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업종에서 일하는 30대입니다. 어릴때부터 물리학쪽이 관심을 두고 있었는데 차마 물리학과로 진학할 생각은 못하고 주변 조언을 따라 공대 학사졸업하게 되었는데요, 먼 나중을 봤을 때 연구해보지 못한 아쉬움이 남을 것 같아 더 늦기 전에 진로를 바꿔볼까 하는데 현실적으로 가능한 경로일지 궁금합니다.
제 생각에 중요한 점은 연구 분야를 먼저 정하고 확실한 목적의식을 가진 상태에서 교수님께 컨택하는 것 같은데, 아직 뚜렷하게 정한 분야가 없어서 고민입니다.. 사실 진학하지 않았던 것도 같은 이유였는데요.
그럼에도 이 상황에서 관심 연구분야를 정하고 컨택한다면 현실적으로 진학이 가능할까요? 학부학점은 인서울 중위권 3.9/4.5였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7개
IF : 5
2023.02.17
학부생도 몇년씩 공들이는 인기랩 이런데는 어렵겠지만 랩 잘 찾으면 진학은 가능할겁니다. 필드에서 일하다 오는 학생들을 우호적으로 보는 교수도 많습니다. 다만 문제는 졸업 후에 본인이 어떤 경쟁력을 가진 사람이 되어 취업시장에 나갈 수 있을지입니다. 거기서 우위를 갖거나 자유로우려면 그 필드가 나이를 신경쓰지 않거나, 내가 슈퍼 잘하는 사람이거나 혹은 둘 다여야 할 수도 있습니다. 기대 총 소득은 이미 몇 년 재직중이신 것 감안하면 아주 많이 감소할겁니다. 경제적인 부분을 아예 내려놓을 수 없다면, 과연 내가 석사 또는 박사가 됐을 때 현재 직장 혹은 그 이상에서 지금과 최소 비슷한 연봉을 받을 수 있을까에 대해 잘 검토해보세요. 차라리 회사에서 시켜주는 석사나 휴직 후 석사받기(가능하다면)가 더 좋은 선택지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특히 대학원 레벨에서는 과 간 경계가 많이 허물어져서 물리과나 공대나 비슷비슷한 연구하는 방도 아주 많습니다. 세부적인 접근이 좀 다른 정도죠
대댓글 1개
2023.02.18
현실적인 답변 감사드립니다. 우호적으로 보시는 교수님들을 미리 알아보려면 랩 인원 출신을 보거나(경력에 직장 근무이력이 있다던지..) 아니면 컨택시의 분위기(?)등으로 알아보면 될까요? 말씀주신 경제적인 부분이 사실 현실으로 가장 중요한 것 같습니다.. 조언 주신 것을 바탕으로 보면.. 관심사&직무관련성과 방향이 비슷한 랩을 잘 찾아보고, 그 랩을 졸업하고 나서의 진로와 소득수준까지 생각해 결정하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3.02.17
석사 말씀하시는건가요 박사 말씀하시는건가요? 물리학 쪽으로 가시더라도 반도체와 그렇게 멀어지지 않는다면 기존 경력 유지하면서 재취업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삼성이나 하닉에서도 물리학과 출신들 꽤 뽑는걸로 알고 있어요 소자 개발쪽에서.. 완전 순수 물리를 말씀하시는거면 글쎄요.. 죄송하지만 저같으면 과학유튜브 보면서 취미생활로 만족할 것 같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2.18
말씀대로 순수물리쪽이라면 이르게는 고등학교부터 대학까지 몇년씩 물리학만 파고든 분들과 경쟁하기에는 아무래도 내공이 딸리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듭니다.. 직무 연관성이 있는 쪽을 좀 찾아보려 합니다 감사합니다
2023.02.1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물리학은 정말 흥미진진한 분야이지만.. 학계 진출이 아니라면 박사받고 룸펜각 나옵니다. 물리학과 교수하려면 포닥해외 2년이상 필수인데. 그정도면 인공위성 및 우주선궤적 계산 시뮬이 가능하거나 제트터빈 효율 제대로 나오게 굴곡 및 사이즈 정확히 할 줄 아는 수준이 되어야 해외 물리학 포닥 자리 있습니다.
대댓글 1개
2023.02.18
네 정말 물리학이 매력적인 분야지만..ㅎㅎ 현실적으로 앞으로 학위를 딴다 해도 최소 7~8년 정도는 기반을 닦아야 할것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말씀해주신 예시급으로 제가 깜냥이 될지도 모르겠구요 단순 흥미나 호기심 만으로는 좀 어려운 길인 것 같습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2023.02.17
대댓글 1개
2023.02.18
2023.02.17
대댓글 1개
2023.02.18
2023.02.17
대댓글 1개
2023.02.18
2023.0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