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연구나 본인 일 하나는 확실하게 잘 헤쳐나가나, 사회성 결여가 보이는 사람이 꽤 있고, 이직이 잦아 석박사 연구소 외에서는 그리 선호하진 않음.
2. 연세대, 고려대: 매우 진취적, 팀원과의 사교성이 매우 좋은 평이 많아 기업에서 가장 많이 선호하는 대학들.
3. 한양대: 연세대, 고려대에 비해 낮은 학부로 취업시장에서 큰 메리트를 갖진 않으나, 충분히 공대역량으로 인정은 받고 사교성이 좋아 기업에서 마찬가지로 좋아한다.
4. 성균관대, 서강대: 무난한 학교로 취급한다.
5. 그 외 서울권 학교: 위 SKY/KP+SSH,IST 아래서 일하는, 적당히 굴리기 좋은 사람들. 특별히 성과를 기대하진 않는다.
6. 그 외 기타 대학: 생산직에서 필수 인력은 아니나, 사회적 규제로 인해 어쩔 수 없이 뽑는 학교들로, 거의 선호도는 없다. 그러나 간간히 뒤늦게 노력하는 일부 인원에 대해서는 적당히 수용할 생각이 있다.
여태까지 석박사하면서 만났던 채용담당자 분들 4명정도 생각이었음
SKY+KP는 따로 인사과에서 특별 관리, 면접시에도 따로 점수매김
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댓글 12개
2022.04.28
방구나 드셈
2022.04.28
공감합니다. 그리고 기업에서는 이러한 통계적 분류로 사람을 빨리 판단하므로써 효율적 인사체계를 갖추는 것에 대해 이해가 갑니다. 근데 좀 슬프긴 하네요 ㅋ.
기업에서는 그렇게 진행해도 정출연이나 연구소 같은 곳에서는 그래도 연구적 다양성이나 균일한 기회 제공을 위해 적정 퍼센티지는 소외된 계층?에게 기회를 주었으면 하네요 ㅎㅎ
2022.04.28
한양대 학부생 검거!
2022.04.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이런 뇌피셜보단 중앙일보 대학평가ㅡ기업인사팀설문조사가 훨씬 설득력 있죠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23157
기업 인사담당자가 꼽은 신입사원 선발 선호대학 1위는 고려대(서울)였다. 이어 2위 서울대, 3위 연세대, 4위 성균관대, 5위 중앙대 순이다. 설문 응답자를 소속별(대기업·중소기업·금융권)로 나눠보면 특히 대기업에서 고려대 선호도가 가장 높았다. 고려대에 이어 대기업 선호 대학은 서울대, 성균관대, 한양대, 연세대 순이다. 특히 중소기업이나 금융권에 비해 성균관대와 한양대의 순위가 높았다.
2022.04.28
공부잘한다고 사회성이 결여되어있다는건 편견임 무슨 spk 사람들을 공부만하고 인간관계 다 망친 집단인줄아네
2022.04.28
난 샤대 학생이긴한데, 틀린말은 하나도 없는거같긴함ㅋㅋ왤케 사람들 비공박고 화낫냐
징징대는 프랜시스 베이컨*
2022.04.28
거의 정확한데 저희 부서는 성균관 공대 출신을 연고대 출신이랑 같게 봅니다.
2022.04.28
한양대 출신인데 이게 딱 맞는 듯 회사에서 연고대보다는 당연히 낮은데 성대서강대보다는 좀 위인 느낌
대댓글 2개
2022.04.28
그건 님이..
2022.04.28
누적 신고가 2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예전에 한양대에서 성대에 연고전처럼 정기전 하자고 제안했는데 성대가 그냥 깠죠. 발목 잡힐일 있냐고. ㅎ
2022.04.28
누적 신고가 50개 이상인 사용자입니다.
아이고,,,,입사를 하게 되면 일 잘하고(실적, 실력) 인성 좋은 친구가 대접 받고 승진도 안 밀려요,,,,그런 직원이 되어야 함,,,임원 승진도 많이 입사하는 학교 출신중 일 잘하고 인성 좋은 직원이 승진될 확률이 높은거 뿐이죠,,대기업 가서 본인 학교 출신이 많으면 임원도 많이 나와요,,삼전 경우 1/102 명이 임원 승진해요,,,학부나 대학원때 열심히 하고 대인 관계하는것도 잘 터득하세요,,,
2022.04.28
2022.04.28
2022.04.28
2022.04.28
2022.04.28
2022.04.28
2022.04.28
2022.04.28
대댓글 2개
2022.04.28
2022.04.28
2022.04.28
대댓글 1개
202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