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생활할 수 있을 환경 > 논문 실적 >>>>>>>>>>>>>>>> 인건비 생활만 어느정도 된다는 가정에 아래 밸런스 게임 보면 이미 밸런스가 많이 무너졌음. 생활이라는건 가정환경도 있고 사람마다 조금씩 다름. 50받고 sci 2편 vs 180받고 국내논문
* 물론 180받고 sci도 쓸 수 있음. 요지는 연구실 생활하면서 가져야할 마인드에 대한 얘기임. "생활만 불편하지 않으면 무조건 연구과제 잘해서 논문 잘써야지" 이게 중요하단 얘기임.
2. 90퍼센트의 석사생은 하는 능력만큼 인건비 할당하면 50도 받기 힘듬. 대부분 박사나 포닥들이 케어해 줄거임. 정말 솔직한 얘기로 석사생은 과제 알바비로 받은 돈 포닥들한테 교육비로 뱉어야함. 석사생을 케어할 사람은 사실 교수인데 대부분 연구실은 그렇게 흘러가진 않음. 물론 물박사나 정신나간 포닥들도 많긴함. 근데 내 연구실이나 주변 연구실은 그런경우가 없었음.
많은 박사생들이 연구과제 몇 개씩 케어하는면서 수업대신들어가고 학부 석사생들 똥싸는거 처리하면서 기본 월급이 250임. 근데 그 똥싸는 학부, 석사생들 과제에서 인건비 할당돼서 100~180정도씩 인건비 지급됨.
물론 의지 있고 잘하는 애들은 180씩 가져가도 아깝지 않음. 근데 그런애들은 오염되버린 연구실 보고 나가더라ㅋㅋㅋㅋ 원래 이런 연구실이 아니긴 했는데ㅋㅋㅋㅋ
혹시나 박사의 뜻이 있는 사람은 내가 쓴 글 보고 다시한번 신중히 판단내릴것을 권고함.
3. 근래들어서 한심한 석사생들 너무 많아서 써본거임ㅋ 연구할 생각, 논문쓸 생각도 없고. 연구과제 파트 맡겨놓으면 책임감도 없음. 그러면서 연구실에서는 게임하고 연구비 다른곳에 비해 너무 낮다고 징징대는 꼴보니...ㅋㅋㅋㅋ 뭐 어짜피 망할애들이라 그냥 냅두는데 여기에 써보고 싶었음ㅎㅎ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3개
쑥스러운 장 폴 사르트르
IF : 1
2023.03.21
2번 공감 많이되네요. 어느 교수님 말이 자기는 대학원생 시절보다 정신없이 매일 야근하고 있는데 연구실 박사과정은 일은 안하고 칼퇴하면서 과제 식비 다썼다고 징징대고 있다고... 인건비도 100% 받아가면서....
학생 입장에서는 연구실 알아볼 때 인건비 및 장학금 최저치를 정해놓으세요. 저의 경우에는 용돈 받고 전세집이 있어서 등록금 + 식비가 최저치 였습니다. 면담자리에서 최저치 이상 못받으면 다른곳 알아보시면 되고. 최저치 이상이면 실적과 아웃풋보고 가시면 됩니다. 고년차 때는 월 50 덜받아도 좋으니 제발 논문쓸 시간을 줬으면 좋겠다고도 생각했었는데 경제조건은 필수인듯합니다.
적은 인건비에 이유는 없어도 많은 인건비에는 이유가 있더라고요 ㅎㅎ
대댓글 1개
2023.03.24
동의. 일부 주변 사람 의견은 '대학원은 돈 벌러 오는곳 아니다. 무슨 인건비 타령이냐' 돈을 적게 줘도 문제지만 돈 벌고 싶으면 회사를 가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원문처럼 실적을 내는 거도 아니고 또한 배우러온 인간들이 바라는게 과하다 싶을 정도로 많다 싶습니다.
