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계정과 연동하여 게시글에 달린
댓글 알람, 소식등을 빠르게 받아보세요
가장 핫한 댓글은?
- 1. GPA 보다는 연구 실적이 더 중요할 것 같습니다.
어차피 스탠포드와 MIT 연구실에는 GPA좋은 미국인들이 많이 지원합니다.
한국 설카포에서 받은 높은 학점(Summa Cum Laude)의 힘이 크지 않습니다.
CS학과 Summa Cum Laude라면 미국 AI대학원 진학 후 퀄을 쉽게 통과하고
코스웍을 잘 따라갈 가능성이 높죠.
그러나 컴공이 아니라면 GPA가 당신의 AI연구 적합성을 결정하지 않습니다.
2.
AI 연구는 GPU와 Pytorch로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즉, 대단한 연구 환경을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작성자 분께서 미국 경험이 없더라도 한국 국내 랩에 컨택하여
Visiting Student Researcher나 석사과정을 수행하면서
충분히 논문을 쓰실 수 있습니다. 그 다음에 미국 탑스쿨을 지원해보세요.
3. 학점과 학벌에서 본인이 하위권이라고 생각하시나요?
그렇다면 인턴쉽을 하면서 연구를 더 열심히 하시면 됩니다.
원래 인생에는 상승과 하강이 있습니다. 겁 먹지 마세요.
Stanford MIT AI대학원 입시
14 - 현명한 학생 아닐까요 아닌 랩 오래 다니다가 그만두는 것보다 훨씬 서로에게 좋음
한달 나오고 관두는 신입생들은 뭘까요...
24 - 학부를 봅니다.
석사졸업후 취업시 학부 학벌도 중요하나요?
10 - 이런 이야기는 본인 실적 까고 하는 겁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20 - 글이나 제대로 쓰세요ㅋㅋ실적 없어서 과제 떨어지고 추하게 커뮤에 글 쓰는 걸로 밖에 안 보여요. 실적만이 증명된 연구자인지 알 수 있는 유일한 척도인데요? 실적은 없이 제안서 글 싸지른걸로 뽑자는게 더 어이가 없네요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5 - 한국 평가 위원들 제안서 제대로 안 보는 사람들 많습니다. 실적 기준으로 평가하자는 말이 제일 많이 나옵니다. 평가 얼마나 다녀보셨나요 ? 제안서를 아주 엉망으로 쓰면 그건 당연히 안되지만, 어느 정도 평균 이상이면 실적 싸움입니다.
연구과제는 실적으로 뽑힌다는 이상한 마인드...
12 - 억 넘는거받고 하는거대비 편하다 이런 얘기 안했으면 합니다. 가성비 떨어지는직업인건 하브넷만가도 널려있어요. 다들 그정도받는거 이상으로하고 기업가도 국내외 2,3억은 받는사람 천지인데, 그럴듯한 인정 명예로 편한직업처럼 포장하는거 불편합니다. 여기 대학원생들 많을텐데 대충해도 인정받는다는거 여론몰이 아닌가요?
학교분위기마다 다르다는거 압니다. 현실을따져도 그리고 적어도 저희는 지금이 위기로느끼고 최대한 조교수포함 공격적인 운영을해나가고있습니다.
말씀하신거처럼 극단적인 예시는 루팡하는 교수들아닌가요? 회사에도 물박사들 많은데 그것처럼 일반적인 교수들 욕먹이지마세요.
본인이 저 루팡 계열에 없으시면 이런글 올리지마세요. 동료교수들끼리도 저런글 올리면 박수치고 호응해주는지 궁금하네요!
교수 삶이랑 월급에 부정적인 얘기 많은거같은데
10 - 그래도 시도할건 해봐야 하지 않을까요???
엄연히 [불법] 이민자를 싫어하는것이지, [합법]적인 이민자를 반대하는건 아니니까요. 어떻게 보면 [합법적]인 절차만 누가봐도 명료하게 만들면 (힘들겠지만요) 그것만 명료하다면 유학이나 포닥은 또 명료해지는것 아닐런지요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1 - 제가 생각을 너무 단도직입적으로 밝혔네요.ㅎㅎ 죄송..
