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과제 참여율이 100% 이긴 하지만 (월 250만원) 실질적으로 받는 금액은 적습니다.
월세, 보험료, 기타 보험료, 기타 공과금 내면 얼마 안남는 상황인데
원래 다들 그렇게 보험료 내시고 대학원 생활을 하시는건가요?
아니면 어떻게 덜 낼수있는 꿀팁이 존재하는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0개
2022.07.29
저는 박사과정때 250정도 받고 한 8~12만 정도? 낸거같습니다. (21년 이전) 신고된 자동차나 여러 부동산 등도 같이 본다면 더 오르겠죠?;
대댓글 3개
2022.07.29
자동차 부동산 관련 자산도 없는데 이러네요;;
2022.07.29
한번 이의신청 건강보험공단에 해보세요 저도 갑자기 올라서 한적있는데 잘 설명해주십니다
2022.08.01
재작년에 기술이전으로 돈 받은 게...화근이었네요....다행히 연락해보니 재작년 대비 작년 소득이 줄어들었다는 소득 증명하면 된다고해서 그래도 건보료가 줄었네요ㅎㅎ
IF : 5
2022.07.29
퇴직하신 후에도 3년간은 자격유지 가능할텐데요. 금액은 퇴직 전 금액인지 그것보다 좀 낮아지는지는 잘 기억이 안 나는데. 부모님 전 직장에 알아보시고 가능하면 신청하세요. 지역가입자는 비용이 너무 커요.
대댓글 2개
IF : 5
2022.07.29
건강보험 임의계속가입 으로 알아보시구요, 지역가입자 전환 후 2개월차 납부기한까지 임의계속가입 신청해야지만 전환된다고 합니다. 일단 부모님을 이렇게 돌려놓고 거기 피부양자로 들어가세요.
2022.07.29
감사합니다! 공무원 퇴직하셨는데 그쪽으로 알아봐야겠네요!
2022.07.30
저도 부모님 상황이랑 동일케이스여서 건강보험공단에 수차례 전화해보고 인터넷에도 알아보니까 문제 없다고 별다른 방법은 없다고 하네요 ㅠㅠ
대댓글 1개
2022.08.01
저도 알아보니 방법이 따로 없네요 ㅜㅜ
2023.07.26
글 쓰신지 오래되었는데 지금은 잘 해결되었는지 모르겠네요. 저도 같은 케이스라 여기저기 알아봤는데 방법이 없었습니다. 다만 부모님께서 18개월 내에 직장가입 일자가 365일이 넘는다며 임의계속을 신청할 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부모님이 임의계속 신청한 보험료가 제 보험료보다 적어서 그렇게 하기로 했어요. 그리고 말씀하신 부분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연구 과제 참여율이 100% 이긴 하지만 (월 250만원) 실질적으로 받는 금액은 적습니다.' 이 내용 같아요. 저는 내년부터 실질적으로 받는 금액으로 연구 과제 참여율을 책정하기로 했어요. 실제 받는 금액은 적은데 제 소득이 월 250만원 받는다고 되어 있어서 건보료가 많이 나온거라서요 ㅠ
2022.07.29
대댓글 3개
2022.07.29
2022.07.29
2022.08.01
2022.07.29
대댓글 2개
2022.07.29
2022.07.29
2022.07.30
대댓글 1개
2022.08.01
202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