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에도 이런 글을 올렸는데 답변이 반반정도로 갈린거 같고 제가 아직도 고민이 너무 깊어서 다시 정리해서 올려봅니다.
저는 해외대학교에서 화학 전공을 했습니다.
제가 합격한 미국 대학은 아이비리그이지만 제 전공 대학원 순위는 낮은 곳이고 (Top 50정도) 여기에 가게된다면 제가 학부연구인턴 경험도 있고 어느정도 관심있었던 분야의 랩으로 가게됩니다. 연구실적도 좋은 편 입니다. (2018년 Nature, 그 이후 꾸준히 괜찮은 저널들). 오픈한지 8년 정도된 랩이고 졸업생들 2~3명 모두 좋은학교로 포닥을 갔습니다.
서울대 랩은 논문 실적도 잘나오고 (nature 자매지 다수 등) 나중에 취업을 하게된다면 아아아주 유리한 분야입니다. 물론 제가 처음하는 분야이지만 교수님이 화상미팅으로 연구주제나 제가 오면 하게될 프로젝트 설명해주신거 들어보니 흥미롭고 재미있어보입니다.
그치만 제 목표는 학계에 남는것이고 되도록이면 박사/포닥 이후 한국에 사는것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어떤 선택을 해야 제게 유리할까요?
감사합니다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9개
2022.04.30
펀딩이 안정적으로 보장된 상황이라면 미국가서 여러가지 경험하고 포닥을 더 높은곳으로 갈 것 같네요 미국박사가 미국 포닥가기에 유리하거든요.
대댓글 1개
2022.05.01
해외포닥을 목표로 한다면 그게 맞는거 같네요. 감사합니다
2022.05.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이비는 랭킹이랑 상관없어요. 아이비는 그냥 아이비죠. 아이비면 그냥 거기 가세요.
대댓글 1개
2022.05.01
대학원은 워낙 다르다 보니 학교 네임벨류만 보면 그게 맞죠. 감사합니다
2022.05.01
위에 두 댓글 맞말
무서운 비트겐슈타인*
2022.05.01
브라운 가세요
대댓글 1개
2022.05.01
'무서운' 비트겐슈타인,,
2022.05.01
어느 쪽으로 가도 안좋은 선택지는 없다고 생각해요. 해외에서 학부하셨으면 미국에서 다니시는걸 추천합니다. 아직 미필이시면 한국에서 전문연으로 연계해서 하는것도 큰 이점인데, 말씀 안하신거 보면 해당사항이 없으신가보네요. 비슷한 상황인데 저는 미국행 선택했습니다.
대댓글 1개
2022.05.01
저도 어느쪽이든 좋은 선택지인거 같아서 고민이네요. 군필이라 그건 걱정없습니다. 감사합니다
2022.05.01
좀 그냥 가라 애도아니고
대댓글 3개
무서운 비트겐슈타인*
2022.05.01
ㄹㅇ.. 가지도 않을거면 지원을 왜 한건지 ㅋㅋㅋ
2022.05.01
넓게 보는거죠
2022.05.01
보통 학교 여러군데 지원하고 합격하는곳 중에 고르잖아요...?
2022.05.01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서울대 자대생 기준 당연히 유학갑니다 ㅎㅎ 근데 한국에 전혀 연이 없으면 교수직으로 돌아오기가 조금 어려울 수도 있어요... 눈을 많이 낮춰야 될지도요 아직 한국은 인맥이 중요해서 ㅠ
대댓글 1개
2022.05.01
그런가요..해외에 오래 살아서 한국에 대한 정보는 많이 없어서 처음듣는 얘기네요 감사합니다.
청승맞은 제임스 와트*
2022.05.01
Up to you entirly
청승맞은 제임스 와트*
2022.05.01
그 연구실에서 좋은 논문 쓰니깐 본인도 할 수 있을거라는 쉬운생각ㄴㄴ
대댓글 1개
2022.05.01
그건 맞죠,, 어딜가든 최대한 열심히 하고 제가 잘하면 상관없는거겠죠
2022.05.02
저라면 둘중에 논문 실적 더 많이 나오는 곳으로 갈거 같습니다.
단 논문실적을 고려하실 때
1. 실제로 그 교수님방에서 쓴 논문이 맞는지 , 즉 교수님이 맨 마지막 교신자자에 해당하고, 그 방 학생이 맨 앞 1저자로 참여한 논문이 맞는지 꼭 확인하셔야 합니다. 그냥 one of 공동저자로 이름만 올린 논믄을 제하고 실제로 그방에서 나온 논문만 고려해야합니다.
2. 현재 학생 수 + 포닥 수를 고려해 인원대비 논문이 더 많이 나오는 곳을 선택할 겁니다. A랩은 10명이고 B 랩은 20명 이면, B 랩이 약 2배, 적어도 1.7배 정도의 실적이 더 많아야 하겠죠.
위 1,2 두가지 부분을 고려했을 때, 논문실적이 더 잘 나오는 방으로 진학할 거 같습니다. 만일 비슷하다면, 그 때는 그 랩 분위기, 주변 생활환경, 평균 졸업년도, 인건비 (stipend) 등등을 우선순위에 따라 고려할거 같습니다.
2022.04.30
대댓글 1개
2022.05.01
2022.05.01
대댓글 1개
2022.05.01
2022.05.01
2022.05.01
대댓글 1개
2022.05.01
2022.05.01
대댓글 1개
2022.05.01
2022.05.01
대댓글 3개
2022.05.01
2022.05.01
2022.05.01
2022.05.01
대댓글 1개
2022.05.01
2022.05.01
2022.05.01
대댓글 1개
2022.05.01
202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