큰 관점에서 트럼프 행정부가 불법 이민자들을 색출하려고 노력함에 따라 박사/포닥 한테 주는 펀딩을 제어하는거같아서요 ㅎㅎ
결론은 같습니다...
불법 이민자로 전락하지 않겠다는 뉘앙스를 많이 풍기면 박사학생이나 포닥에게 주는 펀딩을 받을수 있을거라는 뜻입니다 ㅎㅎ
아마도 내년부터는 미국 유학 포닥 힘들어지지 않을까 싶네요...
17 - 우리나라에서 교수가 의미 있는 연구로 돈버는 사람이 몇이나 되나? 누가누가 혈세 잘 뽑아먹고 눈먼돈 잘 주워 먹는 가에 따라 수입이 달라지는거지. 그런것 가지고 능력이 좋아 수입이 높은척(실제론 높지도 않음) 하는거 보면....ㅋㅋ 실제로 능력이 출중하면 미국처럼 인더스트리쪽으로 가는게 맞음. 우리나라 발전을 위해서라도 밥통 마저 깨트리는게 맞다고 봄.
교수 수입은 천차만별
15
진로고민
2022.04.22

석사 생활 치열하게하면서 10점대 논문 (솔직히 if 뻥튀기가 있는 분야인거 같아요) 앞두고 있는데요. 졸업까지보면 7점대 하나랑 공저자 몇개(10~30)로 마무리 할거 같은데.. 미박이랑 취직이 계속 고민되네요. 이거 보다 더 힘든삶 5-6년 할 자신도 없고.. 이후가 보장되어있을까 싶기도하고. 그렇다고 또 산업계에서는 나름 낸 실적들을 석산데 쳐줄까 싶기도하고 이제 2년차인데.. 뭐먹고 살아야할지 막막하네요.. 미박은 또 컨택이다 지알이다 토플이다 무조건 졸업하고 일년은 써야할 거같은데 여자친구도 생각하게되고 돈이라도 있으면 좀 여유가 있을텐데.. 여러분들이라면 어떻게 할것 같으세요? 처음 입학하고 와 임팩트팩터 헥헥 거리며 달려왔는데 막상 삼성이다 하닉이다 취직한 친구들보면 그게 뭐야 하는데.. 진짜 의미없는건가 싶기도하고 뭐먹고 살아야할지도 모르겠고 내가 뛰어난 재능이있어 과학기술에 이바지할 위인이 될수있는거도 아니고….. 취직도 준비할생각하면 좋은데 받아줄까 싶기도하고 .. 학사는 그냥 진짜 적당한 대학이고요. 석사는 좀 특수대학으로 왔어요.. 퇴근하고 집와서 생각하는데 뭐먹고 살지 참 고민이네요 어린나이도 아니고 서른 다됐는데 아직도 이거 하나 못정했다는게
학부 진학에 대한 생각 김GPT 0 24 8631
박사 진학관련 김GPT 3 29 3558
솔직히 제 스스로가 한심합니다. 김GPT 13 10 3918
문송 취업난 이후 경영대학원 진학 김GPT 1 17 5038
진로 관련 조금 긴 푸념글입니다. 김GPT 3 5 3960
흔한 고등학생인데요 김GPT 2 6 4635
한양대 미자공 김GPT 1 4 8547
1학기 남은 석사 자퇴 고민중입니다 김GPT 9 13 4265
진로고민... 김GPT 2 11 2601
만남 보다 헤어짐이 중요합니다. 명예의전당 74 22 10075
소주가 지껄이는 김박사넷에 대한 감상 명예의전당 76 10 5047
용의 꼬리가 되니 너무 힘듭니다(하소연 글) 명예의전당 53 33 21436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핫한 인기글은?
아무개랩 게시판에서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 시선집중 핫한 인기글
최근 댓글이 많이 달린 글
2022.04.22
대댓글 1개
2022.04.22