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컨셉인가? 니들이 뽑지 말든가. 정출연이 뭐라고 분야맞고 실적 좋음 뽑는거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9
- 그쪽 조직에 지방대 박사 들어왔다고 생각해봐 안짜증나는지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9
- 님이 실적 더 쌓아서 교수 이런 쪽으로 빠지셨어야죠. 님이 고만고만하니까 같은 조직에서 일하는 거죠.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0
- 너 같은 애도 뽑은거 보면….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53
- 근데 내가 포공 출신이라 좀 긁혀서 이거 좀 알아봄. 물론 요즘 포공이 좀 얘기도 많고 위기다 위기다 하는 거 인정하고
서울대 카이스트가 많이 잘하고 있는 것도 인정함. 우리도 좀 위기 극복하고 세계 대학순위도 높히는게 필요해보임.
근데 내가 이거 기자랑 통화해서 1인당 논문 개재 건수 레퍼 알려달라 했는데, 이거 논조가 진짜 악질임.
대학알리미에서 공시자료 찾아보면 수치 확인할 수 있는데, 저 기자가 쓴 1인당 논문 개재건수는 "국내논문" 기준임. 이게 진짜 개 악질임.
어느 탑스쿨에서 국내논문 개제로 순위 매김? 이거 수치는 거의 랜덤 샘플링 해도 비슷할텐데. 그냥 기자가 아무거나 포스텍이 꼴찌하는거 가져온거라고 밖에는...
그래서 1인당 국제 논문 개재 / 1인당 sci급 논문 개재를 확인해봄. 해당 지표를 보면
포스텍: 1.09, 1.08
카이스트:1.08, 1.07
서울대: 1.02 / 0.95
이 순서임. 결과적으로 포스텍은 1인당으로는 아직 잘하고 있음. 앞으로 어떻게 되느냐가 문제지만, 그건 학교에 남은 분들이 어떻게 하느냐에 달린거고. 어쨌든 기자는 지금 자기 입맛에 맞게 수치를 가지고 장난치고 있음.
내가 이걸로 기자님한테 수정이 필요하다고 전화 넣었는데, 그래서 수정된게 아래임ㅋㅋㅋㅋㅋㅋ 아무튼 각자의 생각을 존중함.
"이처럼 우수한 학생들이 포스텍을 외면하면서 연구 품질도 떨어지고 있다. 포스텍의 지난해 국제 기준 논문 실적은 310.45편으로 KAIST(723.55편)의 절반도 되지 않는다. 국내 기준 교원 1인당 논문 실적을 봐도 0.0689편으로 KAIST의 0.0886편에 비하면 한참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포스텍보다 뒤에 문을 연 광주과학기술원(GIST)과 울산과학기술원(UN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도 각각 0.1077편과 0.0872편, 0.0977편임을 고려하면 국내 과학기술특성화대 중 최하위라는 의미다."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0
연구원으로 취직 시 학부가 중요한가요?
2018.11.22
22
19524

안녕하세요.
본래 이 커뮤니티가 대학원 진학에 도움이 되기위해 만들어 졌다는 점을 알지만 이런 질문을 할 만한 곳이 많지 않아 염치불구하고 질문 드립니다. 문제시 자삭하겠습니다..
어릴 적부터 제 꿈이 연구쪽에 있어서 대학 졸업 후 대학원에서 박사까지 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는데요, 연구사회에서 실력이 중요하고, 그 실력을 기르는 대학교가 상당한 영향을 준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대학을 좋은 곳(과기원)가고 싶어서 재수를 했는데 이번 수능에서도 별로 좋은 점수는 안 나와서 정말 운 좋으면 서강대까지, 안되면 경희,시립 정도 가게 될 것 같은데요
이곳에서 공부를 열심히 해서 학점 잘 받고, 영어 점수 잘 따서 국내외의 다른 좋은 대학원에 입학하게 되어도 학부가 그리 좋지 않아서 추후 연구사회에서 그리 좋은 취급을 받지 못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고, 그 때문에 삼수를 해야하나 이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원으로서의 삶을 사는 데 학부가 중요한가요? 삼수를 해서라도 명문대(서연고,과기원)을 가는 게 나을까요?
삼수를 하는데에 나이도 상대적으로 많고 돈도 들어서....고민이 되어서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
16
30
8157
-
37
5
6772
김GPT
대학원도 학벌이 중요한가요?0
14
10252
김GPT
학부가 많이 중요할까요?1
15
3279
-
0
16
7770
-
0
7
6513
김GPT
취직 관점에서 공대 대학원 진학 고민2
8
11630
김GPT
석사 학벌의 중요성에 대한 고민0
20
5273
김GPT
대학원 학벌이 그렇게 중요한가요?1
14
7680
-
84
36
14414
-
140
22
26918
명예의전당
연구실 뚝딱이가 되지 않기 위한 방법218
17
36421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4 김박사넷 유학준비 스타터팩 신청하기 (new!)
770
- 인공지능 전문가라고 활동하는 분중에 성추행문제 있는 분이 있네요.
20
- 이번에 우리회사(정출연)에 지거국 학석박 들어왔다ㅠㅠ 쪽팔려
31
- 서울대나 카이스트 AI 대학원 갈 수 있을까요?
20
- 기사: ‘서카포’는 옛말, ‘연고포’도 힘들다...어느 포스텍 대학원생의 고민
33

앗! 저의 실수!
게시글 내용과 다른 태그가 매칭되어 있나요?
알려주시면 반영해드릴게요!
2018.11.22
2018.11.22
2018.1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