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아래 인공지능대학원에 대한 소견 AI (CV 분야) 전망

2022.07.30

31

11755

[CV에서 하는 일]
(1)주어진 이미지해석하기(이미지에서 정보(형태,위지등등)를 찾기),
(2)이미지만들기 (가상공간, 게임등등...)

인력부족: CV분야; 우리나라에서 CV분야 인력 전혀 부족하지 않음.
기업에서 CV전문가 찾는 곳: 희박함.

아래에서 대표적 HW기업, SW기업 채용공고를 보면 알겠지만 CV 채용공고 없음.
Computer Vision분야는 모든 AI교육 첫 번째 예제로 등장하는 고양이 찾기로 인해 일자리가 엄청나게 많을 거라는 환상이 학생들에게 주어진 분야임. 현실은 CV분야 일자리 거의 없음.
AI분야 일자리가 많다는 환상의 10배 정도 환상이 CV일자리에 끼여 있음. 잘못 알려져 있음.

<현재 기업 채용 예>
현재LG전자에서 채용중인 분야: https://apply.lg.com/main/Index.rpi
Naver에서 채용중인 분야: https://www.naver-recruit.com/
카카오에서 채용중인 분야: https://careers.kakao.com/jobs

위에 둘러 보면 알겠지만 수많은 컴퓨터/전자 분야 일자리 중 CV찾는 곳 없음.
고학력 연구직: 하이브레인넷 등등에 가보면 아주 가끔 있음.

CV분야 인력 배출: 현재, 학원단기AI.SW교육생, 학부생, 석사, 박사, 엄청 많은 CV 경험자들이 있음 (대부분 그림에서 찾기 경험자들), AI해봤다는 모든 사람들이 그림 찾기 예제를 맨 처음에 함.
일자리는 별로 없는데... AI열풍의... 눈에 보이는 쇼하기 좋은 쉬운 예제로 등장해서 너무 많은 사람들이
CV로 뭘 찾는 예제 돌려보고 AI한다고 그렇고 있음.

AI한답시고 진로를 설정한 대부분의 인력은 졸업하고 실제 취업 시장에 나가면, 회사는 전통적인 Front End, Back End ... DB... 등 소프트웨어 개발자를 원하고 있는 현실에 좌절함.

시장이 원하는 일자리는 전통적인 Front End, Back End ... DB...임 (; 컴공이 인기 없던 시절의 일(3D직종).
AI열풍 CV열풍과 상관 없이, 과거에도 그랬고, 현재도, 미래도, 모두, 그대로 전통적인 소프트웨어에 능숙한 사람을 구하고 있음. 일단은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에 능숙하고, AI,CV는 추가로 갖추어야 할 소양 정도. (좀 심하게 말하면 AI몰라도 됨)

CV(AI)한다고 시작하면 안되고, CS소프트웨어 개발자 한다고 생각해야 함. 그렇지 않으면 나중에 적응 못해서 후회함. 파이썬으로 그림 찾기 해서 논문 많이 쓴다고 살아 남을 수 있는 사람은 극 소수(대학 임용<-이거도 거의 끝) 임.

예전에 소프트웨어 업계에서 CS분야가 3D직업으로 기피 하던 시절이 죽- 계속 되어 왔는데...
AI로 인해 이쪽으로 사람들이 엄청나게 몰려오는데 ...
실제 현장에서는 예전의 전통적인 일들 + AI소양을 가진(없어도 무방) 사람을 원하고 있음.
앞부분(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능력) 이 훨씬 더 중요함. AI소양은 없어도 되고, 필요하면 나중에 잠깐 교육 받으면 금방 해결 됨.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개발 일들 (Front End, Back End ... DB...) 안 한 상태에서, 파이썬으로 그림 찾기 해서 논문 쓰다가 졸업한 학생을 원하는 회사는 없음.

1600년대 뉴튼/라이프니쯔 가 미적분학이 개발되고 나서, 모든 학문 분야에 미적분학이 도입되어 적용되었음.
미적분 만 잘하는 엔지니어 필요로 하는 곳 없음.

상대,공대,이과대 모든 분야에 미적분이 사용되는 것처럼, AI는 누구나 하게 될 것 임. 자기 주 전공분야 없이 전형적인 쉬운 AI예제인 CV를 해보았다고 해서 CV에 취업할 수 있는 일자리 없음.

좀 심한 비유를 하자면,
마치 고등학교 때 적분 처음 배울 때, 적분으로 방정식의 면적 구하는 예제 하고 나서, 자기는 미적분전문가 이며, 방정식 주어지면 면적 구하는 엔지니어 일자리 많을 거라 생각하는 것과 비유 됨.
적분->AI, 면적구하기->CV

CV(AI)일자리 거의 없다고 생각하시면 됨. 이 길로 들어서면 결국 다른 일 하거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예전에 전통적인 3D일 이라고 하던 (Front End, Back End ... DB...) 개발일을 하는데 대부분의 여생을 보내게 될것 임. (아주 가끔씩 AI페키지 돌릴려나...) <- 이게 산업계가 원하는 것임.

