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CVPR 사건에서 같은 연구실 공저자의 다른 논문 자가표절 의심됩니다. 근거 있음.

2022.06.28

34

7862

왼쪽: Towards fast and accurate object detection in bio-inspired spiking neural networks through Bayesian optimization IEEE Access, 2020 - ieeexplore.ieee.org (서브미션은 2020년)

오른쪽: Spiking-yolo: spiking neural network for energy-efficient object detection Proceedings of the AAAI conference on …, 2020 - ojs.aaai.org (서브미션은 19년)

왼쪽 논문의
"Moreover, the spiking neurons integrate inputs into a membrane potential only when spikes are received, and generate (fire) spikes when the membrane potential reaches a certain threshold voltage"

오른쪽 논문의
"Moreover, the spiking neurons integrate inputs into a membrane potential when spikes are received and generate (fire) spikes when the membrane potential reaches a certain threshold"

이 사실상 같은 문장으로 비슷합니다.


이번 CPVR 논문과 저 왼쪽/오른쪽 저자가 많이 겹치며, 이번 CVPR 논문 1저자는 왼쪽 논문의 4저자이며, CVPR 논문의 나머지 저자가 각각 왼쪽/오른쪽 논문의 저자입니다.

제 전공분야가 아니라 자세히 읽어보진 못하고 인트로만 읽었습니다.
사실 자기표절이고, 기본적인 개념을 소개한 거라 심각한 연구윤리 위반이라 생각은 들지 않지만
이번 CVPR 표절 건에서 저자 측의 변명인 "1저자가 그랬고 이외 저자는 몰랐다"는 말에 대해서, 저 왼쪽 논문에서는 누가 라이팅을 했나? 궁금해지긴 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34개

2022.06.28

https://phdkim.net/board/free/31513/
위 링크에 남겨진 표절 의혹은 ResearchGate에서 인용논문 자동첨부 한 걸 긁어와서 잘못된 것 같습니다.

2022.06.28

저거 한문장은 표절로보기 힘들지않나요

대댓글 3개

못된 알베르 카뮈*

2022.06.28

저때 한문장이 이번에 한문단이 된거지,,
아마도 박사과정생이 박사과정생에게 논문을 쓰는것을 가르쳐주면 저런부분을 못 알려줬던듯

2022.06.28

표절로 보기 애매할 수 있는데, 기존 표절 의혹이 있는 상황에서 저걸 보면 다른 논문들도 의심스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엉뚱한 장 폴 사르트르*

2022.06.28

한문장이라도 어떤 소스에서 그냥 가져다 쓰면 표절입니다. 인터넷 검색해보세요

2022.06.28

Towards Fast and Accurate Object Detection in Bio-Inspired Spiking Neural Networks Through Bayesian Optimization
Spiking-YOLO: Spiking Neural Network for Energy-Efficient Object Detection

As described in Eq. 3, SNNs use spike trains consisting of a series of binary spikes to convey information between neurons instead of real values in DNNs.
In contrary to DNNs, SNNs use spike trains consisting of a series of spikes to convey information between neurons.

SNNs use spike trains consisting of a series of binary spikes to convey information between neurons
중간에 binary 들어가는 것 제외 동일

Please note that the overall process is performed on training dataset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distributions of the training and test datasets are similar.
This is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distributions of the training and test datasets are similar.
based on an assumption that the distributions of the training and test datasets are similar


The target mAP of Tiny YOLO is 53.01% (PASC

대댓글 1개

2022.06.28

The target mAP of Tiny YOLO is 53.01% (PASCAL VOC) and 26.24%(MS COCO).
The target mAP of Tiny YOLO is 53.01% (PASCAL VOC) and 26.24% (MS COCO).
서브미션 다른 데 완전히 똑같은 실험 결과?

Moreover, the spiking neurons integrate inputs into a membrane potential only when spikes are received, and generate (fire) spikes when the membrane potential reaches a certain threshold voltage.
SNNs, however, perform accumulate (AC) operations because spike events are binary operations whose input is integrated (or accumulated) into a membrane potential only when spikes are received.
into a membrane potential only when spikes are received
저 둘 간의 논문만 비교했습니다.
관심있는 분들은 타 논문들과 비교해보는게 나을듯 싶네요.

2022.06.28

도입, 배경 부분까지 한 문장 단위로 자기표절이라고 하는 건 좀 너무하지 않나요? 깨끗하게 새로 쓰면 물론 좋지만, 논문의 novelty를 결정하는 부분도 아니라 학술적 가치가 줄어드는 것도 아니고, 저자가 같으니 저작권 문제도 없고.. 위 문장들은 SNN쓰는 논문이면 어디든 필요한 문장인데요. 자기표절이 학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은 같은 연구 내용을 부풀리는 데 사용되기 때문인데 이부분이 과연 연구 실적을 부풀려서 학계에 악영향을 줬는지 의문입니다.

대댓글 3개

2022.06.28

저는 인트로만 읽어봤어요. 윗 댓글 다른 분이 남겨주싱 것처럼 의심스럽고, 더 찾아봐야 한다는게 논지입니다.

