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우리나라 대학 수준 높은편인가요?

2022.06.09

25

4942

방금나온 qs 순위보니까 서카포 연고성한은 거의 세계 100위 안쪽이고 경희대,중대같은 중상위학교들도 2,300위 안팎으로 들어오는거 같은데 세계대학순위가 나름 의미가있는 지표라면 미국 상위권 대학원이 아닌이상 그냥 한국 spk ykssh진학하는게 더 나을 수도 있는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25개

달리는 데이비드 흄*

2022.06.09

평범하면 국내진학하는거고 잘하면 해박 가는거고

대댓글 2개

2022.06.09

근데 또 서울대만봐도 거의 세계 20위던데 순위만봤을땐 이 정도면 미국대학들과 비교해서 밀리지 않는게 아닌가 싶기도 해서요.
깐깐한 존 필즈*

2022.06.10

미국 대학이랑 비교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IF : 2

2022.06.09

해외 취업이나 이민이 목표면 유학이 낫고, 국내 취업이 목표면 미국 탑스쿨 아닌이상 국내 상위권 대학이 유리한점이 많아요.

2022.06.09

사람마다 어떻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저는 한국 연구진도 충분히 잘한다고 생각하고 박사학위받은 출신 연구실에 대한 자부심도 큽니다. spk내 인기랩에 해당되고 저포함 많은 선배들도 대가랩 해외포닥출신으로 커낵션도 유지하면서 특정분야에서 다들 전세계적으로 나름 인정받는 포지션에 있기도 하고요.
물론 국내 전반적인 실력과 미국 유수대학들의 전반적인 실력은 차이가 있을수밖에 없고, 우물안 개구리가 될수도 있지만, 제가 본 잘하는연구실 출신들은 다들 본인실력과 본인 연구실에 대한 자부심이 큰편입니다. 뭐 평범하면 국내진학한다고 하지만, 저희연구실 포함해서 자대생 수차석들도 꽤 진학하는 편이기도 합니다. 윗분 말대로 국내 취업이 목표면 spk좋은랩출신 - 해외포닥이 잡구할때 유리한게 많기도 합니다.
실력없이 자신감만 큰것도 문제지만, 여기서 해외박사만 무조건 빠는것들 보면 본인실력에 자신감없는 사람들도 참 많다는 생각도 드네요. ㅎㅎ 본인 주변환경에 따라서 너무 다르게 생각할 문제라고 봅니다. 제 주변에 한해서는 국박-해외포닥으로도 국내좋은대학들 임용도 잘돼요. 물론 단순한 학위가 spk학석박이라고 잘난게아니라 정말 본인실력이 따라준 상황이지만요.

대댓글 1개

2022.06.09

저희 지도교수도 해당분야내에서는 충분히 인정받고, 메이저학회에서 종종 plenary talk도 많이 합니다. 지도교수님이 학위받을때 항상 하시던말씀이 "~대학(연구실)에서 박사받는거면 전세계 어느대학출신들이랑 비교해도 모자람이 없어야된다" 라는 것이였습니다. 국뽕이라고 생각될지도 모르지만, 저희 랩 출신들은 최소한 그런생각 갖고 국내에서 잘하는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특정분야에서는 인정받는 실력을 갖는걸 목표로 졸업하고, 실제로 포닥가서 초창기 선배들이 워낙 좋은퍼포먼스 보여줘서 후배들이 해당랩 포닥으로 쉽게 많이들 가는편이기도 해요.
성급한 루이 파스퇴르*

2022.06.09

QS순위를 보고 국내 대학 수준을 가늠하는 우를 범하진 마셨으면 합니다. 유독 QS에서만 국내 대학 순위가 뻥튀기됩니다. 그래서 국내 언론에도 QS순위만 광고되죠. 여러 다른 대학 순위들도 참고해보시고 QS가 어떤 식으로 순위를 매기는지도 체크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2.06.10

참고하겠습니다!

2022.06.10

물론 서울대가 국내에서 좋은 대학은 맞지만 아무리 그래도 서울대의 학문적 명성이 노벨상 수십명 있는 칼텍보다 높다고 하는 평가를 믿는 사람은 qs 평가를 의미있게 평가하겠지요.
노밸상 한 명 없는 대학이 노벨상 45명 있는 칼텍을 그리고 화성에 로봇을 보내는 대학보다 학문적 명성이 높다는 평가를 믿는 사람이 있으면 손 들어 보세요.