2023.03.21
90퍼센트의 석사생은 하는 능력만큼 인건비 할당하면 50도 받기 힘듬.대부분 박사나 포닥들이 케어해 줄거임. 정말 솔직한 얘기로 석사생은 과제 알바비로 받은 돈 포닥들한테 교육비로 뱉어야함.
개공감. 하지만 현실은 학부생 연구생도 돈 적게 주면 화내는 글이 종종 올라옴. 편의점 알바처럼 몇 시간 하면 몇 시간만큼 랩에 도움이 되는 게 아닌데 그냥 내가 랩에서 시간 얼마 보냈으니 얼마 받아야 한다 생각하는 학생들이 점점 많아짐. 학부연구생+석사 첫학기 는 그냥 랩의 짐인데 생활은 해야하니 미래를 보고 돈을 좀 주는 개념임.
대댓글 1개
2023.03.23
"학부연구생+석사 첫학기 는 그냥 랩의 짐인데 생활은 해야하니 미래를 보고 돈을 좀 주는 개념임."
석사든 박사든 회사 처음 들어오면 듣게 될 이야기인데, 그러면 급여를 절반만 받으쉴?
다정한 마르셀 프루스트*
2023.03.21
이건 자칭 MZ들이 시간 = 돈으로 생각하기때문에 내가 연구실에 몇시간을 있었는데 돈을 이것밖에 안주지? 의 마인드 문제.
실제 연구실에 도움을 기준으로 하면 솔직히 10만원은 받을까..? 하지만 애들은 그런거 모른다구용
2023.03.22
우리는 물박사놈이 5년씩이나 학위과정하면서 탑티어 하나도 못내던데 하는 꼬라지봐선 앞으로도 못낼거같고 ㅋㅋ sci라고 할만한급도 두개?ㅋㅋㅋ 교수님이 과제도 다빼주고 근데 월 250은 또 받아감ㅋㅋㅋ 석사만의 문제가 아닌듯
대댓글 2개
2023.03.22
ㅇㅇ 건너건너 가끔 들은적 있음. 근데 박사는 그정도 폐급이면 교수가 웬만하면 걸러냄.
석사과정은 폐급같아도 키워볼까 싶어서 데려온다면 박사과정은 학생에 대한 이미 판단이 서있는 상태라 하고싶다해도 걸러내지.
석사는 긁지않은 복권 박사과정은 이미 긁어본 복권.
2023.03.22
물박사 이야기 이거 리얼 진짜ㅋㅋㅋㅋ 물박사 생각보다 차고넘침... . SCI 2편?? 쓰는건 둘째치고 실험이라도 한두번하면 다행... SCI논문 주저자 짬어택으로 가로채는 일도 경험함... . . 인건비 그렇게 몰아줘도 교수재량이라는 핑계로 최대치 다 챙겨주고 심지어는 페이백도 시키려다 실패하는걸 경험... . . . 교수가 걸러네면 괜찮지만 같은 (사이비) 종교를 믿는다는 이유, 친구 아들이라는 이유 등 여러가지 이유로 편파적인 판단을 하는 교수도 많음... 그 경우가 진짜 큰일나는것...
2023.03.22
50받고 생활이 불편하지 않기늠 힘들지 않나요? 등록금제외 기숙사 제공 50이면 모를까
대댓글 1개
2023.03.22
그 얘기였음. 등록금은 당연히 연구비로 낸다는 가정. 사실 그러면 이미 거의 풀펀딩이긴함.
근데 이게 국립대 사립대 등록금 다르고 형편마다 집에서 지원이 돼서 연구비 0원으로도 생활이 되는 사람이 있고 반대인경우도 있어서 획일화해서 얘기하기 힘듬.
2023.03.21
대댓글 1개
2023.03.24
2023.03.21
대댓글 1개
2023.03.23
2023.03.21
2023.03.22
대댓글 2개
2023.03.22
2023.03.22
2023.03.22
대댓글 1개
2023.03.22
2023.03.24
2024.04.17
2024.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