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전고체 배터리 연구 주제 관련 질문

2022.08.30

4

3120

안녕하세요 전고체 배터리 관련 주제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려고 하는 4학년 학부생입니다.

처음에는 졸업 설계를 단순히 관심이 많은 EV용 전고체 배터리 연구로 진행하려고 했습니다. 그래서 이와 관련해서 아래와 같은 연구 아이디어를 교내 이차전지/고분자 연구실에서 진행하려 했습니다.

1) 황화물계 전고체 배터리의 수분 취약성 개선 연구
2) 전고체 배터리의 dendrite 현상 개선 연구
3) 전고체 배터리의 고체 전해질 디자인 (폴리머, 황화물 계열)

하지만, 담당 연구실 교수님은 해당 주제들은 3개월이라는 시간 안에 끝내기에는 힘들다고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물론 오늘 리뷰 페이퍼를 보며 주제를 좀 더 구체화하고 더 찾아볼 것이지만... EV용 전고체 배터리 주제가 학부생, 실험실 규모에서 진행하기 어려운 연구인가요...? 맞다면 연구 주제를 어떤 방향으로 돌리는 게 맞는지 선배님들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덤덤한 그레이스 호퍼*

2022.08.30

유의미한 결과만 나온다면 저거 세개 각각으로 좋은 논문 쓸듯

2022.08.30

일반적인 관점으로는 3개월만에 끝내기에는 어려운 주제들로 보입니다

2022.08.31

해당 분야 연구하고 있는 박사과정생입니다.
일단 목표가 어디까지냐에 따라 다르겠지만, 유의미한 페이퍼를 내는데 3개월은 무슨 실험을 해도 너무 짧은 시간입니다.
연구 주제라고 나열한 것들도 구체적 연구 주제라기 보다는 연구의 테마 수준입니다.
예를들어 "전고체 배터리의 dendrite 현상 개선 연구"라 하면
고체전해질 시스템은 산화물계인지, 황화물계인지, 고분자계인지, 복합계인지 나눠지고
또다시 산화물계이면 산화물계 중 가넷 타입인지, 나시콘 타입인지, 리시콘 타입인지 나눠지고
또다시 가넷 타입이면 그 중 정확히 어떤 물질인지를 정해야하고,
또 어떤 물질인지를 정했다면 (예를들어 LLZO) 그냥 LLZO를 쓸 것인지 LLZAO를 쓸것인지 LLZTO를 쓸것인지를 정해야하고,
또다시 도핑타입을 정한 LLZO의 덴드라이트 성장을 어떻게 막을 것인지에 대해 다시 실험적 기법까지 정해야
이제 시행착오를 겪을 준비가 된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계속해서 LLZO 예시를 들자면, 이 LLZO 연구를 하기위해서는 보통 연구실에는 없는 스펙의 퍼니스가 필요합니다(1400도 이상). 또 보통 연구실에는 잘 없는 고온 열선이 악세서리로 달린 프레스가 필요합니다. 이 장비가 없으면 굉장히 고가로 LLZO 파우더나 펠렛을 사야합니다. 더욱 문제인것은 이것은 실험기법에 대해 논하는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LLZO 레퍼런스 생산 과정의 얘기라는 점입니다.

말하자면 끝도 없는데, 요지는 글쓴분이 연구의 주제를 명확히 선정하고 실험 스텝의 타당성을 평가 하는데만 3개월이 걸릴 수도 있다는 얘기입니다. 주도적으로 연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는 참 멋있으시지만, 연구에 투자하는 시간을 훨씬 늘리거나 교수님께 좀더 주도권을 넘기시는게 원하시는 결과를 도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대댓글 1개

해당 댓글을 보려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로그인하기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