대댓글 1개

2022.06.10

정말 맞는 말씀이지만 오늘 나온 순위기준 예시로 드신 칼텍은 세계 6위라 29위인 서울대보단 다소 높은 순위인 듯 합니다!

2022.06.10

서울대의 학문적 명성에 대한 평가를 칼텍과 비교하여 얼마로 해야할지 모르지만 만약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는 현실적인 학문적 평가를 한다면 서울대의 순위가 어떻게 될까요? 제가 알기로는 학문적 명성 등의 주관적 평가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알고있어요. 간단한 계산으로도 알 수 있죠.

2022.06.10

방금 구글로 검색하니 학문적 명성에 대한 평가가 전체 점수의 자그마치 40%를 차지한답니다.
깐깐한 하인리히 헤르츠*

2022.06.10

서울대빼고 국내 대학은 아직 멀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댓글 1개

2022.06.10

서카포
깐깐한 존 필즈*

2022.06.10

병신들만 한국 대학원 갑니다
씩씩한 스티븐 호킹*

2022.06.10

2022 QS 대학명(순위)
서(29)
카(42)
포(71) 연(73) 고(74)
성(99)
----- 세계 100위권 -----

2022.06.10

학교의 순위도 중요한데 본인의 순위도 중요하죠. 내가 어느 정도 될까 생각해 보세요.
잘 생각해 보세요. 난 최소한 우리 구(00구)에서 1등일까? 아니면 최소한 우리 동(00동)에서라도 1등일까? ㅋ 동에서 1등 하기도 어려울걸요!!!
학교 이름보다 본인의 이름을 알려보세요~!!! 아~이 연구 진행하신분인가요? 이분이 00 연구한 사람입니다. 등등 이런 소개 받으면 좋겠죠. 참고로 기분이 좋습니다.
미래의 유명한 석/박사님들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2022.06.10

한국 대학교 연구하기 충분히 좋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어중간한 대학 랩 가느니 한국 잘나가는 랩 가는게 더 나음
깐깐한 존 필즈*

2022.06.11

여기서 자기위로하는 글들 보고 국내 대학원 가면 인생 망합니다

대댓글 1개

2022.06.12

인정
같은 순위의 미국과 한국 대학이 있다면 미국 가겠음..
큰 물에서 놀고싶음

2022.06.12

한 번 더 말씀드리지만 학문적 명성을 평가하는 방법 MBC나 어디에서 심도 깊게 한 번 조사할 필요 있다고 봅니다. 저로서는 도저히 이해하기 힘듭니다. 누가 칼텍보다 서울대를 학문적 명성이 높다고 평가했는지 그리고 어떤 과정으로 심사위원을 위촉했는지 심도 깊게 조사할 필요 있디고 봅니다.

2022.06.12

qs 평가가 그러지는 않겠지만 만약 그 학교 졸업생들이 대거 심사위원으로 참여하여 자신이 졸업한 학교의 명성을 다른 학교보다 높게 주는 방식으로 혹시 평가했다면 이는 정말 문제입니다. 저는 졸업생이 평가에 참여하는 경우 자신이 졸업한 학교는 제외하고 나머지 학교에 대하여 평가를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적어도 qs 평가는 그런 가이드라인은 지켰으리라 생각합니다.

2022.06.12

특히 미국을 가보면 국내에서야 어떤 대학이 좋내 나쁘네 하지 미국사람들은 교수던 누구던 한국의 어떤 대학에 대하여 무슨 관심이 있을까 합니다. 미국에서도 좋은 대학이 즐비한데 한국의 무슨 대학이 좋네 나쁘네 하는 것은 순전히 우리끼리 예기지 말입니다. 솔직히 예기하여 인도의 대학이 좋다 나쁘다 우리 예기합니까? 대충 어떤 대학이 좀 좋다다라. 그 정도입니다. 그런데 너무나 황당한 것은 전 세계대학평가를 하는데 국내 한 대학이 칼텍보다 학문적 명성이 좋다는 겁니다.

2022.06.12

서울대가 국내에서 좋은 대학임에는 부정의 여지가 없습니다. 그 부분은 인정합니다.

2022.12.13

국내 대학원은 skp/-ist, yk/ssh 까지만 가고, ssh부터는 인기랩이 아니면 그닥인 것 같습니다.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핫한 인기글은?

자유 게시판(아무개랩)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