CV전공자 일자리 없다는 말이 정확한 말임.

외국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그렇고 CS인력 부족은, 파이썬으로 논문만 쓴 AI인력이 필요한게 아니라, 다양한 컴터 언어및 도구로 여러가지 소프트웨어 개발할 줄 아는 인력이 필요한 상황임.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1개

심심한 빌헬름 뢴트겐*

2022.07.30

난 이거에 전혀 동의를 못 하겠는게..

예를들어 구글포토나 애플사진앱을 써보면 자동으로 앨범에 있는 사진들 분석해서 동영상으로 만들어주거나 사람이나 동물이름 레이블링해주는 기능이 있잖아? 근데 우리나라는 이거 비슷한거라도 할 수 있는 앱 만들 수 있는 회사가 없음.

그럼 구글에선 누가 저런 앱을 만드는걸까? 기존 SWE들이 AI패키지 돌려서 만드는거라고 생각해? 정말로?
심심한 빌헬름 뢴트겐*

2022.07.30

또 이제 구글 닥스나 지메일을 썼을때 자동완성/문법오류검출 기능이 상당히 잘 되는데, 우리나라 이메일 서비스 중에 이거 되는 회사가 없음. 왜 그런걸까? 생각해봤어?
방탕한 어니스트 러더퍼드*

2022.07.30

공감함.
1. NLP, CV 등을 필요로하는 기업들은 많아질거임. 하지만, 대부분의 회사들은 성능을 극한으로 쥐어짜서 cutting-edge까지 올리는데 관심 없음. 막말로, performance 1% 올리기 위해 상당한 리소스를 쏟아야하지만, 그게 비지니스 모델에서 큰의미가 있을지? 대부분은 기본적인 패키지만 돌려도 operatable system을 구성하는데 문제가 없음. 전문적인 AI 엔지니어 잡은 점점 기존 시스템 개발 업무에 융화될것임.

2. 그렇다고 AI 개발자, 연구원의 미래가 없느냐? 그건 아님, 어쨋건 몇몇 산업 최정상에 있는 기업들은 최신 기술 연구가 필수적이고, 그런 회사에 코어 연구직으로 들어갈 수 있을 정도의 실력자들은 여전히 상당한 대우를 받을 가능성이 높음.

3. 마지막으로, AI 특히 NLP를 연구하는 주니어 과학자 동료들에게 드리고 싶은 말은, 꼭 졸업하기전에 raw corpora에서 자신만의 데이터셋을 구축해보는 것을 추천.
산만한 임마누엘 칸트*

2022.07.30

이글 쓴사람은 CV에서 하는일을 적은 것만 봐도 CV에 대해 잘 모르고 CV를 굉장히 편협하게 해석하는 듯.
무기력한 아담 스미스

IF : 1

2022.07.30

CV분야 Task에 대해 말하는 것만 봐도 잘 모르시는 것 같은데, 굉장히 자신감에 찬 어투로 글이 쓰여진 것에 놀람.

2022.07.30

CV로 IT회사 중견이상 연구직 3개 최합했습니다.. 제발 본인이 실력 안되면 남의 꿈 짓밟지 말고 조용히 계세요

2022.07.30

CV 레드오션이 맞긴한데... 저 정도로 암울해 보이지는 않던데...
얼마전 대기업들 학교에 리쿠르팅 왔을때 죄다 CV 인력 찾고 팀 규모 늘리니까 제발 와달라고 적극적으로 구애하고...
뉴립스나 cvpr, eccv 등등 학회에 기업들 죄다 따라와서 사람들 구하는거 보면 저정도는 아님

대댓글 1개

2023.09.24

레드오션도 아님. 제대로 할줄아는 사람이 없어서

2022.07.30

누가 고양이 사진 분류해봤다고 CV 해봤다고 해요 ㅋㅋㅋㅋㅋㅋ

대댓글 1개

2022.07.30

학원 단기 교육생에 학부생까지 넣어서 일자리 없다고 이악물고 말하는게 웃김

IF : 1

2022.07.30

정말 암것도 모르는 석사 초년생이 쓴 글이라는거에 내 전 자산을 건다...

