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기준
여러분이면 어떤 선택을 하실껀가요
탑티어 1저자 한편 쓰려고 아둥바둥은 하는데 결국 2티어라도 갈거긴한데
역시 쉽지 않군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1개
2022.10.04
2티어로 가면 붙을 수 있는거예요?
젊은 아담 스미스*
2022.10.04
학생은 2저자 아무 의미 없음
2022.10.04
저도 2저자로 들어가보니까 알겠더라구요.. 그냥 이름만 넣는 수준인거.
저라면 후자로 할거같아요.
다정한 앙투안 라부아지에*
2022.10.04
2저자는 있으나마나인거 아시죠??
전~혀 상관없는 사람(교수 이해관계자, 혹은 후배)이 갑자기 2~n저자로 들어오는 경우가 허다함.
그런 배경에 기반해서 평가가 박함. 2저자는.
2022.10.04
1저자 외 공동저자논문은 그냥 서류평가 점수용이지 정성평가 받을 수가 없는 실적입니다. 석사면 몰라도 그냥 1저자 실적외에는 큰 의미없다라고 보시는게 맞아요
대댓글 1개
2022.10.04
석사라도 1저자실적이 가장 중요하구요
바보같은 아담 스미스*
2022.10.04
2저자는 없는거나 다름 없습니다
체한 마리 퀴리*
2022.10.05
2저자와 1저자를 비교한다는게 교신저자도 아니고….
약삭빠른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10.05
내 주변에 탑티어 2저자로 인터뷰까지 성공한 사례 봐서 아무 의미 없다고 그 이후로는 생각 안하게됐음.
2저자에 대한 인식은 각자 환경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을것 같은데 내 주변의 경우에는 2저자도 열심히 일해야만 들어올 수 있는 자리기도 했어서 함부로 판단 안함. 교수님들 경우에 이해관계로 그냥 넣어주는거는 인정. 하도 많이 봐서.
대댓글 1개
2022.10.05
ㅋㅋㅋ 본인 주변환경에 따라 해석되는거지만 실제로 임용이나 채용될때 공저자는 거의 점수가산점이 의미없습니다. 이건 너무 공공연하게 알려진바입니다.
당연히 없는것보단 잇는지 좋지만 취업할때믄 무의미한건 사실이죠. 그외에 본인이 연구자의 길을 갈때는 공저자도 기여도가잇는거고 당연히 의미가 있을수있겠죠.
2022.10.04
2022.10.04
2022.10.04
2022.10.04
2022.10.04
대댓글 1개
2022.10.04
2022.10.04
2022.10.05
2022.10.05
대댓글 1개
2022.10.05
2022.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