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곰곰히 생각해보면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중에 딱히 인생에 도움이 되는 얘기가 없음.
재능론자들이 하는 얘기의 핵심은 언제나 "어차피 안될거 해서 뭐함?" 이었음.
재능론자들 허구한날 남이 하는 노력 무시하고 바보취급하면서 지혼자 세상 깨우친척은 다하는데, 결국 그런 마인드에 발목 붙잡히는걸 무수히 많이 봄.
정말 죽기 일보 직전까지 갈 정도로 피나는 노력을 했음에도 재능앞에 무너져 본 사람이 재능론을 설파한다면 안따깝고 귀감이 되는 조언으로써 귀담아 듣겠으나, 주변의 재능론자들 100%는 노력하지 않음에 대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그런 자신에게 면죄부를 주고자 재능론을 지지하는 사람들이었음.
재능이 있냐없냐는 내가 노력을 할지말지를 결정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아님. 설사 재능이 없어서 쏟은 노력대비 남들보다 효율이 안나와도, 조금씩이라도 발전하는 나 자신을 위해 노력을 쏟는거임. 노력하는 내가 있는 그곳에 발전하는 내가 존재한다는 그 사실 하나만으로도 노력의 당위가 성립하는거임.
노력이라는 행위를 부정하는 사람들은 타인은 물론 자기 자신조차도 사랑할 줄 모르는 것임.
재능과 노력중 어느 쪽이 중요한가?
32
- 기왕하시는거 생물학까지 삼중전공 하시는게 어떨까요?
이 시대의 진정한 자연철학자에 도전해 보시는것도 낭만이 있고 멋질것 같습니다!
그것이 대학의 의미가 많이 변질된 오늘날 대학진학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는 길인것 같기도 하네요. :)
물리학이랑 화학 복수전공 어떤가요?
23
- 당연히 교수가 쓴 글이 아니겠지만
이러한 사람은 교수를 하면 안됨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5
- 논문지도는 교수 능력입니다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21
- 본인은 이런말 하면 본인스스로 엄청 능동적으로 잘하고 있다 생각하시는거죠?? 아마 그런 지도교수한테 지도를 받고있겠고요. 본인이 그런 환경에서 크면 그렇게 느끼는 겁니다. 지도교수가 과제수주만 해줫는데 본인이 연구흐름과 논문작성 잘해서 빅페이퍼 뚝딱 쓸 인재면 본인이 훌륭한겁니다.
흔하게 자녀를 보면 부모를 볼수있다 하잖아요. 그만큼 지도교수한테 영향을 많이받는게 학생들입니다. 인자하고 연구윤리 철저하고, 시간내줘서 연구미팅 꾸준히 하는 교수밑에서 배운사람은 그렇게 하게됩니다. 저또한 운좋게 그런교수와 포닥PI를 만낫고, 현 제자들에게는 그렇게 해주려고 하고요.
뭐가 더 좋은지는 모르고, spk만 되도 학생들 스스로도 충분히 잘할수있다 생각하지만, 연구흐름 잡거나 논문 쓰는 흐름 잡는것은 교수도움 받는것이 좋습니다.
해외 유수대학들은 잘하는 포닥들이 준PI급으로 잇기에 포닥과 같이 연구해서 논문쓰는게 가능하지만, 국내에서는 선배라해도 박사과정 n년차인데, 그때는 본인도 경험부족으로 잘 모르는 상황에서 괜한 연구흐름 잡아주는게 맞을까 싶네요.
스스로 실패와 좌절 해가면서 배우는게 연구다라고 생각하시면 그런 삶을 사시는건 본인 자유입니다. 다만 그것만이 맞다 라고 우기는건.. 너무 근시안적인 사고방식 같네요 ㅎㅎ
지도교수가 논문쓰거나 논문봐주는 사람이 아닌데
18
제발 제 얘기좀 들어주세요
2022.08.14
21
7362

학석사연계에서 학부를 졸업하고 이제 석사 6개월에 접어드는 새내기 대학원생입니다.
원래 살면서 이런 커뮤니티에 한번도 글을 써본적이 없었으나 너무 마음이 복잡해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제가 학부 3학년이 끝났을 무렵 저희 교수님께서 막 임용이 되셨고, 아무것도 없는 랩의 랩장을 맡으면서 장비도 하나씩 맞추고 연구도 하며 나름 정말 열심히 살아왔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게 앞만 보면서 살다가 올해 6월 14일, 저희 누나가 우울증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했습니다. 이러면 안되는거 알지만... 너무 죄책감이 큽니다. 바쁘단 핑계로 누나 연락도 안받았던게 머리에 맴돌고, 저희 실험실의 모든게 조금은 원망스럽습니다.
장례가 끝나고 한달정도 집에서 쉬면서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제가 대학원에 계속 있는 것이 맞는지, 이 연구가 정말 내가 좋아서 하는지... 많은 고민들을 했지만 그게 아닌거 같더라구요. 저는 우연히 랩실에 들어왔고 하다보니까 칭찬을 듣고, 그 칭찬을 더 들으려고 랩실에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이 이쪽으로 연구를 하는 걸 좋아하셨구요.
큰 일이 생기고 제가 정신적으로, 육체적으로 너무 힘이 듭니다. 주위 사람들에겐 힘든 내색하고 싶지 않고, 아무렇지 않은 척 하기도 너무 힘이 들고요. 그러다 보니까 감정이 속에서 묵혀지는 것 같아요. 뭔가 응어리가 차있다 보니, 감정 기복이 심하네요. 아무렇지 않다가 갑자기 극도로 우울해지고, 화날 일도 아닌데 갑자기 짜증이 치솟고..
원래는 박사까지는 가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지금은 그런 의지가 거의 사라진 것 같습니다. 운명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도 들고요. 제가 이 연구을 하면서 행복할 수 있을거라는 확신도 없는 것 같습니다..
1년만 참으면 석사는 마칠 수 있는데. 견뎌내면서 석사를 해야할지 당장 그만두고 빨리 다른 일을 생각할지 너무 고민이 됩니다.
제가 술을 마시면서 혼자 핸드폰으로 끄적거린 거라 두서도 없고, 감정적이라고 생각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답은 없는 것 알지만, 제가 이 길을 나아가야할지 당장이라도 그만둬야할지 조언을 듣고 싶습니다 ..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김GPT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127
20
39501
-
95
6
22206
김GPT
대학원 문제 조언 좀1
11
1317
-
3
9
3563
김GPT
대학원 유학생활중 우울감...17
11
6331
김GPT
대학원 진학고민1
4
1301
-
3
15
1512
김GPT
우울증4
8
1337
-
1
2
3657
명예의전당
무엇인가를 관두고 싶어하는 분에게127
20
39501
명예의전당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188
17
31705
명예의전당
미국 박사 퀄 통과 했습니다ㅠ
131
33
19093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22.08.14
IF : 2
2022.08.14
2022.08.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