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을 가거나 한국 탑 ai랩에 들어가려면 논문이 있거나 논문이 없어도 연구경험이 있어야한다고는 하는데 논문이 아닌 연구경험이 뭔가요? 논문 쓰다가 실패한 것도 경험인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3.01.06
인 턴
대댓글 3개
2023.01.07
인턴 1년하면서 논문만 주구장창 읽고 겨우 주제 잡고 실험했는데 실패한 경험만 있는데 연구경험이 있다고 할수 있나요? 인턴하면서 논문 읽는 것도 연구 경험이라고 할수 있나요?
2023.01.07
논문만 주구장창 읽고 겨우 주제잡고 실패한 이유를 탐구했고, 후의 연구에 적용할수 있다면 훌륭한 연구경험이죠? 위 답변에 귀결되지만, 읽은 논문을 통해서 자신의 언구가 실패한 아유를 탐구하지 않았고, 아무런 스토리텡링조차 되지않으면 뭐 없다고 봐야죠?
2023.01.07
결국 눈에 보이는 실적이 없으니 스토리텔링이 중요해지긴 하겠네요.
자상한 베르너 하이젠버그*
2023.01.07
실적 (출판논문)이 없어도 논문을 써봤거나 논문작성을 위한 일련의 준비과정들 (: 문제정의, 문헌조사, 데이터수집, 데이터정제, 가설수립, 데이터분석, 모델링, 가설검정, 실험설계, 평가 및 검증)을 수행해 본 경험이 있다면 연구경험이 있다고 볼 수 있죠.
대댓글 1개
2023.01.07
자세한 예시 감사합니다
낙천적인 에르빈 슈뢰딩거*
2023.01.07
실패한 경험도 경험이죠. 처음부터 성공만 하는 사람은 없습니다.
2023.01.07
유학의 경우 제일 중요한게 연구 아젠다인데, 이거는 논문이 있는 없든 연구를 해본 사람이랑 안 해본 사람이랑 차이가 클 수 밖에 없어요
대댓글 2개
2023.01.07
즉, 연구 주제 fit이 중요하다는 건가요?
2023.01.07
fit 말고 연구 주제와 방법에 관한 이해요
2023.01.07
ai랩 경우 연구 경험 = 1 저자 논문 입니다.. 특히 유학이면 탑티어학회 한 2개정도?
대댓글 7개
2023.01.07
미국 머신러닝 박사 유학생입니다. 아닙니다. 동기중에 논문 없이 들어온 사람 꽤 있어요. 근데 학부연구생 정도는 다 해본 친구들이긴 합니다.
2023.01.07
학부연구생이랑 인턴은 같은 개념인가요? 아님 다른 건가요?
2023.01.07
ml 이론쪽은 말씀해주신 부분이 맞겠지만 최근에 입시를 치룬 비전 전공자로써... 논문 인플레 체감을 심하게 해서 이렇게 달았습니다. 물론 fit과 추천서가 더 중요하겠지요.
2023.01.07
4년 학부생이 탑티어 학회 2개를 내는게 가능한가요? 학부를 6년 다니거나 해야 그정도 낼 거 같은데… 물론 중국, 인도, 미국에는 있는 것 같던데…
체한 빌헬름 뢴트겐*
2023.01.07
탑티어 2편이면;;; Top 10-20위권 대학입학 입학 기준인데 좀 많이 높게 잡으신거 아니신지? 그리고 학부 다이렉트로 오는 친구들이랑 연구 경험자한테 요구되는 기준도 사뭇다르긴 하구요.
교수 바이 교수라 정확히 말씀드리긴 어렵지만, 학부 다이렉트로 오는 친구들 스펙보면 보통 아래 케이스가 많더라구요. 1. 탑티어 저자 (1저자 1개 이상) + 좋은 학점 + 외국에서 이름 들어본 학교 2. 미국 명문대 + 좋은 학점 + 연구 경험 및 강한 추천서
연구 경험자 (석사 이상, 인더스트리 출신) 1. 탑급 논문 1 저자 + 연구 주제 개인적으로 느끼기엔 논문 숫자도 중요한데 (모 유명교수가 사석에서 자기는 외국에서 들오는 학생은 1저자 3편 이하는 인터뷰 안본다고 말함) 그거보단 연구 주제가 더 중요하나고 느낌.
Top 10이상은 모르겠음 ㅋㅋㅋ 학벌이던 논문이던 추천서던 거의 완벽하거나 아님 아주아주 특출나야하지 않을까요?
2023.01.07
Top 10-20이 그정돈가요? ㄷㄷㄷ 논문은 기본이긴 한가보네요
체한 빌헬름 뢴트겐*
2023.01.07
근데 이것도 제가 본 극히 일부분의 케이스만 얘기한거고, 교수님들마다 학생에 대한 선호도가 다릅니다. 따라서, 반드시 탑티어 1저자 페이퍼가 없더라도 연구 경험이 교수님이 새로 수주한 과제와 연구분야 너무 잘 맞거나, 인더스트리 경력이 남다르거나 (구글 등에서 수년간 관련분야 제품개발) 기타등등 자신을 어필할 무언가가 확실한 친구들도 몇명 보긴했습니다.
2023.01.06
대댓글 3개
2023.01.07
2023.01.07
2023.01.07
2023.01.07
대댓글 1개
2023.01.07
2023.01.07
2023.01.07
대댓글 2개
2023.01.07
2023.01.07
2023.01.07
대댓글 7개
2023.01.07
2023.01.07
2023.01.07
2023.01.07
2023.01.07
2023.01.07
2023.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