 해주시는 선배님들 앞에서 태도가 불량했습니다. 당시 심신 미약 상태였던 저의 어리숙한 부분이 너무 후회됐습니다. 선배님들께선 너가 잘못한걸 인지 하고 앞으로 더 잘해야 한다 라고 따끔하게 말씀 해주셨지만, 감정에 지배되는 저의 모습을 이미 보셨기에 정말 제 자신이 싫어지네오. 좀 더 이성적인 사람이 되고 싶은데 이런 힘든 상황에선 정말 어려운거 같습니다.
대학원 공부와 생활이 정말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항상 1등을 해왔고 좋은것만 경험하고 쓴소리를 많이 들어보지 못해서 그런지 더더욱 대학원에서의 느끼는 큰 장벽이 저에겐 너무 힘들게 다가오네요.
졸업하고 행복할 날이 올까요? 매일매일 자퇴 생각을 하지만 ' 어떻게온 대학원인데...'라는 생각을 하며 버티고 있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떤가요. 두서가 없어 미안합니다.
학부 중경외시생들이 제일 불쌍한거같음 김GPT 74 53 36451
능력없는 교수밑에 능력없는 학생 김GPT 25 60 25246
대학원 이렇게 힘든가요? 김GPT 44 9 21391
아 대학원 어렵다~ 김GPT 12 12 7985
대학원 졸업기준 김GPT 0 5 1394
대학원생의 고뇌 김GPT 1 1 1946
저같은게 대학원 왔어도 됐던걸까요 김GPT 14 14 8733
대학원 진학을 앞두고 자존감 바닥 김GPT 7 5 3078
대학원생 행정업무 강도 김GPT 12 15 6051
학계를 떠나며 명예의전당 158 25 74545
박사과정 밟으면서 점점 드는 생각들 명예의전당 237 37 36429-
252 19 31952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석사 후 취업이 목적이라고 담당교수님께 밝히면 안좋게 보나요?
13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6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웃으라고 쓰는 뻘글) 교수님 속터지니까 한 소리만 할게요
8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23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0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 이정도면 phd 어디까지 노려볼수있나요?
4 - 교수 특
73 - 한국은 보잘것없는 대학을 진작에 청산했어야한다
86 - 일을 잘 한다는 것.
176 - 석사진학 약속하고 인턴 1년했는데 타대가면 안되나요..
30 - 연구실 지원 전에 제발 최소한의 각오를 하세요
68 - 진학 예정인 낮은 성적의 학부생....
33 - 한국 학계가 가짜 연구에 찌들어 있다는걸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가
70 - 지도교수 때문에 너무 힘듭니다
20 - 드디어 제 석사 논문이 accept 되었다네요!
48 - 유니스트 이지영 강사님 교수 초빙은
30 - FYI
12 - 박사과정생 계속 하는게 맞을까요
4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솔직히 AI가 님들보다 똑똑한데
22 - 디지스트 하계 인턴 결과
10 - 랩실 출퇴근시간
18 - 석사 학점 중요? 안중요? (코스웤 중요도)
18 - 해외학회 진짜 궁금해서 묻는거
16 - SPK 박사 졸업생 vs 미국 최상급 대학 학부생 (MIT 또는 하버드)
29 - 자대 대학원 면담 후기
16 - [조언 요청] 재현되지 않는 연구와 조작된 데이터,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24 - 지방대 박사 vs SPK 학부 3학년
27 - 카이스트 면접 끝나서 하는 말인데..
18 - 만약 대학원 주말 출근이 걱정된다면
23 - 부모님 설득은 어떻게 시키셨나요
9 - 박사급 능력의 석사생
10

미국 박사과정 평균합격률 12%, 극악의 난이도죠.
우리의 꿈을 이루는 방법은 "교육"👨🎓 뿐입니다.
2023.05.20
대댓글 1개
2023.05.20
2023.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