2022.06.28

논문 제출된 저널인 ieee 저널의 표절 기준으로 보면 저것도 충분히 표절이긴 합니다..

2022.06.28

솔직히 유사한 논문이거나 동일한 것을 사용하면 표현자체가 비슷해지는 것 까지는 이해합니다.

그러나
The target mAP of Tiny YOLO is 53.01% (PASCAL VOC) and 26.24%(MS COCO).
The target mAP of Tiny YOLO is 53.01% (PASCAL VOC) and 26.24% (MS COCO).

EVALUATION에 들어가는 항목에서 가져왔습니다.
중요한 부분이 아니긴 하지만 이전에 실험했었다 이유 하나로 그대로 가져왔다 라는 사실은 연구 윤리에 맞지 않다고 생각듭니다.
머신러닝 특성상 모델의 구성과 하이퍼파라미터 뿐만이 아니라 수행할 때 돌리는 랜덤 시드 값들을 모두 다 같게 해주어야만 동일한 결과가 나옵니다.
모델의 구성과 하이퍼파라미터를 동일하게 주더라도 0.01% 이상의 차이를 수행할 때마다 보입니다. 어느 특정 수치에는 가까워지지만 완전히 동일한 값을 갖기 힘듭니다.

2022.06.28

한 문장만 동일해도 표절 맞습니다. 근데 이건 저널과 학회이고 학회의 확정 버전이 저널에 실린거라면, 같은 문장 및 피규어 활용이 어느 정도 허용되긴합니다. 물론 같은 내용의 페이퍼 이야기 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6.28

내용이 꽤나 다르고 왼쪽 논문이 오른 쪽 논문의 extended version이란 명시가 없긴 합니다.

2022.06.28

안 했으면 좋았겠지만, 자기 표절이라고 비난할 내용이라곤 생각 안함.
눈치보는 버트런드 러셀*

2022.06.28

Method부분도 아니고 introduction에서 몇줄이 같은데 어떻게 자가표절이 아니라는거?
6단어이상 겹치면 분명하게 표절이고 그래서 비슷한 문장 쓸거면 중간단어라도 바꾸는게 당연한건데?
위에 표절 아니라는 사람들은 표절에 대한 기준을 전혀 모르네

2022.06.28

자기 표절은 거의 똑같은 논문을 다른 곳에 두개 냈다던가 하는 것 아니면 크게 문제 될 것 없다고 생각 (권장하진 않음) + 실험 결과 report 된거 사용하는게 뭐가 문제임? 논문 낼때마다 새로 다시 다 돌려서 report 한다는건 듣도 보도 못한듯

대댓글 5개

2022.06.28

물론 intro 문장을 복붙하는건 상상하기 힘듬. 한 문장 한 문장이 중요한 section인데. Background + Method 에서 갖다 쓰는건 왠만하면 괜찮다고 생각함. report 된 값 쓸때 물론 reference는 달려있어야 함

2022.06.28

오른쪽 페이퍼의 문장을 왼쪽에 붙여놓기 한 것을 얘기했습니다.
다만 제가 저 두 논문을 표절검사 해보진 못했어요.

2022.06.28

introduction에서 일어난 복붙…

2022.06.28

맙소사. 그러면 님은 벤치마크 성능평가할 때 다른데서 나온 값들 그대로 쓰나요?

2022.06.28

맙소사. 비전에서 기존 모델들을 논문 쓸때마다 새로 학습해서 다시 evaluation 하려면 GPU가 몇천개는 있어야겠네요.

2022.06.28

실험결과 report된거 그대로쓰는거는 전혀문제될것없음. Super resolution이나 특정분야는 오히려 표에 레포트된값 기준으로 비교안하면 칼같이리젝줌.
레포트된값 기준으로 비교하는게 훨씬공정하지않음?

대댓글 2개

엉뚱한 장 폴 사르트르*

2022.06.28

어떻게 그게 문제가 안되죠?

2022.06.28

전 잘 모르겠네요. 그게 진짜 공정한 것인지는요.
다만, 실험을 했다고 해놓고선 그냥 무지성 복붙은 잘못되었다 라고 봅니다.
논문에 리포트된 값이 아니라고 마이너 리비전이나 메이저 리비전 없이 리젝 되는건 말이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그게 문제가 되면 수정하라고 리뷰어가 지적하겠죠.

Towards Fast and Accurate Object Detection in Bio-Inspired Spiking Neural Networks Through Bayesian Optimization
논문의
IV. EVALUATION
4) EXPERIMENTAL SETUP
파트입니다.
Spike-based object detection model used in this work is based on Spiking-YOLO [22] which utilizes a real-time object detection model called Tiny YOLO.
이전 연구한 Spiking-YOLO 논문에서 사용한 Tiny YOLO를 바탕으로 실험했다.
라는 문구는 왜 있는건가요?
그냥 실험 결과에 인용 표기하고 넣는게 맞지 않나요?
실험했다고 거짓말 하는게 잘한 짓은 아니라고 봅니다.
제가 지적한 사항은 단순히 동일한 실험 결과가 아닙니다.
이는 엄연한 연구 윤리에 어긋나는 것이고, 그렇게 표현하고 싶었으면 실험했다 라는 부분 없애고, 이러한 논문에서 이러한 성능을 보여줬다 하고 인용을 달면 문제 없다고 생각합니다. 아니면 유사하게 인용해놓고 표에 넣거나요.
IEEE Access는 2020년 10월 31일날 Recevied 이고, AAAAI-20 컨퍼런스는 arxiv 기준 2019년 3월 제출입니다.

