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P 대 졸업하고 회사와서 느끼는 점 여러가지

성실한 장 폴 사르트르*

2022.09.06

16

2680

주변에 박사가 많은 대기업이라 개인적인 경험입니다.

S, K대랑 비교해서 P대 출신들은 전체 평균적인 느낌으로 학위를 1년 정도 더 길게했음.

S,K 대는 돈 적게 줄거라 생각했는데, 알고보니 내가 제일 적게 받은 편임.

S, K대 다들 연애는 학위하면서도 잘 하고 다녔음.

P대는 상대적으로 뭔가 밀리는 느낌임. 요즘 P대 분위기 안좋은 것 같다고 이야기 들음.

실제로 P대 경력 지원자 중에, 학부가 처음 듣는 대학 출신이 있어서 충격받았다고 들음. 지방이라 대학원생 유치가 쉽지 않은 것 같다고, 그건 나도 공감하긴 함.

S, K대는 취업을 교수빨로 하는 경우가 많음. 무슨 말이냐면 그 랩 출신은 회사에서 별도 우대해줌. P대는 그런거 못 봄.

쓰고보니 씁쓸하네용...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6개

2022.09.06

sk대를 돈을 왜 더 적게준다고 생각했어요? 무슨 말인지 이해를 잘못하겠네

대댓글 1개

성실한 장 폴 사르트르작성자*

2022.09.06

대학원 연구실 용돈 (인건비) 이야기에요.
연구실by연구실이겠지만
전반적인 정보를 얻은 느낌은 그렇다는 이야기

2022.09.06

저도 k대 출신으로 이해를 못하겠네.. 과고친구들중 sp간애들도 많고, 저희랩에도 p에서 온후배들도 좀있어서 느낀바로는.. 학부든 대학원이든 s,k에비해 p 인원자체가 소수일뿐이라서, 전반적 학계에 있는 출신비율 보면 spk의 인원수비율이랑 큰차이없다고 생각함.
k에 다니면서 대학원은 국장이였기에 당연히 등록금고려할때 sp보다는 많이받을거라고 생각했음.
학위하면서 연애하는 비율은 지역특성상 spk 큰차이없을거라고 생각함. pk는 외부소개팅 비율이 많지않다보니 cc가 아니면 만나려면 노력이 필요함. 종합대학에 서울에위치한 s는 다를수도잇겠다는 생각?
spk중 p가 밀리는지는 모르겠으나, 서울권에서 거주했던 사람들입장에서 p나 g처럼 지역적으로 너무 먼곳은 조금 고민이 될수도있다고 봄. 대전은 차타고 편도2시간이라서 정말 마지노선으로 주말에 오갈법한데, p나 g는 우선 ktx타야지 갈수있는거리니..
취업을 교수빨로하는곳은 spk뿐아니라 모든 학교출신이 그렇다고 생각함. 반대로 교수가 적을 만들고다니면 spk출신도 취업하는데 어려움겪을수도있음. 교수지인인 기관과 같이 협업하도 하고 해외포닥도 쉽게갈수있는건 너무당연하다고 봄.

대댓글 2개

2022.09.06

비율로 따지면 그런데 확실히 s가 쪽수도 많고 인맥쌓기 좋은 느낌?

IF : 5

2022.09.06

S출신의 의견: 서울대 사람들 자기 살기 바빠서 인맥같은거 잘 안쌓습니다.
일부러 돌아댕기지는 않는데 가는 데마다 건너건너 아는 사람이 우연히 많고, 다른 사람들이 야 쟤도 서울대래 둘이 알아? 이런 (별로 달갑지 않고 좀 귀찮은. 어떻게 알겠냐고요) 경우가 많아서 좀 연이 생김. 머릿수가 많으면서 다른 사람들 눈에 튀니까 그런 것 같기는 함.

2022.09.06

제가 P 학석박 졸업하고 느끼는 점: 생각보다 여러 회사에서 오프 더 레코드로 이건 SKP에게만 제공되는 옵션이다라는 소리를 생각보다 들은바 있고 실제로도 그랬음. 다만 YK나 여타 과기원, 서성한 친구들과 이야기해볼 때 그 친구들의 역량이 SKP 출신에 비해 떨어진다고 생각하진 않음. 집단 평균의 평균이 약간 차이날지 몰라도 개인별 편차가 훨신 큼.

대댓글 1개

2022.09.06

수정하다 보니 평균이 두 번 들어갔네. 하여튼 사회에서는 아직 SKP에 대한 혜택이 미미하게 남아있으나, 그게 학생들의 수준이 현격히 차이난다는 뜻은 아님. 다만 SKP, 더 나아가서 해외 명문대에서는 upper bound가 뚫려 있다는 느낌은 확실히 있었음. SKP의 학생들이 대부분 천재는 아니지만, 천재들은 대부분 SKP나 해외 탑스쿨에 있더라.

2022.09.06

근거는 내 경험, 내 생각이냐?

2022.09.06

아마 분야마다 다르겠지만, 저는 대전 k출신인데 학교 교수님들이 힘써주신 덕에 좋은 곳에 취직한 경우를 거의 못봤어요. 박사 받고 보통 회사쪽은 좀 덜 선호하는 편이고, 학교나 정출연 쪽을 더 좋아하는데, 거기는 교수입김으로 어떻게 되지 않잖아요.

가뜩이나 수도권 중심으로 돌아가는데, 지방에 있는 kp ist 다들 힘내고 더 잘되면 좋겠어요.
재밌는 안톤 체호프*

2022.09.07

연애빼고는 하나도 공감 안되는데요.. SK가 교수빨로 취업한다는건 난생 처음듣네요.

대댓글 1개

성실한 장 폴 사르트르작성자*

2022.09.07

그럴수는 있어요.
왜냐면 당사자는 아직 몰라요.
너 원래 서류컷이었는데 교수보고 올라온거야.
하고 말할 인생파탄자가 주변에 없거든요

2022.09.07

했다고 들음~, 하는거 같음~, 하는 편임~, 하는 느낌임~

2022.09.07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P가 연애할때 불리한건 맞음. 지역이나 교내 성비 답 없음. 어지간하면 S가는게 맞음.

2022.09.07

현직 P 학부생으로서 연애는 씹공감합니다. 근데 나머지는 좀,,

2022.09.08

글쓴이 학부가 SPK는 아니라는 느낌이 확~오네요.
연애 말고 전혀 공감이 안됨. 그리고 연애도 중요하지만 학교에 있는 동안은 연구에 매진하세요.
30전에 박사따고, 원하던 곳, 취업하여 연구(일)하며 연애해도 늦지 않음.

2022.09.09

연애 빼곤 전부 카더라군요. 주요 기업이나 정출연, 교수 진출 사례 옆에서 지켜보고 있는데 전혀 sk에 밀리지 않습니다. 당장 최근 졸업생 진로 서치해 보시고 글쓰시길..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