2022.07.30

CVPR은 가보셨나ㅋㅋㅋㅋㅋ 미국 IT회사들이 다와서 리크루팅하는데

2022.07.30

개소리를 이렇게 당당하게 쓰네 ㅋㅋㅋㅋ
컴퓨터비전 AI 뽑는 회사가 희박하다고?
없어서 못 데려가는 수준임 지금
프론트엔드 백엔드 이런게 당연히 훨씬 많이 뽑지
근데 대한민국 대학교에 컴퓨터공학과 없는 곳 없고 한학년당 최소 100~200명인데 이런거 감안하면 프론트엔드 백엔드 이런쪽 경쟁률은 생각 안 함?
그에 비해 석사 이상의 컴퓨터비전AI 전공자는 컴공학부 졸업생 수에 비하면 5퍼센트는 될까ㅋㅋㅋ
절대적인 일자리의 개수만 따지면 걍 편의점 알바가 최고 일자리지 ㅋㅋㅋㅋㅋ

2022.07.30

내가 석사 1학기때 그니깐 학부 졸업생이랑 크게 다를바 없던 시절에 컴퓨터비전AI 직무로 산학장학생 채용됨 회사 이름 밝히긴 어렵고 시총 10조는 넘는 대기업임 회사임
글쓴놈 말대로라면 우리나라 5대그룹 대기업에서 컴퓨터비전 일자리가 거의 없는 수준인데 석사1학기가 채끝나기도 전인 개짬찌를 뭘 믿고 졸업할때까지 1년반동안 돈을 수천만원 주면서 선제채용을함?
난 학부도, 대학원도 설카포도 아니고 연구실적이 있는 것도 아닌데 왜 날 데려감? 돈까지 수천만원 주면서? 이쪽 분야는 기업에서 원하지도 않고 별로 필요로 하지도 않는다면서? 일자리 없다고 생각하는거 걍 본인 뇌피셜 아님? 내가 겪어본 세상엔 찬스가 존나게 많은데 ㅋㅋㅋㅋㅋ

IF : 2

2022.07.30

카이스트부터 한 건국대 정도까지 한번 CV 연구실들 Status of Alumni 무슨 일 하고 있는지 쭉 보세요. 얼마나 무지한 얘기인지 스스로 깨달으실 것 같습니다.

2022.07.30

ㅋㅋㅋ현직인데 웃고갑니다.
사람 없어서 허덕이고 있는데 무슨ㅋㅋㅋㅋㅋ
재밌는 피에르 페르마*

2022.07.30

AI가 훌리들 많아서 제대로 된 정보가 없긴 하죠.
저도 학위 받은지는 좀 됐지만 지금 이분야가 인력난이란 소리 들을 분야는 절대 아닙니다. 위로 갈수록 경쟁 정말 치열하고 사람도 많은 지라 어지간히 해서는 좋은 곳 절대 못갑니다

대댓글 5개

2022.07.30

그건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이거나 오히려 더 심할텐데
문과는 말할 것도 없고
인력난인 곳인 분야가 있기는 함? 기피 업종 제외하고는 인력난인곳 없거나 있어도 이런 커뮤니티에선 얘기조차도 안나올듯
재밌는 피에르 페르마*

2022.07.30

배터리나 반도체는 타 분야 사람이 봐도 박사급들 심하게 인력난인개 보이는데 ai가 그런 느낌은 전혀 아니라고 한겁니다
귀여운 존 케인즈*

2022.07.30

반도체 배터리랑 비교해버리면 당연히 경쟁 심한 분야죠..그건 저 분야들이 사기인거고 ai도 몇년간은 아직 ㄱㅊ을거라 생각합니다.

2023.09.24

ㅋㅋ 어느회사길래 사람이 그리 넘침? 구글? 다른데도 좀 보내주던가

2023.09.24

고전적인CV면 당연히 자리가 없지

2022.07.30

일자리는 차치하고 고양이 소리 하는거 보면 현직은 아니네

2022.07.30

글쓴이 친구들 데리고와서 자기글 까는 댓글에 전부 비추 3개씩 공평하게 박아놓은거 개웃기노 ㅋㅋㅋ

대댓글 2개

우아한 제임스 맥스웰*

2022.07.30

ㄹㅇ 웃음벨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우아한 제임스 맥스웰*

2022.07.30

진심 수준 개낮은 망상글이라 피식추는 눌렀음 ㅇㅇ..

2022.07.30

진짜 공감함
. 이분야 엄청 레드오션이예요

2022.07.30

ㅋㅋㅋㅋㅋㅋ 좁은 세상에 살아서 그럼. 미국에서 탑테크랑 연구도 해보고 학회도 좀 다녀보고 이 글 다시 읽고 반성해요. 한국에서만 있으면 큰 그림 절대 못봄

2022.07.31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cv 태스크가 묘사하는 수준이 딱 2종류(이미지 해석, 만들기 ?)라고 말하는 것 부터가 cv 전공아님 좀 배운사람이라면 slam하고 generation이라는 단어부터 썼을것.

무슨 반응을 볼려고 올린건진 모르겠지만 시간 안아깝소?

2024.03.28

CV에 대해서 모르는 비전문가 말이니 믿지 마시길..
꾸준히 찾는 곳이고 지금고 인력란에 허덕이는 곳입니다.

2024.08.18

2년이 지난 지금 어떻게 됐나요?
단정하듯 말하는 사람들은 항상 걸러들으시길.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