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설카포 대학원 많이 힘들까요?

2022.04.30

18

5325

안녕하세요. 현재 일본 로봇학과 3학년에 재학중입니다.
얼마 전에 여기에 한국 대학원 갈지 일본 대학원갈지 상담 글 올렸는데
한국으로 리턴할거면 일본 대학원 보단 한국 대학원이 낫다 하셔서
한국 대학원 입시에 대해 좀 찾아보고 왔습니다.
코로나 초기에 하늘 길이 막혀 제대로 된 오티를 못받았다보니 1학년 성적이 망한 편입니다.
그나마 2학년떄는 좀 복구해 놓긴 했고 3학년 현재 일본에 들어와서 빡세게 공부 중입니다.
찾아보니 4점이상은 받는게 좋다 하시지만 빡세게 공부한다 해도 가능할지 조금 자신이 없네요.
학점에 자신이 없으면 학부연구생 하라고 하시던데 다행이라 해야할지
일본은 학부연구생이 커리큘럼상 필수더군요.
여튼 돌아올걸 결심한 이상 목표는 높게 잡자 생각해서 국내 탑 대학들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타 대학에서 해당 대학원 진학하신 선배님들께 여쭤보고 싶습니다.
로봇이나 기계쪽 진학이 많이 어려운가요?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8개

2022.04.30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컨택 시기에 컨택 해보세요
세 학교 입시 과정이 달라서 본인이 컨택 해보는게 좋음

2022.04.30

근데 로봇 일본이 훨 나은데 일본에서 경력쌓고 한국오는건 어떠세요

대댓글 1개

2022.04.30

원래 그럴 생각이었습니다.
부모님도 대학졸업하고 취직해서 2~3년 경력쌓고 오라고 하셨고요.
근데 이공계는 석사쯤은 되어야지 받아준다는데
일본 경력을 한국에서 그닥 인정 안 해준다는 소리도 들어서요.
조사해보니까 한국이나 일본이나 대학원 입시에 그렇게 차이도 없는 거 같으니
여러가지로 고려 중입니다.
명석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04.30

도쿄, 교토면 학부에 4학년때 연구경략도 1년풀로 쌓이기때문에 프리패스. 아니먄 학점관리🙏

대댓글 3개

2022.04.30

그렇게 좋은 대학에 다니진 않습니다만 그래도 일단은 학교 자체는 명문라인에 속하기는 합니다.
선배 말 들어보면 4학년은 무조건 졸업연구 해야해서 교수 연구실에 배속된다 하더라고요.
명석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04.30

나머지는 설카 아래에서 상향지원이기 때문에 학점관리 잘하세요

2022.04.30

영어는 토플, 토익 어느쪽을 하는게 나은가요?
일본에선 외국인이 대학/대학원 진학하려면 거의 토플 쓰이는거 같은데 한국도 마찬가지인가요?
토익도 쓰이는거 같긴 한데 선택지가 좁아지긴 하지만...

2022.04.30

로봇 분야면 무조건 일본에서 끝내고 오세요. 한국 로봇 연구는 답 없습니다 정말로

대댓글 7개

2022.04.30

일본 대학원쪽도 고민하고 있긴 한데
리턴했을때 괜찮을지가 문제라서요...

2022.04.30

..? 로봇연구실 출신임?
K 로봇연구실에서 박사학위받았는데 어떤의도로 말씀하신건지 궁금하네요.
명석한 어니스트 헤밍웨이*

2022.04.30

국내 대학원 로봇 좋습니다. 오히려 한국에서 학위해도 취업은 나가서 하라고 해야 정상이죠. 대우가 몇배는 차이가 나니.

2022.04.30

한국로봇연구가 답이없는게 아니라 본인연구가 답이 없는거아님?
해당연구분야에 몸담궜으면 얼마나 담궜다고 한국로봇연구 답없다는 소리를 말할수있는지 궁금하네
본인이 KIST/기계연 선임이거나 학교로 갈수있는 실력은되고 그딴소리 하시는건가요?

2022.04.30

로봇관련 컴퓨터비전은 한국이더잘함

2022.04.30

어...댓글에서 많이 반박하시는데 결론은 우리나라 대학원 진학해도 괜찮은 연구할 수 있다는 거죠?
그리고 대우 말씀하시는데 여기도 딱히 한국이랑 별 차이는 없어보이네요.
취업이야 잘되는 편이라지만 대기업쪽으로 가면 거기서 거기고...

2022.05.01

분야마다 일본 특수얀구실이 잘하는곳도 있고 한국이 잘하는곳도 있겠죠. 일본이 기어만드는것만 봐도 특히 섬세한것 잘만드는걸 워낙잘하니까요.
저희분야는 일본은 사실 경쟁상대가 전혀아닙니다. 미국과 유럽정도고요..

2022.05.01

본인 하시기에 달렸다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개인 의견임을 전제하고 말씀드리면 석사는 국내에 돌아와서 하시고 박사는 미국에서 하시는 것도 생각해보세요.

대댓글 1개

2022.05.01

다들 미국 가는 걸 추천해주시네요. 한번 고려해보겠습니다.
근데 미국에서 박사하기 많이 힘들지 않을까 고민입니다.
향수병 같은 건 차치하고 돈이 많이 깨질거 같아서요.
저번에 대학원 상담글에는 미국에서 박사 밟으면 돈을 모으면 모았다고 하던데
그게 정확하게 어떤 소리인지 모르겠습니다.
건강한 존 내시*

2022.05.02

유학가라 한국 대학원 답없음

댓글쓰기

게시판 목록으로 돌아가기

김박사넷의 새로운 거인, 인공지능 김GPT가 추천하는 게시물로 더 멀리 바라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