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저희 연구실에서는 정부 관련 과제(?)인지는 모르겠지만...정부가 관련있는 것 같았어요. 그럼...괘찮을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9개
똑똑한 존 폰 노이만*
2023.02.01
그런게 중요한게 아니고, 연구랑 관련이 깊고 논문 쓸 수 있는 과제면 좋은거고 아니면 시간낭비인 겁니다.
대댓글 3개
2023.02.01
그런데 연구재단과제는 거의 100 % 이런 과제고 기업 과제 중에는 그런 과제일 확률이 훨씬 적습니다. 기업과제 중에는 연구랑 관런있고 좋은 내용이어도 기술 유출이라 논문으로 발표 못 하게 하는 곳도 많습니다
외부에서 알긴 좀 어려워요.
똑똑한 존 폰 노이만*
2023.02.01
ㄴ '저희 연구실' 이라는거 보니까 글쓴이님은 외부인이 아닌거 같네요.
2023.02.01
아 정부과제라면 논문에 도움될 과제일 확률이 높죠. 과제 목표 지수에 논문 성과가 왠만하면 포함되거든요.
물론 국방부 과제와 같이 악명 높은 과제도 있으니, 100 %는 아닙니다.
약삭빠른 찰스 배비지*
2023.02.01
ㅎㅎ 논문 잘 나올 수 있는 과제를 연구재단 과제, 그렇지 못한 과제를 기업과제라고 대표적으로 표현한거지, 굳이 정확하게 무슨 과제인지 일일이 따질 필요는 없어요. 결국은 좋은 논문이 많이 나오는 랩인지 아닌지가 중요
IF : 1
2023.02.01
외부에서 알기는 정말 어렵습니다.. 그나마 랩원들이 주저자로 1인당 몇편정도 나오는지 보는게 참고할 지표입니다 그런류의 과제 부담이 클수록 페이퍼쓰기 어렵기는 할테니..
IF : 1
2023.02.01
NTIS 가입해서 교수님 이름으로 검색하면 정부 과제 목록이 나옵니다.
과제를 수행하는 목표가 논문 작성에 있다면 ‘연구재단’ 과제 이거나 그에 준하는 과제이고, 논문과 상관 없는 목표를 향해 가고 있다면 ‘연구재단’ 외의 과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2023.02.01
정부과제든 뭐든 어차피 실제로 일 시작해보지않는이상 어떤걸 추구하고 버든이 얼마나 잇는지 몰라요. 정부과제가 보통 rnd성이 강할 확률이 높고, nrf과제중 몇개(대표적으로는 중견과제)는 사실상 논문실적 몇개만있으면 되는 유리한 과제입니다. 근데 재활원 과제 add과제등 3책5공에 들어가면서 돈도 별로안주고 바라는건 많은 과제들도 있습니다. 대형과제 수주햇다고 좋아할게 아닌게 총괄맡으면 통합한다고 개고생할 확률도 높고요. 어차피 대학원생 입장으로만 말해도 시작해보지않는이상 잘 몰라요. 학위받고 본인이 몇개 과제 따보고 과제심사도 다녀봐야지 과제명 대충듣고 어느정도 규모에 어느정도 요구하는지 알수잇는 견식이 생기는건데, 책임연구원 정도는 돼야하지않나 싶네요. 저도 대충 큰 흐름만 알지 모르는게 아직은 많고요. 여기에서 대다수는 그냥 본인이 학생때 참여한 과제 3-4개 많아봐야 6개정도 갖고 일반화 시키면서 말할 확률이 높으니 적당히 걸러서 들으세요.
대댓글 1개
2023.02.01
예전 학위받을때 생각해도 정부과제 연10억짜리 따왓다고 좋아햇는데, 결국 교수님이 짬처리때문에 총괄맡으면서 연구실구성원이 연차보고서 쓸때즈음에 개고생한거 기억나네요. 다른 연구실들중 몇군데는 돈 2-3억 받고 대충 연구만 좀 한것처럼 포장하고는 해외학회 다녀오고 저널쓰고 꿀빨알겟죠.
2023.02.01
대댓글 3개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2023.02.01
대댓글 1개
2023.0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