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재료과 AM vs. Nat comm (Sci Adv) vs. PRL

옹졸한 칼 세이건*

2022.07.11

12

3350

재료과 기준 어디가 제일 낫다고 생각함?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직설적인 갈릴레오 갈릴레이*

2022.07.11

PRL>NC~SA>AM
깔끔한 막스 베버*

2022.07.11

Prl=nc>am

2022.07.11

prl이 간지가 있음
진지한 존 폰 노이만*

2022.07.11

학생이면 am prl nc

2022.07.11

RPL ~ Nat Comm(Sci Adv) > AM
조용한 아인슈타인*

2022.07.11

재료쪽에선 프로세스기간 에바라 넷컴 잘 안쓰긴 하는데
따지자면
AM NC=prl일듯
아직 학생이거나 신진이면 실적 생각하면am 가는게 맞고
정년 받으신 분들은 젝스 앙게켐 nc prl 같은 쪽으로 많이 빠지시긴 함
학생 입장에선 고생만 하는 느낌이긴 한데 저널 선택권은 보통 교수님 몫이니까요..

대댓글 4개

진지한 존 폰 노이만*

2022.07.11

학생입장에선 고생만 한다라..ㄹㅇ공감가네요
조용한 아인슈타인*

2022.07.11

네 사실 전부 저널들이 추구하는 바도 다 달라서
퍼포먼스 안나오면 ees am acs nano이런곳은 쓰기 어렵고
넷컴같은 경우 노밸티랑 새로운 해석이 안나오면 쓰기 어려운 곳이라
연구하다보면 어디쓰면 좋겠다고 감이 오긴 오죠
정량적으로 두 저널이 딱 비교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라고 봄니다.
깔끔한 막스 베버*

2022.07.11

Am이 저중에 난이도로는 제일 쉬울거 같은데 의견 갈리는게 신기하네요

2022.07.11

문제는 정통 재료 입장에서 보면 이게 맞는데, AM 임팩트팩터가 워낙 깡패이고
정통 재료 사람들한테만 평가받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다보니 의견이 갈리지요.
융합 학과 이런 데나 분야 좀 다른 사람들한테 평가 받는 경우에는 IF를 무시 못해서요.
승진 등도 IF 기준인 곳도 많고요.
학생이나 신진이면 AM 이라는 이야기가 그 의미임.

2022.07.11

NC >= Sci.adv > PRL > AM

2022.07.12

AM 떨어지고 네컴, 사이언스어드벤스 간 케이스 몇 번 봤는데, AM에 대한 평가는 유독 낮은것 같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