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심이다.
워라밸은 일과 생활의 밸런스를 말하는거지 노는걸 말하는게 아니다. 이 점은 꼭 명심하자.
박사 진학하게 되면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장점은 진급 안해도 되고, 맨날 하던거 회사에서 비슷하거나 조금더 고급지게 하기 때문에 회사생활 하는데 크게 지장 없다. 물론 분야를 바꿔가면 조금 머리는 아프겠지만 그렇다고 박사가 아닌게 되는건 아니다. 무엇보다 가장 정말 가장 좋은건 진급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다. 물론 회사마다 다르겠지만 이 글을 보는 학사나 석사생들은 목표를 대기업으로하고 있을 테니 별차이 없을거다.
요즘 회사들 직급 체계가 단순화되면서 옛날로 따지면 과장위아래로 나뉜다 (물론 회사마다 조금식 다름)
그런데 박사를 받고 오면 대부분 과장 위거나 바로 과장을 준다 (말했지만 요즘은 과장이라곤 안한다... 회사마다 명칭이 다름..)
그런데 석사나 학사면 언젠간 반드시 진급을 해야 하는데, 이게 정말 여간 빡센게 아니다. 군대를 다녀온 성인 남자가 박사(4년졸업기준) 받고 들어오면 적당하게는 32살 정도된다. 그리고 32살에 과장이 되는거지. 그런데 학사나 석사면? 30대 후반에 진급 케이스가 된다. 아 물론 열심히 하면 조기 30대 중반에도 진급은 할 수 있다. (그런데 그런 열정이면 차라리 박사를해 진심)
그리고 다 진급하는 것도 아니야... 경쟁률 빡세 준비할것도 많지
여기서 이직을 선택한다면 그건 또하나의 방법이 될지 몰라 하지만 이런 케이스는 난 잘 몰겠네
다만 진급을 포기하는 케이스는 절대 안된다.. 아무리 해도 월급을 과장 이상 받을 수가 없거든. 결국 진급을 해야해
물론 나는 그런거 욕심 없다 될대로 되란다 라고 한다면 말리진 않을게. 그런데 계속 진급 안하면 나중엔 나이들어 능력없는 꼰데가 될지 모르니 그건 알아서 처신하기 바람.
결론은 박사 받아라 정말로 워라밸을 즐기고 싶다면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4개
화난 로버트 보일*
2022.05.18
“박사 진학하게 되면 장점과 단점이 있는데 장점은 진급 안해도 되고 …”, “무엇보다 가장 정말 가장 좋은건 진급에 대한 스트레스가 없다.”
뭔가 많이 이상하게 들리는데요? 글쓴이 회사는 그런 케이스인듯?
2022.05.18
남들 일해서 돈벌때 6-7년동안 랩실에 박혀서 살아야됩니다.
그래서 간게 학위가 반드시 필요한 학계면 좋겟지만, 학위없이도 충분히 갈수잇는 대기업이면.. 저라면 좀 현타올듯. 실제로 박사학위자 기준 대기업 선호도가 떨어지기도 하고요.
원래 남의떡이 더 커보이는 겁니다.
IF : 5
2022.05.18
무슨소리지....계신 회사 특인 것 같은데
일단 여긴 주로 30초중반 과장진급이 많음. 30중후반 진급이면 늦었다소리 들음..
과장되면 월급이 올라가는건 맞지만 워라밸이 올라간단 얘기는 처음 들어요. 박살이 나면 박살이 나지
그리고 부장직급이 있는 회사면 부장진급 스트레스 앞에 과장진급 스트레스는 애교수준일듯...
- 지나가던 박사 회사원
2022.05.18
혹시 현업을 경험해보신 것 맞나요?
워낙 회사들이 다양해서 말은 아끼겠지만, 보통 과장급부터 진짜 회사생활 시작입니다. 그전까지 주니어라는 명목 하에 어느정도 워라밸도 챙기고 까방권도 생기구요. 과장부터 매순간 차장, 부장을 달기 위한 경쟁이 시작되는데 그게 빡셉니다...진급 안하고 그냥저냥 다닐 것인가, 아니면 빡세게 위를 바라볼 것인가 이게 그때 갈리구요. 오히려 과장까지는 8년차쯤되면 거의 그냥 진급해주는 케이스가 많습니다.
여러가지 박사 수당이나 본인 확고한 필드가 아니라 워라밸을 위해 박사 과정을 밟으라는 건 현업에 조금 맞지 않는 의견인 것 같습니다.
- 지나가던 회사원
2022.05.18
국내 모 연구소에 있다가 해외로 왔는데 워라벨 챙기려면 해외 가는게 더 좋을 것 같은데요.. 박사 취득까지 고생도 생각해야하며 제가 있던 곳은 박사 받고 과장급으로 와도 워라벨 붕괴던데요.
2022.05.18
돈만 괜찮게주면 안갈이유가 없지
2022.05.18
어떤 회사에 계신지는 모릅니다만, 관련 스트레스가 있으셨나 봅니다.
박사학위에 워라벨이 따라온다는 선생님 말씀은 모순이 있습니다.
오히려, 회사에서 박사학위자는 보통 팀장급 (혹은 기타 책임업무 담당)으로 많이 갈텐데요.
학위때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겁니다.
오히려 전문 분야 깊게 파고, 테크니컬한 기술이 높으면 높을수록 워라벨이 따라오는 걸 본적은 있습니다.
(마치, 군대에서 준위 계급을 떠올랐습니다)
춤추는 윌리엄 셰익스피어*
2022.05.19
그냥 공무원을 하거나 교직이수해서 중고선생을 하세요. 연구보다 워라벨에관심있는데 뭔 박사를
2022.05.19
ㅋㅋㅋㅋ
업계 탑 수준의 회사면 박사하고 와도 그냥 능력있는 신입일 뿐임
대댓글 1개
2022.05.19
난 읽은댓중에 이분 댓이 가장 맞는말인듯.
박사받고 올초 대기업입사했는데, 학석사들 이미 7ㅡ8년차랑 나랑 나이가 비슷해. 근데 걔넨 대리고 난 과장이다?
프라이드를 느끼겠습니까 조바심을 느끼겠습니까?
부디 여러분들은 조바심쪽이길 바랍니다. 우리의 성장 원동력이 조바심 아니겠습니까! 그들은 우릴 부러워하지 않아요.. 그저 저놈 언제가르쳐서 언제써먹냐 에휴.. 이러고있을뿐
약삭빠른 루이 파스퇴르
IF : 1
2022.05.20
오히려 박사들은 밤낮으로 연구해봤다는거 알고서 더 굴려먹으려는 분위기던데..
2022.05.20
오랜만에 쓸데없는 글을 보는군
2022.05.21
잉 현직 맞아요?
저 엘지인데 저흰 삼초중이면 책임 다는디
삼후면 늦은편
아 엘지가 대기업이 아닌가
2022.05.21
그래서 글쓴이는 박사학위가 있나요?
혹은 학위는 없는데 과장으로 입사하는 박사가 부러워서 쓴글인가요?
2022.05.18
2022.05.18
2022.05.18
2022.05.18
2022.05.18
2022.05.18
2022.05.18
2022.05.19
2022.05.19
대댓글 1개
2022.05.19
2022.05.20
2022.05.20
2022.05.21
2022.05.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