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과기원이나 포스텍, 켐텍 등으로 진학한 지방국립대나 지방사립 출신들 있으신가요?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2023.02.02

26

7576



당신들은

모교가 없어져도 마땅한 곳으로 여기나요?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 등 지거국 위상이
비정상적으로 낮은거에 대해 생각한번 해본적 있으신가요?

과기원 등이 기존 지방대의 희생도 있었기에 성장가능했다고 봅니다..(지거국 자연계 및 공대등과 예산 및 지원 중복)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6개

2023.02.02

역시 신고를 많이 받은 이유가...

대댓글 1개

2023.02.02

그러게요...

IF : 2

2023.02.02

과기원이나 포공에 인서울 출신 지금도 겁나 많이 가는데
그럼 그 사람들도 인서울에 있는 자기 모교 버린건가??

대댓글 1개

2023.02.02

그러게요...

IF : 1

2023.02.02

지거국의 위상이 비정상적으로 낮다고 생각 안합니다
오히려 본인이 너무 고평가하고 계시는게 아닌가요?
활기찬 마리 퀴리*

2023.02.02

이런글은 그냥 좀 삭제하면안됨?

2023.02.02

지거국 입학생들의 성적 분포를 확인해보신 적이 있나요?
엄청 넓습니다.
위상이 비정상적으로 낮은 게 아니라 딱 그 이름에 맞는 위상이고, 그래서 학생 개인이 하기 나름이 되는 겁니다.

대댓글 3개

2023.02.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 일본만 해도 지거국이 도쿄대랑 동급들이더군요
한국은 그렇지 않죠

2023.02.02

일본 지거국이 뭔 도쿄대랑 동급이에요 ㅋㅋ 말같지도 않은 소리 ㄴㄴ.

2023.02.12

도쿄잇코우랑 카네오카치히로가 동급이라니... 학부생 이하 고등학생은 막아야할듯

2023.02.02

당신은

본인 뇌가 없어져도 마땅한 걸로 여기나요?
지능이 비정상적으로 낮은거에 대해 생각한번 해본적 있으신가요?

지금까지 주변사람의 희생도 있었기에 성장가능했다고 봅니다..

2023.02.02

'경북대, 부산대, 전남대 등 지거국 위상'이 어떤지 글쓴 선생님께서 설명을 한번 해주시죠.

대댓글 3개

2023.02.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 인서울 하위와 비슷하게 떨어지고 있더군요
왠만한 국가들은 지방 국립대들이 다 상위권이던데요

2023.02.02

근거가 어떻게되나요? 뭐 QS 랭킹이라던가 그런 객관적인 근거가 있나요? 다른 국가 대학의 위상은 또 어떻게 측정하셨는지요.

2023.02.02

간단히 검색만 해봐도 객관적인 자료들은 위상이 떨어졌다던가 그런 내용은 잘 안보입니다.

'경북대학교가 영국 글로벌 대학 평가기관인 THE(Times Higher Education, 타임즈 고등교육)가 27일 발표한 세계대학 영향력 평가(THE University Impact Rankings 2022)에서 세계 13위, 국내 1위에 올랐다. '

2023.02.02

지능형 어그로일수도 있음

2023.02.02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지거국의 위상이 뭔지는 모르겠는데 내가 봤을땐 본인 및 본인 대학친구들 수준=학교 수준이 맞음. 본인이랑 동기들 수능 성적 대충 들어서 알고있을테니까 한번 까보세요. 34등급이 지거국 수준인데 그럼 그런 애들이 다니는 학교가 뭐 숭실대 중앙대 이런학교 수준이어야한다는건가?

대댓글 3개

2023.02.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ㄴ 한 국가의 국립대인데 서울대나 과기원 포스텍과도 근소하게 겹치지 않는데 안타깝습니다..

일본은 도쿄대 찍고 교토대 오사카대 등등이 오던데요

2023.02.02

슨생님. 포스텍도 사립대 아닌가요

2023.02.03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국립대니까 학교 수준이 어느정도 좋아야한다. 일본의 국립대는 그러하니까 우리도 그래야한다. <<이런게 당위성이 될 수 있는건가요? 뭘 안타까워요 ㅋㅋ 모든 현상에는 이유가 있는건데 수준높은 학생들이 그냥 다른 학교를 더 선호하는걸 어쩌겠어요.

2023.02.02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카이스트, 포항공대 정도까지는 설립 취지가 이해가 가지만
지역마다 과기원을 세우는 것은 정부에서 지방대는 갖다 버리기로 한 겁니다. 기존 지거국이나 국립대가 있는데 중복이 되는
셈이고요

그리고 대다수 인서울 사립대들이 왜 국립대보다
정부 지원금 예산을 받아가나요?
이게 공정한 룰인가요?

망할 빌어쳐먹을 대한민국…

대댓글 1개

2023.02.02

미국 대학들은 사립대 들이 상위권이던데, 혹시 북한이나 러시아 그런 나라 국립대랑 비교하시는건가요?

2023.02.02

누적신고는 과학이다

2023.02.03

그럼 본인이 바꾸시던가요. 저도 하위 지거국 재학 중이지만, 결국 학교에 대한 입지와 아웃풋이 선호도와 입결에 영향을 미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지방 국립대, 지방 사립대 교수신가요? 뛰어난 자교 학샹이 본인 랩에 안 들어오는 걸 문제라고 한다면... 평생 우물 안에서 사시는 것도 사회에게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2023.02.04

모교가 내 월급 책임져줌?
모교가 내 연구 책임져줌?
묘고가 내 인생 책임져줌?

2023.02.07

예전에 비해 많이 낮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없어지진 않을겁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