2022.06.28

위 이미지에 저자 이름은 가리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뭐 찾아보면야 다 나오는 정보이겠지만, 가리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대댓글 1개

2022.06.28

그게 낫겠네요. 감사합니다. 그림이랑 저자명은 다 지웠습니다.
직설적인 제인 오스틴*

2022.06.28

표절이고 잘못임. 뭐가 문제죠?라고 하는 사람들은 진짜 문제인지를 모르는건가

IF : 2

2022.06.30

전 대형실험 하는데요 3000명 저자입니다. 저희 메소드 똑같은 부분이 많아서 아예 앞부분은 저희 콜래보레이션에서 지정해놓은 문단 봅붙하라고 가이드라인입니다. 이런거 다 자기표절이라 하실건가요? 저희실험이 1100개 되는 페이퍼 썼는데 엄청나게 많은양이 복붙있습니다.

저희것 같은것도 있는데 이런거정도로 그러긴 좀.....

대댓글 6개

2022.06.30

1. 같이 협업하는 기관에서 오피셜로 나온 가이드라인인가요?
기관에서 오피셜로 나온게 아니라 실무진이나 같이 협업하는 사람들끼리에서 나온 가이드라인아닌가요?

2. 충분히 자기표절로 문제 제기할 수 있습니다.
물론 메소드 부분은 자기가 직접 구현한 것이 아닌 다른 논문에서 제안한 것을 인용하는 경우에는 어쩔 수 없이 단어가 겹치기 쉽습니다.
IEEE 에 제출하셨는진 모르겠지만 IEEE는 아래와 같이 표현하고 있습니다.
진짜 기관 오피셜이 맞나요?
IEEE defines plagiarism as the reuse of someone else's prior processes, results, or words without explicitly acknowledging the original author and source. It is important for all IEEE authors to recognize that plagiarism in any form, at any level, is unacceptable and is considered a serious breach of professional conduct, with potentially severe ethical and legal consequences.

메소드 부분의 특성상 유사하게 표현되는 경우가 많으나, 대게 논문 상황에 맞게 약간의 설명을 변화시켜 씁니다. 그대로 복붙...진짜 위험한겁니다.
그거 하나로 당장 큰일이 생기는건 아니지만, 나중에 중요한 순간에 그게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점 명심하세요.
그리고 메소드 부분은 그나마 쓰던거 제안한걸 따르다보니깐 비슷해질 수 있다 치지만 문제가 제기된 논문들은 인트로와 실험 부분 등 다양한 부분에서 복붙이 일어났습니다.
이런거 정도로 는 좀이 아닙니다.
https://hibrain.net/braincafe/cafes/38/posts/205/articles/449005?pagekey=449005&listType=TO

2022.06.30

https://hibrain.net/braincafe/cafes/38/posts/205/articles/449005?pagekey=449005&listType=TOTAL&pagesize=10&sortType=RDT&limit=25&displayType=QNA&siteid=1&page=2
대부분의 교수님들도 표절은 잘못되었다 라고 인정하고 있습니다.
그 기관은 얼마나 대단한 기관이며, 얼마나 대단한 연구자들이 연구하길래 복붙하는게 가이드라인으로 되있습니까?
최소한 단어는 바꿔야하지 않나요? 아니면 자기 논문의 상황에 맞게 예시를 들어 설명하면 되지 않나요?
수식은 어쩔수 없지만 그대로 복붙하는게 자랑할 거리 혹은 논문 많이 썼다고 넘어갈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2022.06.30

중간에 짤려서 안쓴 부분 마저 씁니다.
자기 표절이라는 것이 당장의 문제를 일으키지 않고, 큰일이 생기진 않습니다.
다만, 문제를 삼을 수 있으면 충분히 문제 삼을 수 있는 것입니다.
그게 댓글 작성자분의 미래에 발목잡히지 않게 조심하십시요.

IF : 2

2022.07.04

여기서 암거나 비교해보세요.
http://cms-results.web.cern.ch/cms-results/public-results/publications/CMS/index.html

힉스입자 찾고 노벨상 기여도 한 실험입니다.

예를들어 다음거 두개 보세요 복붙 있습니다. 그러고서도 PRL 부터 유럽 물리학지 등등 아무런 딴지 안겁니다.

https://arxiv.org/abs/2206.05192
https://arxiv.org/abs/2206.05192

IF : 2

2022.07.04

ㅋㅋㅋ 제가 복붙을 할줄 모르네요
두번째 링크는 이겁니다.
https://arxiv.org/abs/2206.08956

IF : 2

2022.07.05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2-04892-x
10년판 나왔습니다
복붙 여기도 있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