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대학원 생활 관련질문드립니다

2022.07.23

4

1739

안녕하세요 현재 서울 중위권 전자과재학중인 3학년 학생입니다. 4학년 1학기때 교수님이 연구실로 들어올것을 고민해보라고 하셨고 대학원 진학을 고민중에있습니다

일단 목표는 석사.....까지만 해보고자하는데 고민인것이

보통 대학원에 진학을하게될시 과제 및 논문작성을 하게된다고 알고있습니다.

주변에서 듣기로는 인건비를 받고 개인과제를 진행하게 되며 과제를 진행하다 과제기간내에 해결못하면 교수님에게 실망만 안겨드리게 되고 결국에는 자괴감에.. 중도탈락...하게된다는데 사실인가요? 과제라는게 기업이나 정부 과제를 한다고 알고있는데 학부지식으로 해결가능할지 고민입니다

논문작성의 경우 토익점수 850을 맞추기는 했는데 주변에서 토익점수랑 논문이랑 아무상관없다고... 해서 사실상 이해못할 가능성이 크다는데 석사 초기에 논문작성이 안되면 결국 랩실에서 짤리는경우가 많을까요??

또한 졸업이 미뤄져서 3년 4년 다니는경우도 많다고 들었는데 석사졸업이 늦춰지는 경우도 많은지도 궁금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4개

IF : 5

2022.07.23

과제 책임자는 교수이고, 특히 석사생이면 조금 심하게 얘기해 교수의 똘똘한 아바타1 잘 해낼 수 있으면 성공적이라고 봅니다. 해결이 어려우면 교수나 선배나 연구실 밖 다른 연구자들하고 상의하면서 해결해나가기도 하고요. 석사 초기에는 논문을 읽지 작성은 거의 안합니다. 석사는 학술지 논문 안쓰고 졸업하는게 대부분인 세부분야도 꽤 많습니다. 학위논문은 쓰긴 써야죠. 영어는 잘해두면 많이 편하긴 해요.
그리고 석사를 3년 4년씩 시키는 공대교수랩엔 가는거 아닙니다.

대댓글 3개

2022.07.23

답변감사합니다! 혹시 교수님의 똘똘한 아바타1이 되기위해서 필요한 역량?? 같은게 무엇이있을까요?

IF : 5

2022.07.23

학부생들이 대학원생이 되려면 얼마나 알고 무슨 능력을 갖춰야하나 생각을 많이 하는데요, 의외로 스펙이나 지식보다는 소프트 스킬이 더 많이 필요합니다.
제가 본 흔한 석사 초기생들의 실수는
1. 자기가 무조건 맞다고 생각하기
2. 반대로 선배나 교수가 말한거 무비판적으로 수용하기
3. 자기 멋대로 논문 읽기(생각보다 많음)
지식이 뛰어난 것보다 사고가 유연하고 비판적 논리적 생각을 하는게 더 중요하고 이런 경우 적응도 더 빨리 하는 것 같습니다

2022.07.24

자기 멋대로 논문을 읽는다는게 구체적으로 어떤 행동을 말하는건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